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소 소식

역사문제연구소 30주년 연보 (1986.2.21~2016.2.29, 그리고 현재에도 계속)

 

역사문제연구소 30주년 연보

(1986.2.21~2016.2.29, 그리고 현재에도 계속)

 

 

 

 

1986

2. 21  역사인식의 심화와 대중화를 통해 한국사회의 민주화에 기여한다는 취지하에 역사문제연구소 창립(주소: 종로구 내수동 4번지 玉빌딩 402호)
   소장: 정석종, 부소장: 임헌영, 이사장: 박원순, 총무: 천희상, 운영위원: 정석종, 임헌영, 이호웅, 김성동, 원경, 천희상, 박원순


4. 2   근현대사세미나3 (‘해방 3년사’) 출범


4. 26  근현대사세미나2 (‘일제시대사’) 출범

 

5     ‘한국근대문학사’ 세미나 출범


5. 24  제1회 학술강연회 “한국근현대사 연구현황과 문제점 개최 (장소: 출판문화회관 강당)
       1. 민족운동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강만길 / 토론: 서중석·임영태)
       2. 19세기 사회사상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이이화 / 토론: 조광·도진순)

 

6       총무 반병률로 교체, 연구소가 연구조직으로 강화됨

 

6. 21  제2회 학술강연회 개최 (장소: 한국학술진흥재단)
       1. 19세기 문학예술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임형택 / 토론: 김시업·유홍준·김종철)
       2. 북한문제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김남식 / 토론: 전인영·심지연)


6. 30  근현대사세미나1 (‘19세기 민중운동사’) 출범

 

7. 21  역사문제연구소 회보 창간호 간행

 

8. 2∼4  하계 수련회(장소: 강원도 강촌)

 

8. 30  제1차 정관 개정, 조직 운영을 간사 중심제로 바꾸고 운영위원에 연구자 영입. 부소장 아래 간사제(총무: 반병률, 연구: 우윤, 홍보: 윤해동)를 둠. 운영위원회는 원경, 김성동, 이호웅, 천희상이 빠지고 서중석, 이균영, 이이화, 김광식, 반병률이 보강(추후 박용일, 김신재, 원혜영 추가하여 재정 확보에 노력), 학계 원로들을 ‘자문위원’으로, 중견연구자들을 ‘연구위원’으로 위촉

 

9       한문강좌 의삼성찰 (강사–이이화) 개설
 

9. 20  제3회 학술강연회 개최 (장소: 학술진흥재단 강당)
       1. 독립운동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조동걸 / 토론: 서굉일·이균영)
       2. 해방후 노동운동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박현채 / 토론: 김낙중·송정남)
 

10      역사문제연구소 사무실 이전 (주소: 종로구 사직동 304–43 체신노조회관 502호(사회과학원 건물))

 

10. 18 제4회 학술강연회 개최(장소: 학술진흥재단 강당)
  1. 해방후 정치사회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최장집 / 토론: 손영원·김광식)
  2. 민족 및 통일문제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송건호 / 토론: 노중선·김태일)

 

10. 31 회보 제2호 간행

 

11. 22 제5회 학술강연회 개최 (장소: 학술진흥재단 강당)
  1. 해방후 사회구조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김진균 / 토론: 이종오·서관모)
  2. 일제하 사회주의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임영태 / 토론: 서중석·이균영)

 


1987

1. 10  신년하례회


1. 13  러시아어 강좌 시작

 

1. 20  회보 제3호 간행

 

1. 24  제1회 월례발표회 개최
       1. 8·15 직후 광주지방에서의 정치투쟁의 전개에 관한 한 연구(김창진)
       2. 만주지방 한인운동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유기철)

 

2      ‘중국현대사(1930년대 통일전선 중심)’ 세미나팀 출범
        ‘일제시대사’ 세미나팀 제2기 근대사 세미나팀 출범

 

2. 21  제6회 학술강연회 개최 (장소: 학술진흥재단 강당)
       1. 해방후 사회경제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이대근 / 토론: 정창렬·김대환)
       2. 민족사학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서중석 / 토론: 이만열·임영태)
 

2. 28  제2회 월례발표회 개최
       1. 1920년대 한인 기독교인들의 민족운동에 관한 일고찰(신주현)
       2. 국대안 반대운동의 이념적 성격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접근(최혜월)

 

3. 14  제3회 월례발표회 개최
       1. 일제하 예산 성씨가의 자본축적과정과 정치활동(김성보)
       2. 한국정치사에 있어서 ‘부르조아민주주의혁명론’이 갖는 의미 ― 8·15직후 ‘민주주의혁명론’을 통해서(여현덕)

 

3. 21  제7회 학술강연회 개최 (장소: 학술진흥재단 강당)
       1. 동학농민전쟁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안병욱 / 토론: 이이화·박찬승)
       2. 근대문학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김윤식 / 토론: 최원식·김철)

 

4. 10  회보 제4호 간행

 

4. 11  제4회 월례발표회 개최
       1. 국가론 연구노트 ― 사회구성체론과 국가론(김광식)
       2. 한국사 연구에 있어서의 민중론의 일 검토(박한용)
 

5.  9  제5회 월례발표회 개최
       1. 조선조 북인정권의 성립과 대민정책의 성격(1598∼1608)(정홍준)
       2. 조선조 인구 및 신분 연구 자료로서의 호적에 관한 일 연구(은기수)
 

5. 21  제8회 학술강연회 개최(장소: 학술진흥재단 강당)
      1. 19세기 사회경제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이영훈 / 토론: 방기중, 이헌창)
      2. 일제하 사회경제사 연구현황과 문제점(발표: 안병직 / 토론: 정태헌, 우대형)

 

6. 13  제6회 월례발표회 개최
       1. 1920년대 문예운동에 있어서의 방향전환론 연구(정홍섭)
       2. ‘영남소요’(10월폭동)에 관한 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정해구)

 

6. 27  19세기 민중운동사 세미나팀 ‘제2기’ 세미나 출범

 

6. 30  제2차 정관 개정, 연구소 기구 개편으로 ‘2국 1실 체제(사무국, 출판국, 연구실)’ 출범
       운영위원회(정석종, 임헌영, 이이화, 이균영, 박호성, 박용일, 김신재, 원혜영, 박원순, 반병률, 김광식) / 소장(정석종), 부소장(임헌영, 이이화), 연구실(실장: 이균영, 부실장: 박호성, 연구부장: 백유선 /  차장: 장규식, 정해구, 기획부장: 김익한 / 차장: 정철영, 자료조사부장: 정홍준, 섭외부장: 최영선, 차장: 김정현, 사무국장 겸 총무: 반병률, 사업부장: 윤해동, 출판국장: 원혜영, 편집부장: 한상구

 

6. 30  회보 제5호 간행

 

7. 3   한문강좌 『맹자』, (강사–김동주) 시작

 

7. 11  제7회 월례발표회 개최
       1. 일제하 식민지 국가권력의 성격에 관한 한 연구 ― 조선총독부 재정 분석(1920∼1937)(박찬표)
       2. 식민지시대 계급구조에 대한 연구 ― 1920년대를 중심으로(백욱인)

 

8. 1∼3  하계수련대회(장소: 경북 안동)
   기획토론: 한국사회와 지식인, 지식인 일반론(박호성) / 한국사회 계급구조와 지식인(김동춘) / 한국현대사에서의 지식인의 존재형태와 운동(서중석) / 지식인운동 전망(이수인)
 

9. 8∼10. 27  
   제1기 한국사교실: “인물로 본 한국근현대사”
   평안도 농민전쟁과 홍경래(정석종) / 동학농민전쟁과 전봉준(이이화) / 3·1운동과 33인(김경태) / 국내 공산주의운동과 화요파(임영태) / 일제 말기 해외독립운동가들(김남식) / 해방정국과 여운형, 김규식(김광식) / 해방정국과 이승만·김구(송건호) / 1950년대와 조봉암

 

9   연구소 임원 변동. 연구부차장: 정해구, 섭외부차장: 정병은, 총무부장: 윤해동, 사업부장: 최혜월, 영업부장: 이세범

 

9. 12  제8회 월례발표회 개최
       1. 일제하 공산주의자들의 민족문제 인식과 민족협동전선론(윤경호)
       2. 해방 후 전농과 농민운동(박혜숙)

 

9. 29  “역사 전문대중지”를 표방하고 무크 『역사비평』 창간호 간행
 

10. 31 회보 제6호 간행

 

10     ‘한국 근대 민중생활사’ 공동작업반 출범

 

11      근대사 2기 연구모임이 주축이 되어 ‘일제시대 노동운동사연구모임’ 출범

 

11. 10∼12. 22
    제2기 한국사교실: “한국 근·현대사의 변혁운동”
      조선후기 민중운동과 임술민란(안병욱) / 개화파와 독립협회(주진오) / 변혁주체로서의 민중과 의병운동(조동걸) / 항일투쟁과 상해임시정부(강만길) / 민족협동전선과 신간회(이균영) / 민족통일정권 수립과 한민당·남로당(신병식) / 민족통일운동과 남북협상(이호재)

 

11. 14 제9회 월례발표회 개최
       1. 중국 근대에 있어서의 진화론의 수용과 극복(조경란)
       2. 한국사회의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에 관한 일 연구(한인)

 

12      한문강좌 19세기 사회사상사 자료선(강사–이이화) 시작

 


1988

1. 9   제10회 월례발표회 개최
       1. 한말·일제침략하의 자본주의 근대화론의 성격(서중석)

 

1. 12∼2. 23
   제3기 한국사교실: “한국현대사의 재조명―미군정기 한국사회와 민족문제”
       미·소의 전후전략과 대한반도 정책(손영원) / 8·15직후 건준과 지방정치(김광식) / 모스크바 3상회의와 신탁통치안(이완범) / 우익정치세력의 정권획득과정(한홍구) / 해방직후 민족·계급문제 인식(김남주) / 좌익 제정당의 3당합당 과정(심지연) / 미군정기 노동·농민운동(정해구)

 

1. 16∼17 
   연구회원 수련회 개최 (장소: 여주 신륵사)
   기획토론: 87년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평가(최영선) / 민주화운동의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박한용) / 학술운동의 위상과 과제(전효관) / 연구단체들 내에서의 역사문제연구소의 활동과 반성(정병은) 
 

2. 10  회보 제7호 간행

 

2. 13  제11회 월례발표회 개최
       1. 19세기 민중운동과 민중사(우윤)
       2. 조선후기 속화와 춘화의 사회사(유홍준)
 

2. 22 역사비평사 출판사 등록 허가

 

2. 27  역사문제연구소 개소 2주년 기념 심포지엄 “한국 근현대 변혁운동과 민주주의” 개최 (장소: 연세대 장기원기념관)
       19세기 후반(개항기 시기)의 근대화의 성격과 방향(조민) / 임시정부 성립기에 있어서의 민주주의론의 위상(반병률) / 해방후 사회주의자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김익한) / 4월혁명과 한국민주주의(김창진) / 종합토론

 

3      『역사비평』 제2호가 1988년 봄호로 간행

 

3. 8∼4. 19
   제4기 한국사교실: “한국사회 어떻게 볼 것인가 1 ― 역사·현실·전망”
   한국 근현대사의 인식방향(정석종) / 한국 경제구조에 대한 민족사적 이해(박현채) / 한국 민중들의 역사인식(김진균) / 민족교육의 사적 전개와 전망(이규환) / 민족·민중문학의 역사성과 실천성(임헌영) / 해방후 한국사회의 정치구조

 

3. 12  제12회 월례발표회 개최
       1. 전남지방 정치와 여순사건(황남준)
       2. 소설 『태백산맥』과 한국현대사(조정래)

3. 28  중국현대사 세미나팀 2기 모임(중국현대사상사 논쟁 중심) 출범

 

4.  9  제13회 월례발표회 개최
       1. 1930년대 중국 지식인의 정치활동과 이념 ― 구국회를 중심으로(김정현)
       2. 임술농민봉기의 성격에 관한 재고찰(조윤선)

 

4. 30  제3차 정관 개정, 연구소 기구개편 확정 및 임원 변동
  운영위원회(정석종, 임헌영, 이이화, 서중석, 이균영, 박호성, 김신재, 박원순, 김광식) / 소장(정석종), 부소장(임헌영, 이이화, 서중석), 연구실(실장: 이균영, 부실장: 박호성, 연구부장: 윤대원), 사무국(국장: 공석, 기획: 정태헌, 총무: 윤해동, 사업부장: 이승렬, 자료·조사부장: 공석, 섭외부장: 조경란), 출판국(국장: 서중석, 편집부장: 한상구, 영업부장: 이세범) 
 

5. 3∼6. 14
  제5기 한국사교실: “한국사회 어떻게 볼 것인가 2 ― 쟁점과 과제”
  분단시대의 역사인식(강만길) / 한국 여성문제의 인식과 실천적 모색(이효재) / 한국민중들의 정치의식과 참여(장을병) / 농민운동의 전개와 반성 그리고 전망(이우재) / 해방후 노동운동의 양상과 과제(김금수) / 북한문제의 제인식(양성철) / 언론을 통해 본 한국사회의 실상과 허상(송건호)

