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문연 강좌/2013. 역사적 민주주의

[역사적 민주주의 강의안 및 사진후기] 4강 :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노경덕, 광주과학기술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4강 :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노경덕(광주과학기술원) 1. 인민민주주의의 개념의 특이성 : 민주주의의 일반적 정의와의 비교 - 소련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 역사의 산물 2. 초기 소련역사와 민주주의 : 인민민주주의 개념의 형성 과정 - 레닌과 볼셰비키의 "민주주의"론 - 러시아 혁명: 소위 "혁명적 민주주의" - 내전 이후 신경제정책 시기: 민주주의 개념의 변화 3. 1930년대 국제정세의 변화와 인민민주주의의 탄생 - 스탈린시대 민주주의의 의미 - 파시즘의 대두와 소련 및 유럽 공산주의자들의 대응 - 코민테른의 인민민주주의 개념 공식화 4. 제2차 대전과 그 이후의 인민민주주의 - 전후처리: 반파쇼, 반제국주의, 반봉.. 더보기
[역사적 민주주의 강의안 및 사진후기] 5강 : 변혁운동 속의 민주주의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5강 : 변혁운동 속의 민주주의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80년대 변혁운동과 민주주의 : 1980~1987 1. ‘80년대’라는 의미 ‘80년대’ 라는 시기를 보는 데 어려움(혹은 난점) - 이번 강의를 준비하고 대면하며 마주하는 어려움은 80년대가 ‘일괴암적’(monolithic) 시기로 인식되는 문제, 시대 체험자/비체험자 간의 자의적/편의적 해석의 가능성, 80년대가 사상과 운동으로만 구성되었는가에 대한 의구심 등 - 그럼에도 80년대를 이해하는 출발점은 그 이전/그 이후를 구분하는 ‘사상과 운동’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판단. 각성의 시대, 민족민중적 학문, 혁명의 시대 등 80년대에 대한 ‘이미 전제된 이해/해석’.. 더보기
[역사적 민주주의 강의안 및 사진후기] 3강 : 생활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 (이주영, 서울대학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3강 : 생활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 이주영(서울대학교) 배 경 – 모든 제도와 사상이 그러하듯 미국의 민주주의 역시 여러 모습들을 가지고 있고 역사적으로 계속 변화해왔다. (공화주의 vs.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 국가주의 vs. 개인주의 / 엘리트 vs. 대중) 1. 기본적으로 시민권이 확대되어 오는 과정 - 젠더와 인종 문제가 지속적으로 미국 민주주의의 아킬레스 건이었다. 여성들은 20세기 초에 투표권을 얻었고 흑인들은 1960년대가 되어서야 투표권을 얻었다. 2. 한편, 미국 민주주의는 공공의 선을 목표로 공동체와 자치를 강조하는 공화주의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사이에서 항상 갈등이 존재해.. 더보기
[역사적 민주주의 강의안 및 사진후기] 2강 :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한상구, 역사문제연구소)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2강 :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 한상구(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 ◆ 우리의 민주주의는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나? 답1. 이식론 : 서양에서 들어왔지. 우리한테 언제 민주주의가 있었어. 해방이후부터 민주주의! ==> 대체로 그렇게들 느끼고들 있는데, 이게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해방후 미군정이 남산 서울방송국에서 내보낸 민주주의 교양방송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식의 편벽한 생각과 별로 거리가 멀지 않다는 사실이 문제가 될 걸? 아닌게 아니라 결국 --> cf) 뉴라이트의 주장 =? 미군정, 아니면 이승만이 우리나라에 (미국식) 민주주의를 들여왔다. 보통사람들은 그냥 주워 먹은거다! 답2. 부회론(경강부회한다는 것) : 왜, 신라시.. 더보기
[역사적 민주주의 강의안 및 사진후기] 1강 : 지금 왜 민주주의인가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1강 : 지금 왜 민주주의인가 김동춘(성공회대 교수) 왜, 지금 민주주의를 다시 고민해야 하는 걸까? 2013년 10월 24일(목) 저녁 7시 역사문제연구소 민주주의 연속 강좌 제1강 ‘왜 민주주의인가?’라는 강연(김동춘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성공회대 교수)은 이러한 궁금증에 답변하기 위해 마련된 강좌이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과 동시에 국정원 댓글 파동, 국가기관, 여당과 관련사회단체의 유착 (십알단과 드위터 교환), 국정원 국방부, 보훈처 등 국가기구와 검찰의 정치구도화, 표적수사, 사법부의 권력편향 판결, 국가기구의 국민 불법 사찰( 총리실, 기무사), 공안기구의 대통령 직속기구화(기무사령관의 대통령 독대).. 더보기
