본문 바로가기

『역사비평』 통권126호 / 2019년 봄호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것인가―삼국통일과 통일신라의 재조명2019년 봄호의 특집은 한국사에서 삼국통일과 통일신라의 의미를 다시 돌아보는 연구들로 구성했다. 신라의 삼국통일이 당시 사람들의 인식 속에 존재했던 것인가, 아니면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상당 기간이 지난 어느 시기 이래로의 역사인식에서 생성된 것인가는, 한국사 속에서 삼국통일의 역사적 위치를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와 연결되는 문제이다. 나아가 이른바 ‘삼국통일전쟁’은 동아시아사적인 관점에서 7세기 중·후반 동북아시아전쟁이라는 개념으로 확장시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와, 전쟁 그 자체가 사회 변화를 이끌어낸 기원적 근거가 아니라 동아시아 각지에서 진행되었던 사회 변화의 결과물이자 사회 변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견해 역시 일국사적 관점에 치우.. 더보기
2019년 저작비평회 1탄 <서울탄생기>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입니다. 하지만 ‘서울공화국’이라고 불릴 만큼 대한민국의 모든 역량이 서울에 집중되어서, 서울과 지방의 극심한 격차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날로 높아집니다. 또 한편에서는 ‘인서울’에 성공해서 ‘서울에 집 한 채’를 소유한다는 최고의 스펙을 갖고자 피땀 흘리거나, 반대로 그러한 희망을 애초에 실현 불가능한 것이라고 냉소하면서 포기하는 청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울은 언제 어떻게 탄생했으며, 우리에게 서울이라는 공간은 무엇일까요? 역사문제연구소 2019년 첫 번째 저작비평회에서는 송은영 선생님의 『서울 탄생기』와 함께,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아보려 합니다. 1960~70년대 문학작품을 따라 읽다 보면, 서울로 몰려든 이주민들의 자발적 욕망과 실천이 서울을 모든 욕망을 흡수하는 절대공간으.. 더보기
『역사비평』 통권125호 / 2018년 겨울호 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전환의 방향을 미리 점쳐본다―포스트사회주의 국가와 자본가의 탄생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들이 최근 북미관계, 남북관계에서 일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 북한 개혁개방의 전망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단편적이지만 들려오는 소식에 따르면 북한에도 자본가와 비슷한 집단들이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향후 북한 체제전환의 방향과 관련해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향후 북한 개혁개방에 미칠 영향력과 참조점이라는 측면에서, 각국의 포스트사회주의로의 이행 과정에서 국가와 자본가의 탄생에 대한 분석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문제일 것이다.은 그런 문제의식 속에서 ‘포스트사회주의 국가, 자본가의 탄생’이라는 특집을 준비하게 되었다. 사회주의 국가들이 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