 

5. 9   미국 뉴멕시코 주립대학 교수 제임스 메트레이(J. Matray) 초청 세미나 “미국의 대한정책(1945∼1950)” 개최

 

5. 28  회보 제8호 간행

 

6      『역사비평』 3호 간행
 

6. 3∼4  연구단체 연합 심포지엄 참가 (장소: 한양대)

 

7. 12∼8. 23
      제6기 한국사교실: “한국전쟁, 그 원인과 결과”
 냉전체제의 성립과 미·소의 한반도 정책(최상룡) / 분단국가의 성립과 남북한 사회의 변화(황남준) / 한국전쟁의 전개과정(김주환) / 1950년 원조경제의 기본 성격(이대근) / 한국전쟁과 세계경제(이대근) / 부산 정치파동과 이승만 독재정권(김광식) / 한국전쟁을 바라보는 여러가지 시각(최봉대) 
 

7. 30∼8. 1 
      한국사회와 민족문제”라는 주제로 하계 정기수련대회 (장소: 여주 신륵사)
      기획토론 : 남북한 전쟁능력 비교 연구(이영희) / 노동자가 생각하는 민족운동(민종덕) /  ‘민족문제와 나의 생활’

 

8. 18  『남부군』의 저자 이태(이우태)와 『빨찌산』의 저자 이영식 초청 강연회 개최
 

9     『역사비평』 4호 간행

 

9. 6∼10. 18
  제7기 한국사교실: “분단체제 확립과 50년대 한국사회”(강사: 김광식)
  미군정과 분단국가의 형성 / 미군정기 노동·농민운동과 10월사건 / 4·3사건과 5·10선거 / 여순사건과 농지개혁 / 한국전쟁의 현대사적 위상 / 이승만정권하의 한미경제관계 / 민족·민주운동으로서의 4·19
 

9. 16  한문강좌, 1894년 농민전쟁 관련 자료로 시작(강사: 이이화)

 

10     사무실 이전(주소: 서대문구 충정로 2가 69–17)
 

10. 31 회보 제9호 간행

 

11. 8∼12. 20
   제8기 한국사교실: “군사정권과 한국의 민주주의”(강사: 김광식)
  4·19와 5·16 군사정권의 성격 / 1960년대 정치와 경제 / 7·4남북공동성명과 유신체제의 성격 / 1970년대 민주화운동 / 1980년대의 권력구조와 경제정책 / 1980년대의 민족민주운동
 

11. 26∼27
   한국사교실 후속모임인 ‘한국민중사 모임’ 수련회 개최 (장소: 청평 안전유원지)

 

11    외부의 압력에 대한 연구자들의 공동이익과 연구단체들간의 학문적 교류 활성화 및 사회 민주화에 이바지하고자 창립된 ‘학술단체협의회’에 가입
 

12   ‘해방3년사’ 연구팀이 ‘한국현대사’ 연구모임으로 확대 조직
       『역사비평』 5호 간행

 

12. 16 한국사교실 후속모임으로서 “바른 역사인식과 실천을 위한 모임” 구성

 

12. 18 한국사교실 회원 북한산 등반대회

 

 

1989

1. 7   신년하례회

 

1. 11∼2. 22
   제9기 한국사교실: “민족해방운동사 1–만주지역을 중심으로”
  독립군 기지 건설과 독립군 전투(1919∼20년 초)(송우혜) / 1920년대 만주지역에서의 민족해방운동(서중석) /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1(한홍구) /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2(한홍구) / 한국광복군과 조선의용군(한홍구) / 만주지역에서의 민족해방운동과 북한정권(한홍구) / 총괄토론: 민족해방투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12∼2. 27
   한국역사연구회와 공동으로 한국사 특강 “현단계 한국사 인식의 과제와 전망–과학적 역사연구와 올바른 한국사 인식을 위해” 개최
       올바른 한국사 인식을 위하여(한상권) / 일제하의 한국사 인식 1–식민주의 역사학(백승철) / 일제하의 한국사 인식 2–반식민주의 역사학(김현영) / 통일민주국가 건설기의 한국사 인식(한홍구) / 북한의 한국사 인식 1(이세영) / 남한의 한국사 인식 1(이영호) / 남한의 한국사 인식 2(이영학) / 총괄토론(방기중)
 

1. 22   정기 등반대회, 관악산

 

1. 25∼26
   연구원 수련회 개최(장소: 우이동 대한상회), 토론주제: “연구소의 위상과 전망(김성보, 송영규)”

 

2    연구소 운영의 핵심주체로서 상임연구원제 실시, 김성보 및 김동춘 확정 
 

2. 18  제1회 연구발표회, “독립선언서의 발표시기(송우혜)”

 

2. 19  정기 등반대회, 북한산
 

2. 25  회보 제10호 간행

 

2. 25  한겨레신문사의 후원 하에 한국역사연구회와 공동으로 ‘3·1운동 7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개최 (장소: 프레스센터)

 

3   19세기 민중운동사 연구모임이 ‘1894년 갑오농민전쟁 100주년 기념사업’을 주된 목표로 작업팀으로 전환 
      『역사비평』 6호 간행

 3. 8   연구원 수련회의 결정사항에 따라 비공식적으로 ‘연구모임협의체’ 발족
 

3. 15∼4. 30
  제10기 한국사교실: “민족해방운동사2–동학농민군의 삶과 투쟁”
  서론: 한국근대사에서의 반제국주의·반봉건투쟁의 의의(우윤, 김선경) / 농민군은 무엇을 위해 싸웠는가(이이화) / 총괄토론: 현지답사
 

3. 19  정기등반대회, 강화도 마니산

 

4. 22  제2회 연구발표회
       1. 미군점령의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한 하나의 제언 ― 부르스 커밍스에 대한 비판을 겸하여(송광성)
       2. 논쟁을 통해 본 중국 맑시즘 유입 양상(중국사 연구모임)

 

 4. 29∼30
   공주·보은지역 역사기행 (제10기 한국사교실 프로그램 중)

5      『역사비평』 7호 간행

 

5. 17∼6. 28
   제11기 한국사교실: “한국근대 사회사상과 인물”
   조선봉건사회와 정약용의 사상(정석종) / 서재필과 개화사상(주진오) / 신채호의 민족주의(이이화) / 안창호·이승만의 민족주의(송건호) / 김원봉과 의열단(염인호) / 1930년대 공산주의운동과 이재유(이애숙) / 총괄토론–한국근대사회사상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김동춘,김성보)

 

5. 20  운영위원회와 이사회의 연구소에 활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이사회 개최
 

5. 28  경기도 양평에서 농촌활동

 

6    대중교육담당 상임연구원 안병용 및 경제사프로젝트담당 상임연구원 정태헌 선임
 

7. 1   러시아어 강좌 시작(강사–박재만)

 

7. 7   사업의 질적 발전을 위해 3월 발족한 ‘연구모임협의체’ 자체 해소
 

7. 19∼8. 30
   제12기 한국사교실: “문학을 통해본 한국 근·현대사”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한국근현대사에서의 민중의 생활과 민중운동(임헌영) / 최인훈의 『광장』에서 나타난 1960년대 지식인의 사회인식(김동춘) / 조정래의 『태백산맥』에서 나타난 분단체제의 확립과정과 민중들의 저항(이완범) / 황석영의 『객지』에서 나타난 한국자본주의 발전과 민중들의 소외(허석렬) / 김인숙의 『79∼80』에서 나타난 1980년대 한국사회와 민주화운동(정태헌) / 정도상의 『천만개 불꽃으로 타올라라』에서 나타난 1980년대 한국사회와 노동문제(박준식) / 윤정모의 『고삐』에서 나타난 분단과 미국 그리고 한국인(김광식)


7. 29∼31
   하기수련회 (장소: 여주 신륵사) 기획토론 : “나의 생활과 한국사(김종익)” / “통일운동론의 쟁점과 전망(김낙중)”

 

8    증언채록담당 상임연구원 한상구 선임 
       『역사비평』 8호 간행


8. 30  회보 제11호 간행


9   한문강좌 『오하기문』 (강사–이이화) 시작


9       ‘갑오농민전쟁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 이이화) 결성


9       ‘세계노동운동사’팀 해체 후 ‘일제침략기 공산주의운동사’팀으로 새로 구성

 

10   사무실 이전(주소: 중구 필동 2가 120–1)


10. 28 제4차 정관 개정을 통해 상임연구원제, 연구실 제도의 상설화로 연구소의 연구활동을 강화


11     『역사비평』 9호 간행


11. 4  월례발표회, “대한국민회 직속 홍범도 연합부대의 위훈–청산리전쟁의 재조명(마해룡)”


11. 22∼12. 28
   제13기 한국사교실: “한국근현대사 인식의 쟁점–‘우익’지배세력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올바른 한국사 근·현대사 인식을 위해(정용욱) / 민족해방운동에서 상해임시정부의 역사적 위치(전우용) / 일제하 실력양성론과 친일파(이지원) / 분단과 8·15(송광성) / 미군정과 이승만(유상영) / 신탁통치론(윤해동) / 반민특위론(한상구)

 


1990

1. 24∼2. 28
   제14기 한국사교실: “한국 현대사와 정당–1990년대 정당정치의 역사적 이해를 위하여”
   정치와 정당(고성국) / 한국 정당정치의 변천사(정기영) / 미군정기 한국정당의 형성과정 1–좌익정당을 중심으로(정해구) / 미군정기 한국정당의 형성과정 2(이철순) / 1950년대 이후의 한국보수정당사(정기영) / 1950년대 이후의 한국진보정당사(유재일) / 1980년대 한국의 정당정치(정관용) / 한국정당정치의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이수인)


2    연구실장에 방기중 선임


2. 10   월례발표회, “18세기 민중의 동향과 무신란(정석종)”, “동학농민전쟁 과정에서의 집강소 연구(조민)”


3. 10  연구발표회, “1920년대 말∼30년대 한국 사회주의자들의 신국가건설론에 관한 연구”(우동수), “1930년대 함경도지방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연구(신주백)”

 

3. 14∼4. 18
   제15기 한국사교실: “우리나라 지방자치제의 역사와 1990년대 지방 자치제”
  지방자치제란 무엇인가(정기영) / 조선봉건국가의 지방제도와 일제식민통치시기의 지방자치(염인호) / 미군정기 지방인민위원회와 정부수립후의 지방자치제(윤대원) / 현 지방자치제법의 문제점(이계수) / 지역사회, 지방정치와 지방자치제(김태일) / 1990년대 정당정치와 지방자치제(고성국)

 

3. 15∼21
   ‘한국근현대사 연구기금 마련을 위한 서화전’ 개최(인사동)
 

3. 24  제1회 연구토론회 ‘민족해방운동사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 개최 (장소: 연세대 장기원기념관)
   총론: 민족해방운동사 연구의 방법론과 사상적 기초(김동춘) / 부르조아 민족주의운동 연구의 쟁점과 과제(전우용) / 사회주의운동사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김성보) / 대중운동사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김광운)

 

3. 30  회보 제12호 간행 
 

4. 14  연구발표회 “민족의 개념–유럽의 경우를 중심으로(박호성)”

 

5    백추위, 제1차년도 학술발표회 (장소: 연세대 장기원기념관) “1894년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5. 19  연구발표회, “해방 직후 토지개혁론(서중석)”

 

5. 20  광주순례
 

5. 19  연구발표회, “해방 직후 토지개혁론(서중석)”

 

6. 30  쟁점학술토론회 1 “동학농민전쟁의 용어 및 성격”

 

7. 14  연구발표회, “신간회의 복대표대회와 해소문제(이균영)”

 

7. 21∼23  
       전북 장수군 연화분교에서 하계수련회, 강연“산세와 역사(이이화)” 
 

9. 12∼10. 24
   제16기 한국사교실: “통일논의의 현재와 전망”
   남북한 통일운동 변천사(정대화) /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국제관계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이종석) / 동서독 통일과 문제점(박호성) / 고려연방제와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비교 분석(김남식) / 한반도 통일의 조건과 과제(정대화) / 총괄대담(임영태)


9. 29   미군정기 우익연구 프로젝트팀의 제2차 워크샵 ‘미군정 지배구조의 형성과 성격’ 개최 (장소: 대우학술재단빌딩)

 

9. 30∼10. 1
   백추위 주최로 일반인을 위한 대중역사기행, 강원도 홍천의 서석·강릉·원주지역 답사

 

10    상임연구원제도 정착을 위한 구조 마련에 대한 논의 진행, 분과별 운영과 상임연구원제도의 확대 합의
 

10. 31 회보 제13호 간행


 

1991

1. 12  신년하례회

 

2    임원변동. 2대 이사장 원경, 부이사장 장두환 선임. 제2대 소장으로 이이화 취임. 부소장에 서중석·박호성·이균영 취임, 운영위원회 (정석종·이이화·원경·임헌영·서중석·장두환·박호성·이균영·박원순·방기중·윤해동·이승렬), 연구실(실장 방기중, 사무국장 윤해동, 총무부장 김경자, 사업부장 전우용, 연구조사부장 신주백, 편집부장 배항섭 담당), 연구원은 운동사분과에 임대식·신주백·오미일·한상구·윤해동, 경제사분과에 이승렬·배항섭·전우용·정태헌·이경란, 현대사분과에 김성보·김동춘·박명림·오유석·안병용

