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강좌; 맛보기 에세이] 오키나와 전후 70년: 사람들이 만드는 민주주의의 발자취 (모리 요시오, 森宣雄, 동지사대학)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해방 오키나와 전후 70년 : 사람들이 만드는 민주주의의 발자취 모리 요시오(森宣雄) 오키나와전의 특징은, 일본 정부가 본토 방위·평화 교섭의 시간을 벌기 위한 버림돌로서 오키나와에서 지상전을 치르게 하고, 이에 맞서던 미군이 일본 본토 공격을 위한 거점으로 상륙과 동시에 기지 건설과 점령을 개시한 점에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 그 결과, 오키나와 주민은 이중적 의미에서의 난민이 되었다. 하나는 전쟁으로 인해 보금자리에서 쫓겨나 全주민이 미군 점령 하의 난민·포로가 되었다는 의미에서. 다른 하나는 일본 정부에 의해 국가의 방위 대상에서 제외되고 강화 후에도 미군 점령 하에 방치되어 향토에 있으면서도 지역 사회가 통째로 국가로부터 내쫓겼다는 의미에서. 국가로부터 버..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영화와 포럼: 해방과 제국의 잔영 해 방 영화와 포럼: 해방과 제국의 잔영 제국의 시대에도 해방의 가능성은 다양한 형태로 분출한다. 그런 한편 해방 이후에도 제국의 잔영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해방과 식민이라는 두 역사적 축이 서로 교차하는 양상을 포착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해방의 가능성과 제국의 잔영이 교차하는 양상을 몇 편의 영화를 통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1945년 7월에 ‘친일영화’ 를 공개한 최인규는 1946년에 ‘광복영화’ 를 만들었다. 이 당혹스러운 널뛰기는 도대체 무엇일까? 제국으로부터 삶을 ‘빌려온’ 한 개인은 해방 이후에 어떤 삶을 살면서 해방을 받아들였을까? ‘토오상(아버지)’이라는 일본어처럼 발음되는 (우녠전, 1994)을 볼 것이다. 그렇다면 제국의 중심지였던 일본에서는 패전 이후 어떤 삶들이..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강좌: 주변에서 바라 본 해방. 해 방 강좌: 주변에서 바라 본 해방 해방이란 어디에나 있고 또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해방의 이러한 속성에 대한 무감각이다. 해방이 배타적인 소유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해방의 모습들이 경계선 안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해방이 마치 경계 안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처럼 인식되면서 해방의 상상과 그 상상의 실현이 불가능한 것처럼 여겨진 것이다. 이 무감각을 일깨우기 위해서라도 “누구의 해방인가”라는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주변’을 감각하다보면 경계가 먹어버린 가능성이 발견될 수 있고, 그 발견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오키나와, 화교, 재일조선인처럼 주변으로 인식되던 곳에서의 해방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 해방은 어떤 상상을 가능하게 할까? 그 상..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세미나 : '해전사' 다시 읽기 해   방  세미나 : '해전사' 다시 읽기     ‘해방’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힘을 지녔던 시기가 있었다. 『해방전후사의 인식』은 ‘해방 몇 주년’과는 아무 상관도 없이 출간되어 80년대 내내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 힘은 도대체 어디서 왔을까?    이번 는 『해방전후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주로 80년대에 형성된 ‘해방’에 관한 텍스트들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거기서 ‘해방’이 어떤 문체로 서술되며 어떤 의미들의 연쇄를 만들어냈는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 텍스트들이 등장하게 되는 시대적인 맥락도 동시에 고려하기는 하지만, 한 시대를 보여주는 ‘증거 자료’로 그 텍스트들을 보기보다 오히려 그 텍스트가 시대에 개입한 힘을 그 텍스트 자체에서 읽어내려.. 더보기
<이벤트>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우리 모두 함께 해요. # 역사문제연구소 이벤트 1탄!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을 홍보해주세요!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과 관련된 행사 공지들을 공유해주세요. 열 분을 추첨하여 책을 보내드립니다. 참여방법1. 역사문제연구소 페이스북(N.f. Kistory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3622081658), 트위터(https://twitter.com/kistory2010)의 친구와 팔로워가 되어주세요.* 당첨 TIP. 꼭 페이스북 친구, 트위터 팔로워가 되어주세요!2.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관련 N.f. Kistory 의 글 공유하고, 리트윗해주세요.3. 당첨 쪽지를 받으면 연..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답사 : 해방의 마을로(7월 4일 토, 14시, 충무로역 4번 출구) 해 방 답사: 해방의 마을로 서울 남산을 가운데 두고 식민통치의 중심지와 해방 이후 조성된 ‘해방촌’이 존재하고 있다. ‘해방촌’이란 이름은 해방 이후, 그리고 한국전쟁 이후 월남민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면서 붙여진 것이다. 다시 말해 남산 일대는 식민과 脫식민의 양태가 여러 가지 결로 현존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남산 일대의 여러 장소를 돌아보며 식민지로부터 해방에 이르는 여정을 따라가 보기로 했다. 남산을 둘러보는 길 위에서는 식민지의 역사를 마주하게 될 것이고, 더불어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이었던 ‘해방’을 직접 경험하며, 이 경험이 한국 사회에 어떤 의미로 남게 되었는지 되새겨보게 될 것이다. 1945년 해방은 무엇을 남겼는가? 남북한으로의 분단된 역사 속에서 이곳에 조성된 해방촌은 어떤 의미의 해방..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전체공지 (2015년 7~9월) 해 방 70년 전 8월 15일,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이 끝났다. 폭력적인 지배를 받으면서도 결코 끊이지 않던 새 사회에 대한 열망은 사슬이 풀린 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기쁨 속에서 수많은 가능성들이 창조된 시공간, 그것이 해방이었다. 물론 해방의 시공간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미소 양군에 의한 분할점령, 그 구조 속에서 폭력화된 갈등, 그리고 전쟁. 현재까지 이어진 그런 역사 속에서 해방은 좌절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해방이 기억되고 있는 한, 우리가 그것을 기억하는 한, 해방의 과정은 결코 끝나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가 기억할 해방이란 누구의 어떤 해방일까? 해방을 은연중에 ‘한국(인)’의 해방으로만 생각할 때, 해방의 시공간이 지녔던 횡단적 역동성은 사라지고 만다. 해방을 일본에서..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해방 70주년 연속기획] 해방. 타임테이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7/1 7/2 7/3 세미나 : '해전사' 다시 읽기 7/4 답사 : 해방의 마을로 7/5 7/6 7/7 7/8 7/9 7/10 7/11 7/12 7/13 강좌 : 주변에서 바라본 해방 - 오키나와 7/14 7/15 7/16 7/17 7/18 영화와포럼 : 해방과 제국의 잔영 - 한국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8/1 8/2 8/3 8/4 8/5 8/6 8/7 강좌 : 주변에서 바라본 해방 - 화교 8/8 해방 70주년맞이 평화기행 8/9 해방 70주년맞이 평화기행 8/10 해방 70주년맞이 평화기행 8/11 해방 70주년맞이 평화기행 8/12 8/13 8/14 8/15 8/16 8/17 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