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베트남전쟁, 다양한 경계넘기/행사공지

[베트남 파병 50주년 행사] 베트남전쟁, 다양한 경계 넘기. 웹자보 공개!

<베트남 파병 50주년 행사>

 

 

베트남전쟁, 다양한 경계 넘기

 

 

  전쟁 정치의 한 핵심은 경계선에 있다. 경계선을 넘으면서 전쟁은 시작되고 경계선을 다시 설정하면서 전쟁은 끝난다. 또한 전쟁을 위한 동원은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기존의 경계선들을 유동화시켜 사회를 재편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총력전체제에 관한 논의에서 볼 수 있듯이 전쟁은 통합의 중요한 기제이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전쟁은 목숨을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국가에 대한 근본적인 거부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러한 거부는 양심적 병영거부라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고, 또 탈영이라는 모습을 띠기도 한다. 실제로 베트남전쟁 때 적지 않은 미군들이 주로 경유지인 일본에서 탈영을 했으며 일본에는 그들을 지원하는 지하조직도 존재했다. 올해 파병 50주년을 맞이한 한국의 경우도 결코 예외는 아니었다. 한국에서 직접 탈영한 사실이 확인 되는 사람은 단 한 명밖에 없지만, 제주도 출신으로 탈영해서 일본으로 밀항한 그의 모습은 베트남전쟁과 4.3의 경험을 연결시켜줌으로써 국가폭력으로서의 전쟁의 문제를 드러낸다.

 

  베트남 파병 50주년을 맞이하면서 우리가 생각해보고 싶은 전쟁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계 넘기이다. 전쟁은 아군과 적군이라는 범주가 고정적으로 존재한다고 믿게 만들려고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으며, 무엇보다 그런 구도에서 벗어났을 때 비로소 우리의 상상력은 전쟁에서 해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베트남, 한국, 일본 등등의 경계선 자체가 전쟁의 일부라면, 우리는 그러한 경계선 자체를 문제 삼아야 되는 것이다.

 

  이에 <역사문제연구소><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전쟁없는세상>과 공동으로 영화 상영 및 그 영화를 소재로 한 포럼, 강연회, 학술회의 등을 준비했다.

 

 

 

1. 영화와 포럼: 탈영과 국경을 둘러싼 역사의 현현

920() 14, 서울아트시네마 

 

  <감각의 제국>의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오시마 나기사(大島渚) 감독은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의 소유자였으며 특히 60년대 후반에는 한국과 관련되는 여러 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재일조선인 청년 이진우가 강간치사사건의 범인으로 사형을 당한 고마쓰가와(小松川) 사건을 소재로 사형제의 문제와 한일 간의 역사의 문제를 동시에 다룬 <교사형>이 그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같은 1968년에 제작된 것이 이번에 상영하는 <돌아온 술주정뱅이>이다. 일본으로 밀항한 한국인 탈영병을 소재로 일본인/한국인이라는 경계선의 문제를 드러내는 이 영화를 함께 보고 실제 한국인 탈영병에 관한 이야기 등을 나눔으로써 베트남전이라는 역사적 경험에 접근하는 우리의 상상력을 키워본다.

 

영화

<돌아온 술주정뱅이>(오시마 나기사 감독, 1968)

 

포럼

발언: 권혁태(성공회대), 이영재(영화평론가)

사회: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2. 강연: 전쟁 거부를 가능케 한 사람들

925() 19, 역사문제연구소 강당 

 

  미군 역사상 베트남전쟁만큼 많은 탈영병을 낳은 전쟁은 없었다. 1971년에는 33천 명이나 되는 이들이 탈영을 했는데, 탈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일본이었다. 스스로 복귀하거나 잡히는 이들이 많았지만, 3국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한 이들도 있었다. 그들의 탈영을 지원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케네스 그릭스(Kenneth Griggs)라는 이름으로 징집된 입양아김진수를 포함한 탈영병들을 탈출시킨 것은, 당시 대표적인 베트남반전운동 단체였던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에 참여했던 이들 가운데 몇몇이 따로 만든 JATEC이라는 조직이었다. ‘탈영이라는 고독한 결단을 사회적인 연대의 계기로 만든 JATEC의 활동은 베트남반전운동이 낳은 가장 기억할 만한 역사 가운데 하나이다. 초창기부터 JATEC에서 활동한 세키야 시게루(關谷滋) 씨의 이야기를 듣고 전쟁을 거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강연: 세키야 시게루(關谷滋, JATEC 활동가)

 

 

 

3. 학술회의: 베트남전과 아시아의 상상력

927() 14, 역사문제연구소 강당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은 냉전이라는 세계질서 속에서 우방(자유진영) (공산진영)’의 구도 아래 아시아 우방아시아 적군에 대한 상상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상은 아시아 곳곳에 짙은 경계선을 그었다. ‘공식적으로냉전이 해체된 오늘 날에도 우리는 이 경계선의 부동성을 의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폭력적인 상상이 만들어낸 경계를 거부하고, 오히려 이를 자유롭게 넘나들었던 당대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반전운동을 통해, 혹은 어느 쪽에도 얽매이지 않은 사상을 통해, 강요된 경계를 지워가며 서로 연대했던 것이다. 과연 이러한 불온한상상과 실천들은 오늘 날 우리에게 어떤 역사적 유산일까. 우리 앞에 놓인 경계의 실체를 역사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전쟁의 현재를 직시하고, 그로부터의 해방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상상해 본다.

사회: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냉전기 아시아 상상의 정치학과 베트남전:

발표: 김예림(연세대) / 토론: 권보드래(고려대)

베트남전 반전운동과 오키나와 반기지 운동의 관련성:

발표: 정영신(제주대) / 토론: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리영희의 국제주의적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베트남전쟁:

발표: 백승욱(중앙대) / 토론: 홍정완(역사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