 

3. 8   한문강독 『오하기문』 특강

 

3. 30∼4. 1
   백추위 주최로 대중역사기행, 전남 순천·선암사·보성·여수·하동 등 답사

 

4. 24∼5. 27
   제17기 한국사교실: “인물한국현대사–역사상의 라이벌”
   김구·김원봉(노경채) / 송진우·안재홍(서중석) / 이승만·여운형(이기형) / 정인보·백남운(조동걸) / 박헌영·김일성(이종석) / 박정희·장준하(백기완)
 

4. 27  연구발표회, “해방정국과 연합성 신민주주의론(방기중)

 

6    체제개편에 따른 연구위원 보강 작업 일단락, 새로이 구양근·김정기·남지대·노경채·박찬승·방기중·유승원·윤구병·이근수·이종범·이해준·지수걸·하영휘·한상권·허원·홍순권 이상 16명 충원 , 김대환·김승환·김태현·김혈조·박덕배·서관모·성태용·송영원·신범순·유초하·장병옥·정학섭·허석렬 이상 12명 정리

6. 15  연구발표회, “김정일 연구(이종석)”

 

7   오미일을 상임연구원으로, 윤덕영·서현주를 비상임연구원으로 충원

7   총무부장 김경자 사임, 후임에 양명희 선임

 

7. 20∼22 
       하계수련회(장소: 충북 단양·제천 일대), 발표:“현단계 한국민주화의 조건과 방향(박명림)”

7. 31  회보 제15호 간행

 

7. 31∼8. 2
   연변에서 개최된 ‘코리아학 소장학자 국제학술토론회’에 연구위원 주진오·김도형·안병욱·이근수·이종범 및 연구원 김성보·이종석·신주백 참가

8    서고정리 작업이 마무리 되면서 도서대출 및 이용에 관한 내규를 새로 마련

 

8. 5   일본 ‘아시아민중사연구회’ 소속 학자들(深谷克己 외 10명)과 “19C 한국과 일본의 민중운동”이라는 주제로 연구소에서 한일합동토론회 개최, 정석종·조동걸·강만길·김경태·서중석·구양근·고석규 참가

 

10. 5  현대사분과 주최로 서중석의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에 대한 저작비평회 개최. “한국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박명림)”

10. 10∼11. 14
   제18기 한국사교실: “한국의 재벌–성장의 주역인가 탐욕의 화신인가”
  민족자본인가 예속자본인가–일제하 경성방직과 화신(유인호) / 일본이 남긴 재산 누구에게 갔나–미군정기 귀속재산의 불하와 매판관료자본(김기원) / 원조경제로 살찐 재벌들–이승만정권하 삼성을 중심으로(공제욱) / 누구를 위한 경제개발인가–현대, 그 ‘야망’과 ‘욕망’의 세월(서재진) / 한국재벌 이대로는 안된다–한국민주주의의 진로와 재벌(최정표)

10. 26 ‘연구소 개소 5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장소: 연세대 장기원기념관) 전체주제는 “한국 근현대 민족주의와 민족통일전선운동”
       일제하 민족자본가의 존재양태와 민족주의(발표: 전우용 / 토론: 허수열), 신간회운동에서의 민족주의세력의 위치 (발표: 이균영 / 토론: 김경일), 해방후 남한의 우익 민족주의와 민족통일전선(발표: 서중석 / 토론: 정영태), 북한의 민족주의세력과 민족통일전선(발표: 김성보 / 토론: 강정구), 종합토론(사회: 안병욱) 

10. 31 회보 제16호 간행

11   백추위 제2차년도 학술발표회 “18·19세기의 농민항쟁” (장소: 대우학술재단)

11. 16∼17
  백추위 주최로 전북 전주·원평·정주일대 역사기행

12   한문강좌, 『梅泉野錄』 (강사:이이화) 시작

 


1992

1   부소장 이균영·박호성 사임, 연구담당 부소장은 김정기 선임, 섭외담당 부소장은 폐지, 원경 이사장 퇴임, 제3대 어윤경 이사장 취임

 
1. 11  신년하례회


2    운영위원에 임현진, 정재정 충원


2. 29  회보 17호 간행

 
3    운영위원 및 이사에 이종걸 충원

 

3. 14   현대사분과 주최로 방기중의 『백남운 연구』에 대한 저작비평회. 발제:“한국 현대 사상사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김성보·윤덕영·오미일·박명림)”

 

3. 21  월례발표회, “조선의용대 및 조선의용군 유적 답사 보고(조동걸)”

4. 18  월례발표회, “중국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 연구동향(방영춘)”


4. 23∼6. 3
       제19기 한국사교실: “친일파·민족반역자 열전”
   친일파를 다시 본다(서중석) / 이완용·송병준(이이화) / 이광수·최남선(임헌영) / 빅흥식·문명기(김봉우) / 심형구·김은호(윤범모) / 김활란·모윤숙(강정숙) / 8·15직후의 친일파 집단(방기중)
 

5   운영위원회에서 논문집 간행을 결정하고 편집위원회 구성

 

5    백추위 연세대 장기원기념관에서 제3차년도 학술발표회 “농민전쟁의 정치사상적 배경”

5. 16  김철호 이사가 운영하는 경기도 화성군 화수리 동풍농장에서 운영위원·연구원 합동야유회 개최

 

5. 23  박찬승의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에 대한 저작비평회 개최. (발제:지수걸·윤해동)

 

6. 6∼7 
       백추위 주최로 대중역사기행, 충청도 해안지역

 

6. 15  조신 선생 회고담에 대한 강청, “화북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 활동에 대하여(1944∼47)”

 

6. 27  현대사분과 주최로 학술토론회 개최
  주제: “한국현대사 연구방법론의 창조적 모색을 위하여”
       남한사회 변혁운동 연구방법론(김동춘) / 북한 ‘조선로동당’의 성격과 구조변화 연구방법론(이종석)
 

6. 30  회보 제18호 간행

 

6. 6∼7
       백추위 주최로 대중역사기행, 충청도 해안지방 답사

7. 2∼8. 20  
       사무국 대중교육부에서 제1회 한국사강좌 개설
       주제: “한국현대사(강사:서중석)”, 총 7회

 

7. 24  백추위 후원회 발족식

7. 25  경제사분과 주최하에 “제국주의와 한국자본주의”를 주제로 학술발표회 개최 (장소: 대우학술재단)
  일제시기 소득세의 도입과 시행과정(정태헌) / 宇垣一成과 조선공업화(이승렬)

8. 29  역사비평사와 공동으로 “한국민족은 언제 형성되었나”라는 주제하에 학술토론회 개최 (장소: 대우학술재단)
  한국민족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노태돈) / 유럽에서의 근대 민족형성에 관한 소고(박호성)      

9. 25  현대사분과 주최하에 학술토론회 개최. “분단·북한혁명·한국전쟁–퍼스펙티브·이론·해설(박명림)”

10. 3∼4  
       백추위 주최로 대중역사기행, 지리산 김개남 활동지역 답사

 

10. 22 제20기 한국사교실: “인물로 본 항일무장투쟁사”
  김좌진·홍범도(서중석) / 이동휘·신채호(이균영) / 이청천·양세봉(장세윤) / 이상설·박용만(윤병석) / 김일성·최용건(이종석) / 김원봉·무정(염인호) / 항일무장투쟁의 역사·민족해방운동의 역사(조동걸)

10. 31 백추위 주최 하에 “동학농민전쟁에 드러난 정치·사회·경제적 체제구상은 무엇인가” 주제로 쟁점학술대회 개최
   농민집강소의 역사적 성격(정진상) / 주도세력의 정치·이념적 구상(조민)
       회보 19호 간행

11. 28 월례발표회, “개항기 한국자본가 형성에 관한 연구(전우용)”

 


1993

1. 9  신년하례회

 

1. 16∼17  바실모, 경기도 능내로 MT

1. 28∼2. 25  
      백추위 주최로 제1회 동학농민전쟁 역사교실
      동학농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우윤) / 농민전쟁에서 동학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조민) / 동학농민전쟁의 지도자들(이이화) / 집강소–최초의 민중권력기구인가(정창렬) / 농민전쟁 역사기행 어떻게 할 것인가(박준성)


2   윤해동 사무국장 퇴임, 배항섭 선임


2. 28  회보 20호 간행


3   임대식, 자료조사부장에서 편집부장으로 이동


3   경제사분과 ‘1910∼20년대 상업사 연구’ 프로젝트 시작(이승렬·전우용·송규진·허영란·정재정·이경란)


4.  8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역사』(웅진출판사) 출판기념회 (장소: 웅진출판사 강당)

 
4. 8∼5. 6
  제21기 한국사교실: “오늘의 시점에서 되새겨 보는 한국역사 5천년”
  총론(조동걸) / 고대(김영하) / 중세(조광) / 근대(이이화) / 현대(서중석)


4. 17  월례발표회, “일제말기 만주이민과 재만조선인사회의 변동(염인호)”


4. 18  백추위 기구 간담회 개최


5.  6  『민족해방운동사』 및 『역사비평』이 제7회 心山賞 수상대상으로 결정

 

5. 26∼27
   백추위, 전주 MBC 창사기념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학술대회 참가

6. 12  지수걸의 『일제하 농민조합운동 연구』에 대한 저작비평회 개최. (발제:이준식·윤해동·전우용·박명림)

 

6. 30  회보 21호 간행

8. 4∼13
  백추위 주관하에 북경·심양·단동·연길·백두산·용정·도문·위해 등지 중국역사기행 (총 31명)

 

8. 21  월례발표회, “한국철도사의 현황과 과제(정재정)”

9. 18  “박정희정권 18년을 재평가한다”라는 주제로 제2회 학술토론회 개최 (장소: 한국학술진흥재단)
   박정희정권의 정치적 성격(손호철) / 박정희정권의 경제개발: 신화와 현실(김대환)


9. 25  폴란드 역사학자 알렉산드르 기에쉬또르 초청 토론회


10. 7∼11. 4
   백추위 주최로 제2회 역사교실 “지역별 농민전쟁의 특성과 전개” 개최
   전라북도 고부 및 황토재전투(우윤) / 충북내륙 및 경상도지역(신영우) / 전라남도·경상도 해안지역(이이화) / 충청도 해안지역 및 공주전투(배항섭) / 경기도·강원도지역(박준성)


12. 31  회보 22호 간행(해외특집호)

 

11. 2∼12.7
   제22기 한국사교실: “작가와 역사가와의 만남”
  강준식의 『적과 동지』(임헌영) / 김주영의 『객주』(고동환) / 현기영의 『순이 삼촌』(양한권) / 송기숙의 『녹두장군』(우윤) / 조정래의 『태백산맥』(박명림) / 안정효의 『하얀전쟁』(강정구)


11. 4  백추위, 공주대 개교기념 학술대회. 주제:“충청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참가”

 

11. 5∼7
  백추위 주최로 2회 역사교실 후속 역사기행, 강진·자흥·해남·영암·나주·광주 답사


11. 24 해방50주년 기념 프로젝트 “해방 50년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출범. (집필자 :최장집·서중석·정해구·김동춘·박명림·이종석)


11    월례발표회, “일제하 개인소득세 제도에 대한 연구(정태헌)”


12. 4  운동사분과 지역운동사 공동연구팀이 “한국근현대 사회운동과 민중–호남과 영남(1920∼48)”이라는 제하에 학술발표회
   일제하 사회주의운동과 대중운동(신주백·오미일·김일수) / 일제하 민족주의운동과 사회주의운동(박찬승) / 해방후 지방인민위원회와 변혁운동(안종철·신종대·안소영) / 종합토론발표: 근현대지역운동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오미일)


12. 12 백추위, ‘동학농민혁명백주년기념사업단체협의회’ 기자회견


12. 13 백추위, 전주에서 ‘동학농민혁명백주년기념사업단체협의회(동단협)’ 결성, “다시 쓰는 사발통문” 발표


12. 18 연구소 송년회


12. 31 회보 23호 간행

 


1994

1. 8   신년하례회

 

1. 9   백추위, CBS ‘화제작을 말한다’ 지원


1. 28∼30 
       제주도 4·3연구소와 공동역사기행


2    연구원들의 부장직 겸임 전면 폐지. 일부만 회보와 한국사교실을 위하여 사무국장 주관하의 기획회의 참여, 사무국장 배항섭에서 김성보로 교체, 사무국 총무차장에 장창현 담당


2   백추위, KBS 제1라디오 다큐멘터리 지원


2   신임연구원 운동사분과 유시현 충원


2. 9   백추위, EBS 방통대 특집 프로그램 ‘녹두장군 전봉준’ 지원


3. 3   백추위 주최로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창립


3. 7∼29
       백추위에서 MBC의 동학농민전쟁 100주년 기념 드라마 제작에 협조


3. 14∼19 
       백추위, CBS 농민전쟁 특집 방송 지원


3. 19  월례발표회, “1935∼38년 재만한인 민족운동의 새로운 모색(신주백)”