11월 21일, 목, 오후7시. 변혁운동 속의 민주주의(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 역사적 민주주의]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5강 : 변혁운동 속의 민주주의 11월 21일(목) 19:00~21:00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주화운동 속에서 구호 차원에서는 '민주주의'는 '독재'의 반대말이었다. 그런 한에서는 운동 진영에서 '민주주의'의 내용에 대해 깊이 고민할 필요는 없을 수도 있었지만, 구체적인 사회변혁, 즉 신 사회 건설이라는 데까지 나아간다면 민주주의 문제는 외면할 수 없는 문제였다. 1970~80년대 변혁을 꿈꾼 이들이 민주주의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리고 지금 그 유산이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강연자 대표논저 여공 1970, 그녀들의 反역사(이매진, 2006) 87년 6월 항쟁(책세상, 2009)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기억,사건 그리.. 더보기
11월 28일, 목, 오후7시. 새로운 민주주의의 모색(이승원, 서강대학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 역사적 민주주의]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6강 : 새로운 민주주의의 모색 11월 28일(목) 19:00~21:00 이승원 (서강대학교) 21세기 한국사회는 '어떤 민주주의인가?'를 '누가', '어떤 방식으로' 정의하는가를 둘러싼 민주주의의 과잉 속에 빠져있다. 민주주의는 정치체나 거대가치수준에서, 수많은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일상 속 '설득의 논리'로 작동하고 있다. 최근 회자되는 '민주적 현상'들과 그 속에서 갈등하는 다양한 '민주적인 것들'을 생각하면서, 우리는 왜 여전히 민주주의를 갈망하고, 그 갈망은 어떤 행동을 필요로 하는지를 찾아본다. 강연자 대표논저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신청은 강연 당일까지 접수받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성원과 참여부탁드립니다... 더보기
11월 15일, 금, 오후7시.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노경덕, 광주과학기술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 역사적 민주주의]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4강 :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 11월 15일(금) 19:00~21:00 노경덕(광주과학기술원) 코민테른에서 '인민전선 전술'이 채택된 1930년대 중반은 소련에서 스탈린 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되어 '애국주의'가 강조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했다. 인민민주주의라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형태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탄생했으며 소련이 전후질서를 구상하는 가운데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북한에서도 건국의 기본노선으로 채택된 인민민주주의의 역사적 기능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강연자 대표논저 「냉전사와 소련연구」, 『역사비평』 101, 2012. 「중·러 관계의 역사적 전개」, 『중·러 관계와 한반도』 (한울, 2012) 「스탈린 .. 더보기
11월 7일, 목, 오후7시. 생활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이주영, 서울대학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 역사적 민주주의]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3강 : 생활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 11월 7일(목) 19:00~21:00 이주영(서울대학교) 미국은 해방 후 한국에 민주주의를 전파했지만 미국 내에서의 민주주의 개념 역시 단일하거나 안정적이지 않고 역사적으로 여러 논의 속에서 다양하게 변해왔다. 그 중에서 특히 20세기 전반기에 미국 내에서 새롭게 등장했던 민주주의 개념이 '생활방식(way of life)으로서의 민주주의'였다. 이 새로운 개념의 민주주의가 유럽의 전체주의 확산에 대응하여 등장하는 과정과 그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나아가 한국에 수출되고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강연자 대표논저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신청은 강연 당일까지 접수받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 더보기
10월 31일, 목, 오후7시.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 (한상구 역사문제연구소)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 역사적 민주주의]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2강 :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 10월 31일(목) 19:00~21:00 한상구 (역사문제연구소)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 시작을 해방 이후로 보는 경우가 많다. 황제가 주권자인 나라에서 바로 식민지가 되었기 때문에 제도면에서 보면 맞는 말이긴 하다. 하지만 참정권이 주어지지 않은 식민지에서도 주민대회 등을 통해 집단적 의사를 형성하고 표명하는 실천은 존재했다. 해방후 전국 각지에서 형성된 건국준비위원회/인민위원회를 가능케 한 민주주의 실천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강연자 대표논저 1926~28년 신간회의 민족협동전선론(서울대 국사학과 석사, 1993) 일제시기 지역주민운동 연구(서울대 국사학과 박사,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