3    서고정리, D–BASE 작업 시작


3    백추위, 한국역사연구회 회의실에서 제4차년도 학술발표회. 주제:“1894년 농민전쟁의 전개과정”


4. 23∼24 
       충청도 수덕사에서 연구원·운영위원 MT


4. 25∼30 
       백추위, 동학농민혁명 백주년 기념기간으로 설정


4. 29∼5. 27
       제23기 한국사교실: “역사법정–한국현대사 주역들을 재평가한다”
   서재필, 그는 친미주의자인가, 독립운동가인가(배항섭) / 이동휘, 그의 역사적 역할을 논한다(조동걸) / 김구, 그는 민족통일운동가인가, 남북분단에 책임이 있는가(도진순) / 조병옥, 그는 자유민주주의자인가, 극우반공주의자인가(서중석) / 조봉암, 그는 현실주의자인가, 이상주의자인가(유재일)


4. 29∼30
       백추위, 전주시청에서 ‘동학농민혁명 백주년 기념대회’


4. 30  이균영의 『신간회 연구』에 대한 저작비평회 (발제:박찬승, 이애숙, 한상구)


4. 30  회보 24호 간행


5    민예총에서 해오던 동학농민혁명 백주년기념사업 단체협의회 사무를 백추위에서 담당


5    백추위, 세종문화회관 대회의실에서 제5차년도 학술발표회. “1894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


5. 1∼22
  백추위, KBS의 동학농민전쟁 특집 다큐멘터리 극장 ‘동학농민전쟁 100년’ 지원


5. 20  서울교육청으로부터 ‘사단법인 역사문제연구소’ 설립 허가


5. 27∼29
  백추위 주최로 경상도 청주·상주·예천·선산·대구·김천일대 역사기행


6   백추위, 대전 KBS 충청도지역 역사기행 다큐멘터리 지원


6. 1   와다 하루키 교수 초청 토론회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논평(신주백) / ‘유격대국가론’에 대한 논평(이종석) / 자유토론


6. 3∼4  
  백추위, 전남대에서 ‘광주·전남 동학농민혁명 백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장성 황룡촌 역사교육장 건립기공식’ 참가


6. 4   해방50주년 기념 제1차년도 프로젝트 심포지엄 “해방 50년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개최(장소 : 성균관대 제2교수회관)
  미군정기 이데올로기 갈등과 반공주의(정해구) / 민주당정권의 극우반공이념과 자유민주주의(서중석) / 박정희정권의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임현진,송호근) / 1960,70년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항이데올로기(김동춘) / 북한의 유일체제와 주체사상의 기능(이종석) / 종합토론


6. 10∼11
  백추위, 전주에서 “동학농민혁명의 지역적 전개와 사회변동”에 참가


6. 18  월례발표회, “한국 근대변혁운동에서의 ‘두가지 길’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배항섭)”

 

7. 9∼10
  백추위에서 동학농민전쟁 역사기행, 청주·안동·예천·선산·대구 답사


7. 23  월례발표회, “북한 농촌사회의 개혁과정 검토(1945∼1950년대)(김성보)”

 

9. 10∼11  
       백추위,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정읍 무명동학농민군 위령제 및 위령탑 제막식’ 참석

8. 13∼15 
       하계수련회(장소: 변산반도 일대)

9    박명림의 『한국전쟁에 관한 연구』에 대한 저작비평회 (발제:서중석·이종석)

 

9   월례발표회, “북한의 농촌사회 변화(김성보)”

9. 24  역사비평사와 공동으로 “‘국제화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주제로 학술대토론회 개최 (장소: 성균관대 교수회관)
  ‘국제화’와 한국민족주의(김동춘) / ‘국제화시대’의 ‘민족문학’(염무웅)

 

9. 30  회보 25호 간행(사단법인 출범기념호)


10. 22 월례발표회, “개항기 민중의 對일본인식과 대응(배항섭)”, “일제시기 정치운동과 민족주의 좌·우파세력(한상구)”


10. 29∼30
   백추위, 우금치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회가 주최하는 ‘공주 동학농민전쟁 백주년기념 합동위령제’ 참가


11. 2∼30
   제24기 한국사교실: “인물로 본 한국 민족주의”
  최익현과 척사위정(이이화) / 김옥균과 개화사상(배항섭) / 신채호와 비타협노선(하일식) / 조소앙과 삼균주의(노경채) / 여운형과 좌우합작(서중석)


11. 5∼12. 11
   백추위, 우금치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회 및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와 함께 대전지역 시민역사강좌 주최(총 7회)


11. 19 월례발표회, “일제의 지방통치와 ‘민’의 대응–1905∼45(윤해동)”


12. 28 백추위, 『다시 피는 녹두꽃』과  『번역 오하기문』 출판기념회


12. 31 회보 26호(동학농민전쟁 백주년 결산호), 27호 간행


12   월례발표회, “일제초기의 무역정책(송규진)”

 


1995

2   사무국장 김성보에서 한상구로 교체, 신임연구원 충원 (경제사분과 정병욱, 운동사분과 류준범·변은진·허수, 현대사분과 김연철·이신철·이주철)


2. 19  운영위원, 이사, 연구원 합동 북한산 등반


4. 22  월례발표회, “일제하 조선물산장려회 연구–재건과정과 주도층 분석(방기중)”, “조선의용대 조선의용군의 동북노선(염인호)”


4   회원 주소록 ‘역문연 수첩’ 제작


5. 31  회보 28호 간행


6. 3   해방 50주년 2차년도 심포지엄 “남북한 이질화와 통일시대의 과제” 개최 (장소: 성균관대)
      발표: 친일·친미경찰의 형성과 분단활동(임대식) / 소련의 대한정책과 북한에서의 분단질서 형성(김성보) / 남북한 이질화의 사회학적 고찰(김동춘) / 남북한 독재체제의 성립과 분단구조–남한 유신체제와 북한 유일체제의 비교(이종석) / 남한경제의 전개와 경제통합의 과제(김대환) / 북한경제의 전개와 경제통합의 과제(정재정)


6. 17  월례발표회, “북한의 농업집단화와 발전전략 선택(김연철)”


7. 2∼12  중국연구 답사


8. 2   일본 와세다대학 교수 후카이 카쓰미를 대표로 한 아세아민중사연구회 일행 연구소 방문


9. 16  역사비평사와 공동으로 제4회 학술대토론회 “미국과 한반도, 1945∼1995” 개최(장소: 연세대 장기원기념관)
   1. 한미 군사관계의 역사적 재조명(하영선)
       2. 탈냉전시대의 미국과 한반도(이삼성)


8. 19  월례발표회, “북조선의 토지개혁–토지몰수와 재분배(정재정)”

 

9. 22∼10. 27
   제25기 한국사교실: “인물로 본 한국민족주의 2”
   전봉준과 반제반봉건투쟁(배항섭) / 안재홍과 신민족주의(이지원) / 안창호와 자본주의 근대화론(서중석) / 김구와 민족제일주의(도진순) / 이회영과 무정부주의(염인호) / 김창숙과 유림민족주의(김시업)

9. 30  회보 29호 간행

 

10. 28∼29
   한국사교실 후속 역사기행, 충청도 괴산·청원·보은 등지 답사

12. 23 월례발표회, “1950년대 정치사회 연구(오유석)”,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사상단체–1920년대 초기(류시현)”

 


1996

1. 26∼28
       10주년 기념 동계수련회, 설악산 일대

 

1. 31  창립10주년기념 회보 30호 간행

2       사무국장 한상구에서 신주백으로 교체.

 

2. 15   창립 10주년 기념식, 연구소가 2월 21일로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이에 광화문 세종홀에서 성대한 기념식을 치루고 강만길 자문위원이 “21세기를 바라보면서 한국역사 연구가 가져야 할 사관” 이란 주제로 강연을 하였다.


3   연구소의 장단기 연구계획을 세우고 핵심적인 학술토론주제를 설정하여 연구조직체로서의 연구소 위상을 확보하기위해 상임연구위원회 발족


5. 18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개최(장소: 성균관대)
       우리에게 근대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 ‘근대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발표 : 임현진 / 토론 : 유석춘) / 일제하 조선인 가본가의 ‘근대성’-근대 민족국가 형성과 관련하여(발표 : 이승렬 / 토론 : 주익종) / 사상의 전개를 통해 본 한국의 ‘근대’ 모습 - 자유주의·사회주의·민족주의(발표 : 김동춘 / 토론 : 박찬승) / 현대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과 이해 : ‘근대성’과 ‘민중성’의 비교적 관찰(발표 : 박명림 / 토론 : 이윤갑) / 북한사회주의에서 근대와 전통(발표 : 서동만 / 토론 : 김연철)


5. 24∼26  
       제주도 4·3 기행, 제주도 4·3항쟁 관련지역 답사


6. 29∼7. 8
       북경, 우루무치, 투루판, 돈황, 가욕관, 난주, 서안 등 실크로드 일대 답사


6. 30  회보 31호 간행


8. 17∼18
       하계수련회, 1박 2일간 전북 장수로 이이화 소장 회갑연을 겸하여 다녀옴.

 

9. 5   어윤경 이사장 사임, 김영태 4대 이사장 취임


9. 16  역사비평사와 공동으로 제5회 학술대토론회 “19세기, 근대로의 이행인가 반동인가 - 세도정치, 대원군 집권기에 대한 새로운 해석”(성균관대)
   발표: 사회사적 측면(고석규), 정치사상사적 측면(박광용), 문화사적 측면(임형택)


10. 17∼11. 14
   제26기 한국사교실: “의문 속의 고대사 산책”
   건국 시조들은 왜 알에서 태어났는가?(김영하) / 고조선의 강역은 어디인가? - 단군릉과 결부해서(송호정) / 고대인의 사랑과 삶(최광식) / 발해는 누가 세웠는가?(송기호) / 고대한일관계사 - 광개토왕비·임나일본부설(김태식)


11. 9∼10
        가을 역사기행, 백제문화권(홍성, 광천, 무량사,부여 등)


11. 30  10주년 기념 단행본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출간


10. 25 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추진위워회에서 92년부터 진행해 오던 사료영인 작업 완료. 『동학농민전쟁사료』(사운연구소)의 출간에 맞춰 동학농민전쟁 사료비평회겸 출판기념회를 가짐(장소: 대우학술재단)


11. 30 회보 32호 간행


12. 21 ‘필동 시대’를 마감하는 송년회


12. 31 『역사문제연구』 창간호 간행, 특집 : 근대 한국의 지식인과 사상

 


1997

1   김정기 3대 소장으로 취임


1. 25   연구소 집들이(종로구 계동 140-44) 겸 신년하례회

 

1. 30   회보 33호 간행


4. 30   회보 34호 간행


5. 3∼5
       봄 역사기행, 경주 일대 답사(경주 -감포-합천-거창)

 

5. 6∼6. 3
       제27기 한국사교실: “실패한 개혁의 역사”
  신돈 : 공민왕이 신돈을 개혁에 앞장세운 까닭은?(홍영의) / 조광조 ; 실패한, 그러나 성공한 개혁 - 조선시대 개혁의 이상(고영진) / 정조 : 진보적 개혁을 꿈꾸면서 보수적 개혁을 추진한 정조(박광용) / 대원군 : 시대를 잘못 만난 대원군, 그의 실상과 허상(김정기) / 고종 : 생존을 위한 안간힘 - 대한제국의 개혁(이윤상)


5. 24  학술심포지엄 개최.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역사성과 개혁의 전망 - 50년대 사회주의 이행논쟁과 정치사회갈등-”(방송대)
  발표 : 50년대 북한의 정치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발표 : 서동만 / 토론 : 권혁범) / 50년대 북한의 경제건설 논쟁과 귀결(발표 : 김성보 / 토론 : 박형중) / 50년대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자 계급(발표 : 김연철 / 토론 : 류길재) / 전후 북한 문학계의 도식주의 비판과 좌절(발표 : 김재용 / 토론 : 김성수)

 

6. 30∼7.11
      티벳, 성도, 무한, 중경, 장강, 중경일대로 중국 역사기행 


8. 2∼3
      일본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 “18~19세기 근대 이행기의 동아시아 민중사”라는 주제로 국제심포지움 개최(일본 와세다대). 배항섭 왕현종 참여


8. 15∼17  하계 수련회, 동해일대


8. 31  회보 35호 간행


9. 1   사무국장을 신주백에서 이신철로 교체


9. 6   역사비평사와 공동으로 제6회 학술대토론회 “1960년대 이후 학생운동의 역할과 새로운 모색”(방송대)
   발표 : 1960년 이후 한국 학생운동의 전개와 성격(서중석), 80년대 이후 학생운동가의 사회진출 양상과 새로운 모색(김기식)


9. 23∼10.28
       제28기 한국사교실: “정치권력에 찢겨진 지역차별의 역사”
       호남지방 : 전라도를 왜 반역향이라고 하는가?(이이화) / 개성과 강화도 : 고려의 수도와 조선 건국(남지대) / 함경도 : 왕실 발상지에서 반역의 땅으로(오종록) / 평안도 : 조선시대 과거차별과 홍경래의 난(고석규) / 경상도 : 노론에 짓눌린 남인(박광용) / 제주도 : 내국의 식민지(현기영)


10. 1  연구소 서고 완공
  총무부장 양명희 사임, 후임으로 류귀영 선임


11. 1∼2 
       가을 역사기행, 철원·경기 북부 답사


12. 20 운영위원회 겸 연구소 송년회
   신임 연구위원 선정 : 강옥초, 정태영, 조영건, 김승환


12. 31 『역사문제연구』 2호 간행, 특집 : 일제 강점과 식민지 유통구조
   회보 36호 간행

 


1998

1. 14   신년하례회


1. 23   연구실 제 1회 내부 토론 “중세사회론(배항섭)”


2. 15   신년 산행 및 2월 정기총회 (북한산)
   신임연구원 충원: 김민철, 문영주, 장신, 한긍희, 이기훈, 이용기, 이강수


2. 19∼24
  일본 입명관(立命館)대학 학술회의 참가 (서중석, 임헌영, 김성보, 윤해동, 이신철, 허영란)


2. 26   연구실 2차 내부 토론회 “한국 근현대사에서의 ‘내재적 발전의 문제’(김성보)”


3. 21  연구실 월례발표회
       동학농민전쟁관계 일본 측 사료에 대하여―일본 방위청 자료를 중심으로(박맹수)

 

4. 2   연구실 3차 내부 토론회―한·중 관계사(염인호)


4. 25∼26 
   봄소풍 (전북 금산일대)
   신임연구위원 선정 (4월 운영위원회): 주강현, 이삼성


5. 1   연구실 4차 내부토론회 “한국민족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윤해동)”


5. 8∼6. 12 
   제29기 한국사교실 : “문화로 보는 근현대 100년”
   문학: 역사적 과제와 그 미학적 대응(임헌영, 5월 8일) / 서양 속에 묻힌 우리 가락 찾기(노동은, 목원대 교수, 5월 15일) / 영화보기의 인식변화 100년(조희문, 5월 22일) / 20세기 한국 미술, 정체성 찾기(최열, 5월 29일) / 전래의 것과 들어온 것: 민속풍물 100년(주강현, 6월 5일) / 신문: 근현대 100년의 기록(정진석, 6월 12일)


5. 30   신임연구위원 위촉, 승인(강성호, 고정휴, 공유식, 김경일, 김호기, 노동은, 백운선, 정해구, 주강현, 최덕수)


5. 30  일본지역 특별회원모집 시작, 총 22명 가입(宋連玉, 宮田節子, 水野直樹, 鶴園裕, 糟谷憲一, 竝木眞人, 松田利彦, 北原スマ子, 中塚明, 月脚達彦, 大畑裕嗣, 辺英浩, 須川英德, 菅野修一, 松本武祝, 靑野正明, 宣在源, 文純實, 林哲, 小林知子, 藤永壯, 徐勝)


5. 31  사단법인 이사 장두환, 이이화, 어윤경, 남궁혁 임기 만료로 인한 연임신청, 승인


6. 4   연구실 5차 내부토론회 - 대한제국론(전우용)


6. 17   「서원대학교 정상화와 사학비리 척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결성


6. 20  역사비평사와 공동으로 제7회 학술대토론회 개최(성균관대 종합강의동 4층 세미나실) 
       주제: 분단정부 수립 50년 대토론회  “통일, 그 현실적 대안을 찾아서”
   1. 남북관계:냉전시대의 경험과 탈냉전 시대의 과제(김연철)
   2. 냉전의 유제와 분단극복의 방향: 이산가족 문제의 역사성(김재용)
   사회: 정재정 / 토론: 황석영, 서중석, 서동만, 서재진, 전상인


7. 17∼18  
       역사문제연구소 여름수련회(장소: 강화도 일대, 석모도),  발표: 아시아 금융위기와 글로벌 캐피탈리즘의 형성(이해준, 내외경제신문 기자)


8. 21∼25
  제주 4·3 제 50주년 기념 “동아시아 평화와 인권 국제학술대회”(제주도) 참가. (김정기, 서중석, 김백일, 박원순, 임헌영, 고순정, 김성보, 윤해동, 류준범, 이신철, 허수)


8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가입


8. 29   <金大中 대통령의 訪日에 즈음하여 韓日關係의 올바른 定立을 바라는 敎授들의 意見과 政策提案> 서명 작업 참여 


8. 31   회보 37호 간행


9.  4   사단법인 감사 이종걸, 박원순의 임기만료로 인한 연임 신청


9. 19  연구실 월례토론회 『역사문제연구』 3호 특집 ‘일제하 지방사회연구’
  일제하 충남 서산지역의 관료유지 지배체제 연구(지수걸) / 일제하 입회지에 관한 소고(윤해동) / 한국근대 지역사연구 시론(김익한) / 토론: 홍순권(동아대), 김선경(경희대)


9. 19   신임연구원 충원 (박종린, 배경식)


9. 25   연구실 제6차 내부토론회 "1930년대 지식인 전향의 현재적 의미(허수)"


9. 26   역사문제연구소 1998년 심포지움 : “1950년대 한국사회의 선택과 굴절”(방송통신대 별관 2층 세미나실)
    1부 정치분야 / 사회: 정해구(세종연구소)
  1. 일민주의의 파시즘적 성격(서중석) / 토론(백운선)
   2. 1950년대 한국민주주의와 정당정치(박명림) / 토론(유재일)
   3. 1950년대 교육원조와 친미엘리트의 형성(임대식) / 토론(김상태)
   2부 사회분야 / 사회: 김성보
   1. 1950년대 농촌에서의 가족과 국가(김동춘) / 토론(김경일)
   2. 1950년대 농촌사회의 정치적 지배구조와 지방의회선거(최봉대) / 토론(신병식)
    3. 서울의 과잉도시화 과정: 성격과 특징(오유석) /토론(장세훈)


9   신임이사 정창영 감사관, 장완익 변호사 위촉


10   역사비평에 게재할 이사 명단 확정: 강대성(변호사), 고순정, 박완서(소설가), 박중기(사업가), 서명호(사업가), 선왕주(의학), 안병용(변호사), 염성만(사업가), 유영철(한국사), 윤군정, 윤석위(사업가), 이명례(한국사), 이석규(사업가), 조석규(출판업), 이석태(변호사), 정창영(감사관), 장완익(변호사)  이상 17명
   미게재 이사 : 김정란, 이광연(교사)


10   조긍호(서강대, 심리) 연구위원으로 위촉


10. 23∼11. 27
   제1회 전문강좌 : 지구시대의 한국과 동아시아(영풍문고 이벤트홀)
   10.23 지구시대란 무엇인가(김경일, 정문연) / 11.6  역사속의 지역주의: 중화주의, 대동아공영권, 신아시아주의(강창일, 배재대) / 11.13 아시아적 가치와 유교 자본주의론(임반석, 중국 복단대) / 11.20 세계체제와 동아시아 담론 : 실상과 허상(유중하, 연세대) / 11.27 탈냉전 이후 분단체제와 남북통일(김동춘, 성공회대)

 

10. 30∼11. 1
   역사문제연구소 가을기행 (강사 : 한상권)
   서울 → 이성산성, 춘궁동 절터 → 나눔의 집 (역사관 관람, 정신대관련 비디오 관람, (위안부)할머니들과 대화의 시간, 회식) 1박 → 여주 이포나루 파사산성 → 고달사 터 → 죽주산성 → 칠장사 → 서울

11. 21 국제학술회의, “탈민족주의 역사학과 국학의 세계화(헨리 H. 임)” / 토론 : 윤해동 ∥ 21세기 미국좌파의 동향과 전망(윌리엄 팰츠)/ 토론 : 김동춘


12. 4   연구실 제7차 내부토론회, “최근 근대사 박사논문에 나타난 연구의 인식지형파악 ― 서문분석”(류준범)


12. 7  정대협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발족, 한국위원회 회원으로 참여

 
12  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지원 선정, 자유공모과제
  공동연구: 정태헌, 이승렬, 정병욱 (2,250만원) / 개인연구: 임대식 (950만원)


12    『역사비평』, 학술진흥재단 학술지 간행비 지원선정


12. 18 “독도수호를 위하여 한일어업협정의 비준 부결을 촉구하는 역사학계의 성명” 참가


12. 19 “바른 역사인식과 실천을 위한 모임” 10주년 기념행사 및 송년회
       운영위원회에서 전임사무국장제 통과


12  일본지역회원추가(총 26명)
  平賀義規, 林雄介, 矢澤康祐, 荻生茂博


12. 31 회보 38호 간행

 


1999

1. 9∼10
       연구원 수련회(숭실대 사회교육관)


1. 16  신년하례회
      신임연구위원 충원, 곽진(상지대 교수, 동양철학), 정긍식(서울대 교수, 법제사)
  연변민족연구소의 박창옥, 김홍빈(연변민족연구소) 자문위원 위촉
  김춘선 연구위원 위촉


2  배경식, 정병욱 연구위원회 참여


3. 22  조경달 선생 초청간담회


4. 24∼25
      연구소 봄나들이(강원도 홍천일대)
  홍천군 내촌면 동창리 3·1운동 유적지→ 서석면 풍암리 갑오농민전쟁유적지→수타사→양평 용문사


5. 12∼6. 16
  제30기 한국사교실: “부끄러운 20세기 우리역사 ― 21세기 희망찾기”(대우학술재단 제1강연실)
  사회의식의 변화와 사이비 종교 : 백백교에서 휴거까지(한상구, 5월 12일) / 일확천금의 비밀, 부정부패의 역사 (지수걸, 5월 19일) / 여성, 최후의 식민지; 매매춘(이상화, 5월 26일) / 21세기 아이들, 19세기 교육 : 입시지옥에서 다시 백년 대계로(김진경, 6월 2일) / 부정선거; 돈과 권력에 휘둘린 국민의 뜻(오유석, 6월 9일) / 역사로 보는 대중문화 그리고 근대성(김진송, 6월 16일)


5. 20   김대중 대통령의 박정희 기념관 건립지원 발언과 관련하여 “역사적 반성 없는 박정희 기념관 건립을 반대한다” 라는 성명서를 역사문제연구소·한국역사연구회·역사학연구소 3단체 명의로 발표


6. 30   『역사문제연구』 3호 간행, 특집: 일제의 지배구조와 한국민중

 

7. 3   조봉암 선생 탄생 100주년·서거 4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및 전집 출판 기념회
   발표: 조봉암 활동―정치노선의 현재적 재평가


7. 30   월례발표회, “전시체제기(1937-45)의 성격: ‘파시즘’지배체제의 수립을 중심으로(김민철)”


8. 7   일본와세다 대학교 ‘아시아민중사연구회’ 공동 심포지엄(장소 : 대우학술재단빌딩 3층) “동아시아에서의 국민형성과 민중”
   1. 한국사
   러일전쟁 전후 국가와 상인, 부르주아지간의 관계(전우용) / 김구의 『白凡逸志』에서 보이는 「양반과 상놈」(鶴園裕)
   토론 : 허영란
   2. 일본사
   청일전후 일본의 내셔널리즘의 전개와 지식인(박양신) / 19세기 후반 일본의 규범질서와 ‘forklore'(民俗的 世界)(阿部安成)
   토론 : 靑木美智男
   3. 중국사
   개체와 국민,신문화운동가들의 모색을 중심으로(임상범) / 청말의 입헌개혁과 국민형성(田中比呂志)
       토론 : 허원


8. 14   회보 39호 간행


8. 18   월례발표회 “헌정주의와 민주주의(박명림)”


8. 21∼22
       연구소 하계수련회(장소: 강원도 홍천강 일대)


9. 11   역사비평사·역사문제연구소 공동주최 대토론회 “근현대 한·일관계의 전개와 21세기(A Debate 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for last 100 Years :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일본인의 한국인식­그 역사적 전진과 현재(石坂浩一) / 한국에서 보는 일본(정재정) / 한일간 현안과 21세기 모색(徐勝)
       사회: 강창일,  토론: 林哲, 瀧澤秀樹, 道上尙史, 林雄介(이상 일본측), 이상면, 박영재, 김효순, 서동만(이하 한국측), 유병호(중국측)


9    정태헌 연구원, 연구위원 겸 운영위원으로 위촉(9월 운영위원회)
       9월 운영위원회에서 외부지원 연구비 관리를 위한 연구소 내규 개정


10. 16 연구실 월례발표회, “1930년대 전반 졸업생지도(이기훈) / 新민중사를 위한 모색(배경식)”


10. 25 “박정희 기념관건립 및 국고지원을 반대하는 전국역사학자 기자회견”, “박정희 기념관 국고지원에 대한  역사학자의 비판과 대안” 대토론회 및 결의대회 참가(역사3단체 및 전국역사교사모임 참여)


11. 20 운영위원 방기중 사임(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선임), 연구위원직 유임


11. 22 월례발표회 “해방후 해방촌 연구(이신철)”


11. 29 전체토론회, “북간도 조선인민회 1917∼23(김태국)”

 

11. 20 1999년 역사문제연구소 심포지엄(장소: 연세대 신인문관 1층) “한국 민족주의, 저항 이데올로기인가, 지배 이데올로기인가”
       1부 민족주의와 근대성
       ‘全지구적 근대성’과 민족주의(임지현, 한양대) / 한국 민족주의의 근대성 비판(윤해동, 역사문제연구소)
       토론 : 방기중(연세대)
       2부 20세기 한국의 민족주의
       3·1운동 전후 한국민족주의의 변화(임경석, 증산도사상연구소) / 1930∼40년대 사회주의 운동가들의 ‘민족혁명’에 대한 인식(류준범, 역사문제연구소) / 남한 민족주의의 계보와 성격(임대식, 역사문제연구소) / 북한 체제와 민족주의(서동만, 외교안보연구원)
       토론: 김정훈(사회학 박사), 지수걸(공주대)
       3부 종합토론
       발표 사회: 김성보(국사편찬위원회),
       종합토론 사회: 전우용(서울학연구소)

11. 26∼11. 29  
   제3회 동아시아 평화와 인권 국제심포지엄 오키나와 대회 참석(김백일, 윤해동, 이신철, 신주백, 문영주, 김윤경, 서중석, 이이화, 김정기)


12. 15 총무부장 류귀영 사임, 후임으로 전은영 선임


12. 18 2월 운영위원회와 함께 송년회
       연구위원으로 정용욱, 조희연 선임.


12  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지원 선정. 협동연구: 조동걸, 선도연구: 신주백, 오미일

 


2000

1. 8   신년회
   회보 40호 간행


1. 10   제31기 한국사교실 개강: “20세기, 질곡으로 이어진 민초들의 삶”
   아찔한 하늘의 절반(허영란, 1월 10일) / 세기를 넘어 떠도는 영혼들(이신철, 1월 13일) /  학교와 아이들(허수, 1월 17일) / 무논의 피(전우용, 1월20일) / 버려진 땅의 사람들(김성보, 1월25일) / 냉전으로 유폐된 심성(배경식, 1월27일) / 그들만의 천국(정병욱, 1월 31일)


2. 27   신년 산행(북한산) 겸 정기총회
   신임연구원 충원: 안자꼬 유카, 김종혁, 은정태
   신임운영위원 위촉: 신주백, 문영주
   전우용, 허수 운영위원 사임


3       독서의 사회사반 결성(이기훈, 장신, 신주백, 권보드래, 천장환, 최태원) / 동네반 결성(문영주, 한긍희, 안자코 유카, 염복규, 이송순, 류준범, 허수)


4. 29∼30
       연구소 춘계 수련회(우이동 원불교 청소년 수련회)


5. 17∼20 
       제4회 동아시아 평화·인권 국제심포지엄 광주대회
   참석자: 이이화, 고순정, 서중석, 김종익, 장완익, 이신철, 류춘도, 안자코 유카


5. 23   『역사문제연구』 4호 간행, 특집 : 한국 민족주의-저항이데올로기인가 지배이데올로기인가


5. 27   서중석 4대 소장으로 취임
   장두환, 이종걸 운영위원 사임


6. 24   정태헌 운영위원, 연구부소장으로 추대
   이승렬, 임대식, 오유석 연구원, 운영위원으로 위촉. 박호성, 반병률, 박원순 운영위원 사임(6월 운영위원회)


8. 13∼14  여름 수련회(가평 화악산 계곡)


8      회보 41호 간행


9. 22   제1회 토론마당: “남북정상회담이후 남북관계전망”
       통일정책의 방향과 남북관계 전망(이종석,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 한 역사학도의 수상 - 한국근현대 정치사에서 ‘타협의 정치‘문화를 개척한 남북정상회담(이승렬,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9. 23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공동주최 2000년 대토론회(한국방송대 세미나실) “21세기 동아시아의 새로운 전개와 한반도의 선택”
  한국 동아시아론과 ‘상상된’ 중국(김희교) /일본의 동아시아 인식 - 대동아공영권에서 이시하라 발언까지(윤건차) / 동북아 경제·안보체제와 한반도의 선택(송주명)
       사회: 김동춘 / 토론: 사회자 , 최원식, 기시 도시로, 이장희, 백원담


10. 27 제2회 토론마당: 한일간 과거청산의 현주소와 역사학계의 임무 ― 정신대, 징용 피해자들의 일본, 미국, 국내 재판 진행현황을 중심으로
       발표: 장완익(변호사, 민변) / 토론: 양미강 (정대협), 안자코 유카 (연구소 연구원)


10. 29 역사기행 “한국근현대사의 정치일번지를 찾아서 1”
   강사: 이이화(연구소 고문), 서중석(연구소 소장)
   답사지역 : 서울 종로구 계동 일대


11. 4  2000년 역사문제연구소 심포지엄 “한국전쟁은 민중에게 무엇이었나” (장소: 성균관대 경영관 계단강의실)
   사회: 임대식 (서울대 강사)
   1. 마을에서의 전쟁 경험 - 경기도 지역의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이용기)
   2. 민중의 전쟁 인식과 ‘인민의용군‘(배경식,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3. ‘반동‘ 이데올로기와 민중의 선택 ―‘치안대‘와 그 이후(김재용)
   4. 전쟁피해와 북조선 사회의 변화(이신철)
   종합토론: 김귀옥(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상근연구원), 정해구(성공회대 교수)김동춘(성공회대 교수), 김성보(충북대 교수), 김연철(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


11. 24 제3회 토론마당: 한국사에서의 민족주의에 관한 재검토
   발표: 윤해동(연구소 연구원) / 토론: 전우용(서울학연구소), 임지현(한양대)


12. 15 『역사문제연구』 5호 간행, 특집: 일제하 금융의 식민지성


12. 16 송년회

 


2001

1. 27   신년 하례식
   회보 42호 간행


1       한일관계사연구반 결성(신주백, 강정숙, 윤명숙, 이경주, 하종문, 안자코 유카, 김도형, 장완익, 김은식)


2. 23   제4회 토론마당: 한국사 연구와 푸코
   발표: 정근식(전남대) / 토론: 이진경, 김기봉, 이기훈


2. 24   신년 산행 (북한산) 겸 정기총회


3. 10   3월 연구발표회 / 사회: 신주백(성균관대)
  발표: 일제말기 조선농촌지역의 배급통제(김인호, 경성대) / 일제말기 금융조합 농업대출금의 실태와 성격(문영주, 고려대)
  토론: 허영란(국편), 한긍희(국편)


3       일본역사교과서개악저지운동본부 참여, 4월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로 개편된 후 운동본부의 상임대표(서중석), 사무처장(이신철), 사무국장(장신), 한일교과서위원회(정태헌) 등으로 활동


3. 23  제5회 토론마당: 역사학과 마르크스주의
   발표: 강성호(순천대) / 토론: 김동춘(성공회대), 윤해동(역문연)


4. 14   4월 연구발표회, “18, 19세기 한강유역의 장시권과 문화권의 형성(김종혁, 연구원)” / 토론: 이승렬


4. 22   2001년 제1회 역사기행: 근현대 정치1번지를 찾아서 2 ― 갑신정변의 발자취를 따라
       강사: 전우용(서울학연구소 연구원)
   답사지 : 갑신정변의 현장


4. 27   제6회 토론마당: 역사교과서 문제를 통해 본 일본인, 일본사회의 내면 읽기
       발표: 권혁태(성공회대) / 토론: 임성모(연세대), 이원덕(국민대)


5. 12   5월 연구발표회, “1924년 동아일보 개혁운동 연구/장신 (연구원)” / 토론: 박종린 (연구원)


5. 19   성대경, 조동걸 선생님 고희연


5. 20   2001년 제2회 역사기행: 인천과 한국 근현대사
   강사 : 이종복(터진개 황금가지)
       답사지 : 인천 개항장


5. 25   제7회 토론마당: 현대 중국의 역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한중 양국 학자들의 인식 비교(1945∼2000)
   발표: 김희교(광운대) / 토론: 임상범(고려대), 이신철(성균관대)


5. 31∼6. 3
   동학농민전쟁 국제학술대회 참가
   참가자 : 이이화, 서중석, 김백일, 고순정, 구양근, 이신철, 허수, 권주리애


6. 4   6월 연구발표회 1, “일본에서의 청년연구동향 소개 / 허수” / 토론: 안건호

 

6. 16   6월 연구발표회 2, “식민지시대 독서의 사회사”
   근대 소설 독자 형성에 대한 하나의 가설(최태원) / 연애의 형성과 소설(권보드래) /1920년대 ‘어린이’ 개념의 형성과 동화의 시대 (이기훈) / 1920·30년대 독자연구를 위한 시론(천정환)


6. 22  제8회 토론마당: 식민지 유제의 현재
  1. 2000년 도쿄법정의 고소장과 판결문 검토 / 윤명숙 (一橋大學 연구원)
  2. 친일파 후손의 재산반환 소송에 관한 판결문 검토 / 장완익(민변, 역문연 운영위원)


6. 23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1차 심포지엄 주관(장소 : 출판문화회관)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일교과서 바로잡기 운동”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전국역사교사모임
  사회: 정재정(서울시립대)
  1. 일본의 교과서 제도와 교과서운동 / 미야하라 다케오(宮原武夫, 일본 역사교육자협의회 상임위원)
  2. 일본중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과 후쇼사 공민교과서 분석―국가주의 교육의 강화를 중심으로 / 권오현(대구 교동중)
  3. 교과서 문제와 일본사회 / 권혁태(성공회대)
  4.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한국측 대응의 역사―새로운 희망을 찾아서 / 신주백(고려대)
  토론: 하종문(한신대), 김민철(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집행위원장)


6. 30  『역사문제연구』 6호 간행, 특집 : 한국전쟁과 민중


6      일본교과서역사왜곡대책반 결성. 김성보, 정태헌, 신주백, 은정태, 하종문, 임성모, 윤휘탁, 장신 참여


8. 9  회보 43호 간행


8. 10∼12 
       2001년 여름 정기수련회(장소: 경주 보문 유스호스텔)


8. 10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제2차 심포지엄 주관(장소: 경주 보문유스호스텔)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회
   1부 교과서 마당사회(사회: 신주백)
   1. 국정 국사 교과서 개발 과정과 국정교과서 제도의 문제점(신병철, 석관고) / 토론: 정재정(서울시립대)
   2. 국정·검인정 국사교과서의 근현대사 서술 및 교육과정 검토(지수걸, 공주대 / 서중석, 성균관대) / 토론: 정태헌(고려대) 김육훈(상계고)
   2부 교육과정 마당(사회: 최현삼, 전국역사교사모임, 서울중앙고)
   1. 역사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검토 / 이명희(교육과정평가원)
   토론 : 류승렬(강원대)
   2. 새 교육과정에서 역사과의 위상과 교육과정 구성안 / 양호환(서울대)
   토론 : 양정현(구일고교), 윤신원(젊은지리교사모임)
   3부 종합토론 :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단기 및 중장기 실천 방안(사회 : 김한종, 역사교육연구회, 한국교원대) / 토론 : 참가자 전원


8. 24   제9회 토론마당: 한국근현대사 속의 맑스주의, 현실과의 조응성
   발표: 김무용(고려대) / 토론: 안태정(성균관대), 한상구(국사편찬위원회)


9. 15   2001년 역사문제연구소 심포지엄(장소: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첨단강의실) “분단의식, 그 재생산의 구조와 분열”
   1부: 분단의식의 재생산과 내면화(사회: 정병욱)
   해방 이후 국민학교 반공교육의 형성(강일국, 서울대) / 분단체제와 반공병영사회의 담론적 형성(김정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한국지식인과 반공주의(임대식, 역사비평 주간)
   2부: 분단의식의 균열과 변화(사회: 이신철)
   현대소설에 나타난 분단인식의 유형과 그 의미(한수영, 연세대) / 영화를 통해 본 분단이미지 변화와 대중적 영향(배경식, 역사문제연구소)
   토론: 이향규(경남대), 이광일(성공회대), 김동춘(성공회대), 김경식(연세대), 조희문(상명대)
   3부: 종합토론 ― 탈분단시대의 통일운동의 과제와 전망(사회: 김성보)


9. 21  제10회 토론마당: 교과서 서술에서 기억을 둘러싼 갈등과 화해 ― 독일과 프랑스, 독일과 폴란드의 역사교과서 협의
   발표 : 김유경(경북대) / 토론 : 이진모(한남대)


9. 24  9월 연구발표회, 독서의 사회사반
  “독서의 근대, 근대의 독서: 1920년대를 중심으로(이기훈)” / “보통문관시험과 조선인관리(장신)”


10. 21 2001년 제3회 역사기행: “한국근현대 정치1번지를 찾아서 3 ― 대한제국, 그 영욕의 현장을 찾아서”
   강사 : 은정태(연구원)
       답사지 : 덕수궁, 미국공사관 터, 러시아공사관 터, 감리교회, 손탁호텔 터, 원구단/황궁우


10. 26 제11회 토론마당: 이슬람 반미주의의 역사성을 찾아서
   발표: 신양섭(한국이슬람성원 사무총장) / 토론: 왕유종(성결대) / 사회: 김성보(충북대)


11. 23 제12회 토론마당: 2001년 한국의 ‘교과서운동’ 평가와 2002년 전망
  발표: 이신철(일본역사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사무처장), 장신(전 일본역사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사무국장)


11    『역사문제연구』 정간물 등록


12. 29 송년회


12. 31 『역사문제연구』 7호 간행 특집: 1920∼30년대 독서의 사회사

 


2002

1     신년회


2. 16  정기총회
  부소장단 개편: 정태헌(사무담당 부소장), 김성보(연구담당 부소장), 김백일(출판담당 부소장), 임대식(편집담당 부소장)
  연구실장: 정병욱, 사무국장: 장신, 편집팀장: 박종린, 토론마당팀장: 이용기, 신임 연구원 충원: 염복규, 이태훈


2. 17  사무국장 이신철에서 장신으로 교체.


2. 22∼25
      동아시아평화인권대회 교토대회 연구원 참가 (장소: 立命館대학 以學館 국제평화뮤지엄)
  주제: 냉전·국가폭력과 일본


2. 27  제13회 토론마당: 만들어진 고대 ―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과 동아시아 고대사 인식
  발표: 이성시 (와세다대 문학부 교수) / 토론: 하일식 (연세대), 임기환 (경희대), 배성준 (역사학연구소)


2      사상사반 결성(박종린, 은정태, 이태훈, 김정인, 정용서, 노관범)


3. 8   회보 44호 간행


3. 16  3월 연구발표회
   1. 1930년대 말~40년대 초 경성도시계획의 빈민주거대책과 주거문제의 추이(염복규(연구원) / 토론: 전우용(연구원, 서울학연구소)
   2. 일제하 1930~1940년대 농가경제의 추이와 농민생활(이송순, 고려대) / 토론: 이경란(연세대 국학연구원)
   3. 한국에서의 ‘과거사 청산’ 운동(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 토론: 안자코 유카 (연구원, 고려대 박사과정)
   4. 이돈화의 ‘사람성주의’ 형성과정과 청년론(허수, 연구원) / 토론: 정용서(연세대)


3. 22  제14회 토론마당: 사상사 연구와 ‘근대성’ 담론 ― 식민지와 천황제, 그리고 소위 ‘친일파’와 관련해서
   발표: 윤건차 / 토론: 윤해동, 이기훈


3. 24  제1회 역사기행 “남산과 일제의 조선강점의 역사”
  강사: 전우용(서울학 연구소)
      답사지: 조선신궁터 → 와룡묘 → 총독부터 → 총독관저터 → 헌병대 사령부(남산한옥마을) → 정무총감 관저터 → 이강공관터 → 본정(충무로)길 → 경성부청(신세계 앞) → 선혜청 창내장(남대문 시장)


4. 1   서중석, 정태헌을 신임 이사로 등재(현재 이사진 9명)


4. 13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 학술심포지엄 주관(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한중일 교과서와 역사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 주최: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1. 교과서문제와 천황·천황제(하종문, 한신대) / 토론: 박환무(숭실대)
  2. 중국의 애국주의와 역사교육(윤휘탁, 동아대) / 토론: 한웅광(연변대)
  3. 한·일 역사교과서의 현대서 서술 비교(김성보, 충북대) / 토론: 지수걸(공주대)
  4. 전쟁과 평화에 대한 기억의 차이, 그리고 역사교육 ― 동아시아 5개국의 중고교용 자국사 및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신주백,  성균관대) / 토론: 山口勝弘(안동과학대)


4    4월 연구발표회, “조선총독부의 관리임용과 보통문관시험”
  발표: 장신(연구원) / 토론: 이기훈(연구원)


4. 26  제15회 토론마당: 한국의 ‘과거사청산’운동 ― 전진과 연대를 위한 새로운 실험
  발표: 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 토론: 허영란 (국사편찬위원회), 장용경 (서울대), 송춘기 (서울대)


5. 12  제2회 역사기행: “서해안 일대 조운·조창의 흔적을 찾아서”
  강사: 김종혁(연구원)
      답사지: 안흥성 → 신두리 해수욕장 → 가적운하 → 공세리창터


5. 24  제16회 토론마당: 월드컵과 민족주의
  발표: 황병주(한양대 강사) / 토론: 고지훈(서울대), 은정태(연구원)


6. 28  제17회 토론마당: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광기의 시대, 80년대를 다시 생각함
   발표: 문부식(당대비평 편집위원) / 토론: 조현연(성공회대 사회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상구(연구원)


6. 30  회보 45호 간행
       『역사문제연구』 8호 간행


7. 16∼17
       2002년 하계수련회 및 답사(장소: 웅천관광농원) 

7       7월 연구발표회, “식민지경험과 박정희 시대” 예비발표


8. 1   총무부장 전은영에서 윤갑향으로 교체


8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역사비평사) 간행


9. 27  제18회 토론마당: 일제시기 지역사회의 ‘이중권위구조’에 대한 연구시론
       발표 : 한상구(역문연)
       토론 : 윤해동(서울대), 임경석(성균관대)


10. 5  2002년 정기 학술대회  “식민지 경험과 박정희 시대”(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일제하 식민지 사범교육-대구사범학교를 중심으로(이기훈, 서울대) / ‘만주국’에서의 조선인 군인과 박정희(신주백, 성균관대) / 조선인의 ‘만주국’ 체험과 그 유산(임성모, 연세대) / 국민동원운동으로서의 농촌새마을운동과 박정희(오유석, 성공회대) / 국교정상화과정에서 ‘한일인맥’의 형성과 역할(박진희, 국편위) / 박정희 시대의 역사적 성격(정태헌, 고려대)
       토론: 오성철(청주교대), 노영기(조선대), 김민철(민족문제연구소), 전재호(서강대), 한홍구(성공회대), 이준식(연세대)

10. 17∼20
       동아시아평화인권대회 여수대회 연구원 참가(장소: 여수시 일원)
       주제 : 학살·청산·화해


11. 1  제19회 토론마당: 북한 개혁·개방의 쟁점과 전망
       발표: 김연철(고대 아시아문제연구소) / 토론: 차문석(한국정치연구회),  이주철(KBS 남북교류협력기획단)


11. 9 제3차 한국사교과서 심포지엄 “21세기 한국사교과서와 역사교육의 방향”
       제1부: 공동주제 / 사회: 김한종(한국교원대)
       1. 제7차 교육과정과 역사교육, 문제는 의사소통이다 / 지수걸(공주대)
       2. 국사 교과서 국정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양정현(서울 구일고)
       토론: 신병철(서울 경동고), 남지대(서원대)
       제2부: 세션별 발표  
       제1주제: 국정 국사교과서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그리고 대안모색 / 사회: 박종기(국민대)
       1. 국사교과서의 정치사 인식 및 서술 검토 / 이익주(서울시립대)
       2. 국사교과서의 경제사 인식 및 서술 검토 / 송규진(고려대)
       3. 국사교과서의 사회사 인식 및 서술 검토 / 한상권(덕성여대)
       4. 국사교과서의 문화사 인식 및 서술 검토 / 강응천(사계절출판사)
       토론: 박중현(서울 중경고), 이근화(서울 강남중), 이병희(한국교원대)
       제2주제: 검정 근현대사교과서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그리고 대안모색 / 사회: 김성보(충북대)
       1. 포스트모던시대의 근대전환기 인식과 근현대사교과서의 역사서술 / 고영진(광주대)
       2. 저항, 그리고 형상화와 교육과정 / 신주백(성균관대)
       3.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해방 8년사 / 김종훈(서울 문창중)
       4. 교과서 속의 북한과 통일 이후 / 이신철(역사문제연구소)
       토론: 조동근(서울 성수기계공고), 왕현종(연세대)
       제3주제(본행사장): 한국사교과서의 주제별 내용분석 / 사회: 오종록(성신여대)
       1. 젠더의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과 한국사교과서 / 신영숙(한국정신대연구소)
       2. 노동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교과서 서술 / 최규진(고려대)
       3. 대외관계 서술에 나타난 애국주의 / 강창일(배재대)
       토론: 방지원(서울 대영고), 이지원(대림대)
       제3부: 종합토론 / 사회:서중석(성균관대)
       1. 종합토론 발제 / 안병우(한신대)
       2. 종합토론: 김한종, 박종기, 김성보, 오종록, 신병철, 김육훈(서울 상계고), 장득진(국사편찬위원회)


11. 17 제3회 역사기행: “남한강 뱃길 따라”
   강사: 김종혁(연구원)
       답사지: 두물머리나루터 → 이포나루터 → 가흥장터 → 중원고구려비 → 중앙탑 → 목계나루터 → 흥원창터

 

11. 22 제20회 토론마당: 내가 보는 조선후기상과 토지조사사업
       발표 : 宮嶋博史(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 토론 : 김태영(경희대 사학과), 이영호(인하대, 연구위원)

12. 28 송년회

 


2003

2. 8   역사문제연구소 정기총회
       토론마당팀장 교체(이용기 → 이기훈)


2. 28  제21회 토론마당: '개념어' 형성 연구의 몇 가지 문제들
       발표: 류준필(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연구원) / 토론: 박종린 (연구원)


3. 13  『역사문제연구』 9호 간행. 특집: 식민지 경험과 박정희 시대

 

3. 27  회보 46호 간행


3. 28  제22회 토론마당: 『식민지의 회색지대』저작 비평회
       발표: 윤해동(연구원) / 토론: 전재호(서강대), 정병욱(연구원)

 

4. 12  4월 연구발표회
  사회: 장신(연대세 강사)
  1. 치하포사건을 통해 본 『백범일지』의 이데올로기적 성격(배경식, 성균관대) / 토론: 은정태(서울대)
  2. 일제하 대구지역의 도시계획(김일수, 영남대) / 토론: 염복규(서울대 강사)
   3. 일제말기―한국전쟁기 농촌 마을공동체의 변화(이용기, 서울대) / 토론: 문영주(고려대)


4. 25  제23회 토론마당: 남북관계의 탈아메리카 -이라크 파병문제를 중심으로
       발표: 정욱식(평화네크워크 대표) / 토론: 백준기(한신대) / 김성보(충북대)


5. 18  2003년 제1회 역사기행: 원산가는 큰 길 따라 내려가다  평양가는 큰길따라 내려가다
      강사: 김종혁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답사지: 다락원(樓院) → 송우장 → 포천장 → 포천舊邑과 半月城址 → 백의리지층 → 궁평리熔岩臺地 → 전곡구석기선사유적지 → 적성향교 → 적성 구읍과 七重山城 → 화석정과 임진나루 


6. 28  제24회 토론마당:  북한인권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발표: 이충원(연합뉴스 민족뉴스국 기자)  / 토론: 안영민(민족21기자), 이기찬(성공회대)


7. 25  제25회 토론마당: 언론의 탈아메리카
       발표: 박태견(프레시안 편집국장) / 토론: 김서중(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7. 28  『역사문제연구』10호 간행. 기획: 개념으로 본 근대


8. 22  제26회 토론마당: 한국의 친미인맥
       발표: 임대식(역사비평 편집주간) / 토론: 정일준(한국역사연구회 회원)


9. 27  정기 학술대회 “박정희 시대의 역사성” (장소: 연세대 법과대학 모의법정)
       재건국민운동-‘반동적 근대주의자’들의 접합과 분화 / 허은(고려대)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의교육과 경제성장 / 오성철(청주교대)
       남북한 근대화전략-박정희식 발전 모델의  북한적용 가능성 / 김연철(고려대)
       박정희 체제와 두 가지 문학의 부활-국민과 민족의 길항 / 김재용(원광대)
       박정희시대의 군대와 군사문화 / 노영기(조선대)


10. 24 제27회 토론마당: 로스토우를 아십니까, 로스토우와 제3세계, 그리고 한국
       발표 : 박태균(서울대 국제대학원) / 토론: 임대식(역사비평 주간)


11. 9  가을 역사기행: “일제하 종로의 사회주의 운동 공간”
      강사: 장규식(연구위원)
      답사지: 여운형집, 홍증식, 심우섭 집터 → 건준 창립본부터 → 북붕회 회관터 → 정우회 회관터 → 김찬 집터 → 화요회 → 신흥청년동맹 → 신간회 본부터 → 신간회 창립본부터 → 종로경찰서, 장안빌딩 → 근우회 → 조선노동연맹회, 조선노농총동맹 → 조선일보 구사옥 → 조선청년회연합회, 조선청년총동맹창립본부 / 서울청년회, 전진회, 신행활사, KARF → 조선지광사터 → 신간회 경성지회


12. 27 송년회

 


2004

1. 10  연구원총회(청주 김성보 부소장댁), 신임 연구원 충원 위해 ‘공모단’ 가동


2. 14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사무국장 장신에서 은정태로 교체 / 총무부장 윤갑향에서 류은경으로 교체 / 토론마당팀장 이기훈에서 송규진으로 교체 / 운영위원 개편(퇴임: 박종린(편집팀장), 이기훈(토론마당팀장), 이신철(전사무국장) / 신임: 방기중, 이승렬(편집위원장), 송규진(토론마당팀장, 은정태(신임사무국장)), 연구위원 해촉(노동은, 도진순, 유초하, 윤구병, 이영훈, 이해준, 임진택, 지두환, 하우봉), 정일연 후원이사 사임


2. 27  1회 연구발표회
       1. 1910년대 이돈화의 종교철학과 사회의식(허수, 서울대) / 토론: 고건호(서울대 강사)
       2. 도시금융조합의 이사, 조합장 분석― ‘경제주체’ 변동의 사회적 의의(문영주, 고려대 강사) / 토론: 이승렬(연세대 강사)


4. 25  봄 역사기행: “경기·강원의 접경지대, 강길 따라 올라가서 땅길 따라 내려오다”
       강사: 김종혁(연구원)
       답사지: 두물머리 나루터 → 이항로 생가 → 미원서원 → 남궁억기념관(모곡리) → 반곡리 하항터 → 지평장 → 용문장


      (가)일제강점하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시민연대 참여


5. 13  『역사문제연구』 11호 간행, 특집: 박정희 시대의 역사성


5. 17  연구소홈페이지 갱신, 열린 광장 강화


6. 5   학술대회 “김용중과 재미한인 민족운동” (장소: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 다솜홀)
  1. 김용중의 생애와 통일 독립운동 / 정병준(목포대) / 토론: 안형주(UCLA특별연구원)
  2. 중립화 통일논의의 역사적 맥락 / 홍석률(성신여대),  토론: 노중선(통일자료실대표)
  회고: 노광욱(재미 통일운동가)


6. 18  2회 연구발표회, “일본 역사학의 방법론적 전회와 동아시아의 근대(田中隆一)”


6. 25  3회 연구발표회(저작비평회)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 “전상숙, 『일제시기 한국 사회주의 지식인 연구』(지식산업사, 2004)”
       발표: 박종린(연구원), 홍종욱(동경대 동양사학과 한국사전공) / 토론: 임경석(성균관대), 전상숙(연세대)


7. 16  제28회 토론마당: 동아시아 민족주의 수용과 변용 1 “민주주의의 시대를 넘어서 ― 20세기 한국민족주의에 대한 역사적 성찰”
       발표: 박찬승(목포대) / 토론: 서민교(고려대)


7. 24  연구원총회, 연구원 추천
       4회 연구발표회, “1920년대 사회주의와 '청년'담론(이기훈)” / 토론: 박종린(연구원)


7. 30  회보 제47호 발행


7        (가칭) 올바른 과거청산을 위한 국민위원회 참여


8. 28  8월 운영위원회,
       연구위원 선임(홍석률, 정병준, 김승렬, 백준기, 오미일, 임성모, 최윤오, 윤선자, 장세윤, 이승렬, 김한종, 한운석, 임기환, 장세윤), 연구원 충원(김명수, 양정필, 오제연, 장용경, 조명근, 최선웅, 홍동현)


9. 8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현대사』(웅진닷컴) 출간(기광서, 김성보, 이신철 공저)


9. 18  제29회 토론마당: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수용과 변용 2 “중국근대 네이션(nation)개념의 수용과 변용”
       발표 : 박상수(고려대, 중국근현대사) / 토론 : 박장배(한국산업기술대)


10. 5  이사장 김영태, 이사 임현, 정재정, 감사 박원순 이종걸 임기만료로 인한 연임신청, 승인


10. 16 이정박헌영전집출판기념 및 심포지엄  “박헌영과 그의 시대”(장소: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 주최: 박헌영전집편찬위원회 / 후원: 역사비평사
       1부  박헌영과 그의 시대 심포지엄 / 사회: 정태헌(고려대)
       1. 세계 사회주의 운동과 박헌영 / 발표 : 김세균(서울대) / 토론: 박호성(서강대)
       2. 교차와 대립 - 박헌영 사상의 위상 / 발표: 윤해동(서울대) / 토론 : 방기중(연세대)
       3. 국제선 공산주의그룹과 박헌영 / 발표: 임경석(성균관대) / 토론 : 박종린(연세대)
       2부  박헌영 전집 출판기념회 / 사회: 김성보(충북대)
       인사말: 원경 스님 / 축사: 성대경(역사문제연구소 고문), 이이화(역사문제연구소 고문), 김정기(서원대 ) / 전집출판의 경위 “10년의 고투”: 서중석(역사문제연구소 소장) / 사진으로 본 박헌영의 일생: 류준범(서울대)


10. 22 『역사문제연구』 12호 간행, 특집 : 김용중과 한국중립화통일론, 기획 : 식민지연구 비교


10. 24 가을 역사기행: “충청남도 일대, 내포가 어디여¿”
       강사: 김종혁(연구원)
       답사지: 예산, 아산, 당진 일대(평택IC - 공세리성당 → 아산리 김옥균 묘 → 예산신양리 박헌영 생가 → 예당저수지 → 대흥초등학교 → 덕산 보부상전시관 → 우강들 → 송악 기지시리장터 → 한진나루터 → 필경사)


11. 4∼6
       한독 국제학술대회(장소: 고려대 인촌기념관 제1회의실) “분단의 역사, 어떻게 볼 것인가”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포츠담 현대사연구센터 / 후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술진흥재단, 독일사학회
 1주제: 연구 현황
 구동독 연구의 발전과 현황: 크리스토프 클레쓰만(현대사연구센터 소장) / 북한 연구의 성과와 쟁점 : 김성보(충북대)
 2주제: 분단국가의 성립
 냉전과 구동독의 성립: 미카엘 렘케(현대사연구센터) / 북한 분단국가 형성의 역사적 전제: 김광운(국사편찬위원회)
       3주제: 당과 정치
       사회주의통일당(SED) 독재의 구조요소들과 발전경향: 베른트 슈퇴버 / 조선로동당의 ‘일당민주주의’와 경쟁체제로의 이행가능성: 백준기(한신대)
       4주제 : 분단과 문화
       구동독의 사회와 문화: 토마스 린덴버거(현대사연구센터) / 북한의 사회주의문화 건설과 문화정책: 이우영(경남대)
       5주제: 분단의 영향
       분단이 독일의 정치문화에 미친 영향: 크리스토프 클레쓰만(현대사연구센터) / 분단과 두 한국 ― 구조, 영향, 관계: 박명림(연세대)
       종합토론(사회: 한운석 / 토론: 방기중(연세대), 김승렬(경상대))
       한독 국제학술대회 JSA(공동경비구역) 방문견학


11. 12 5회 연구발표회(이행기 세미나팀 발표회) “식민지 근대성-서울을 사례로(김종근, 영국 캠브릿지 지리과 박사과정)”


11. 26 제30회 토론마당: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수용과 변용 3 “근대 일본의 민족·국가·국민의 형성
       발표: 서민교(고려대) / 토론: 김민철(민족문제연구소)


12. 2  『역사문제연구』 13호 간행, 특집: 북한과 구동독의 역사 비교


12. 17 6회 연구발표회, “토속의 발견과 민족문화의 재구성
       발표: 차승기(연세대) / 토론: 이태훈(연세대 강사, 연구원)


12. 18 송년회

 


2005

1. 15  연구원 총회
       1. 답사: 인천 개항장 답사
       2. 연구원총회(김종혁 연구원 댁): 편집팀을 편집위원장체제로 개편


2. 10  회보 48호 간행


2. 18  1회 연구발표회, “최남선의 불교관 ― 조선불교(1930)를 중심으로”(류시현, 연구원) / 토론: 오영섭(연세대)


2. 19  2005년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근현대인물자료센터 개소(장소: 연구소 1층) / 작업자 : 최선웅, 오제연, 정병욱, 장신, 은정태.


2      20세기 한국사(사건사) 기획팀 구성(문영주, 배경식, 은정태)


3. 24  2회 연구발표회, “파시즘기 지성사연구방법론 시론”(전상숙, 연세대 국학연구원) / 토론: 김민철(민족문제연구소), 차승기(연세대 국학연구원), 최선웅(연구원)


4. 8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웅진출판사) 출간


4. 11  2005년 일본교과서분석심포지움(장소: 서울역사박물관)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한국역사연구회
       발표: 왕현종, 신주백, 하종문, 윤휘탁


4. 15  3회 연구발표회, “‘친일’문제의 인식(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 토론: 공임순(연세대), 정병욱(국사편찬위원회)


5. 21∼22 
      봄 역사기행
      강사: 김종혁(연구원)
      답사지: 목화시배지 → 덕천서원(남명묘와 유적지) → 남해 이순신 유적 → 남해(석식, 1박) → 개치포구 → 악양(소설 토지 최참판댁) → 의신마을(빨치산 유적지,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 화엄사 → 파도리 돌무지(비보풍수시설, 구례군 토지면) → 오미리(구례 유씨가, 운조루)


5. 25  4회 연구발표회 “박정희 시대의 '성역화 사업'과 국민”(은정태, 연구원) / 토론: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6       “러시아신문 『노보에 브레먀』의 러일전쟁 전후 극동 및 한국관련 기사목록(1903-1906)” 간행


6. 18  한일협정 40주년 심포지엄(장소: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한일관계의 역사와 미래”
       후원: 광복6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1. 평화선과 한일협정(오제연, 서울대) / 토론: 박진희(국사편찬위원회)
       2. 한일교섭 하에서의 식민지지배・전쟁 피해자의 목소리 ― ‘조용한 저항’의 재개(오타 오사무(太田修), 佛敎大學) / 토론: 최영호(영산대)
       3. 조선총독부관료의 귀환 후 활동과 한일교섭(정병욱, 국사편찬위원회) / 토론: 선재원(평택대)
       4. 한일교섭·한일조약과 재일조선인사회(도노무라 마사루(外村 大), 早稻田大) / 토론: 김인덕(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5. 한일양국의 과거사 진상규명 운동의 전개와 논리(신주백,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6. 동북아 평화와 북일교섭(정태헌, 고려대)
       7. 종합토론 / 사회: 김성보(연세대) / 토론: 권혁태(성공회대), 위의 참가자


7. 29  연구원총회(장소: 역사문제연구소 2층 강당) / 참석: 20명


8. 9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시리즈 완간 기념 시민을 위한 열린 역사 강좌(장소: 광화문 교보문고 이벤트홀) “해방 60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과거사 청산”
      강사 : 서중석(역사문제연구소장)


9. 3   역사문제연구소, 아시아민중사연구회 국제학술교류(장소: 역사문제연구소 강당) “근대이행기 동아시아 민중의 존재양태 비교와 상호 관련성 검토를 위한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일본 측 참가자: 일본 민중사연구회 워킹그룹 8명
      사회: 허수(연구원)
      통역: 후지이 다케시(성균관대 박사과정)
      내셔널리즘을 둘러싼 相剋 ― 1990년대 이후 일본 내 역사연구의 동향에 대해서(檜皮瑞樹, 神奈川県立公文書館) / 일본에서의 최근 민중사 연구 동향(水村暁人, 麻布中學校·高等學校) / 모색기, 한국 ‘민중사’의 현재(허영란, 연구원) / 東學農民戰爭에 대한 認識의 變化와 課題(홍동현, 연구원)


10. 12∼20
      한독국제학술회의(장소 : 독일 포츠담 현대사연구소) “한국전쟁이 남북한과 동서독에 끼친 영향”
 주제: 한국전쟁의 결과 - 한국과 유럽의 認知, 영향 그리고 기억문화
 참가: 이만열, 김성보, 김동춘, 김광운, 기광서, 김종혁, 한운석, 오유석, 박명림, 이용기, ,정병욱, 은정태, 이만열
 제1회의: 한국전쟁의 국제적 영향
 한국전쟁이 한국과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김광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이 독일정책과 서방에 미친 정치적 영향(베른트 스퇴버, 포츠담)
 제2회의: 경제적 결과들
 전쟁이 남북한의 사회경제에 미친 영향(김성보, 역사문제연구소)
 북한의 전쟁복구에 대한 동독의 지원(뤼디거 프랑크, 비인)
 서독과 서유럽경제에 미친 한국전쟁의 영향(베르너 아벨하우저, 빌레펠트)
 제3회의: 사회와 정치문화에 대한 영향
 전쟁이 한국의 정치문화에 미친 영향(박명림, 연세대)
 한국전쟁과 그것이 서방의 정치문화에 남긴 결과들(요스트 될퍼, 쾰른)
 제4회의: 한국전쟁에 대한 認知와 기억문화
 전쟁의 기억과 남북한 사회의 규율화(오유석, 성공회대)
 동유럽에서의 한국전쟁과 전쟁경험 - 헝가리와 폴란드 사례를 중심으로(아르파트 폰 클리모/얀 베렌즈, 포츠담)
 한국전쟁기의 대량학살들에 대한 기억과 과거청산의 문제(김동춘, 성공회대)
 토론: 한운석(연구윈원), 정병욱(연구실장), 기광서(연구위원), 이용기(연구원), 지그리트 모이셀(라이프찌히대), 롤프 스타이닝어(인스브룩대), 안드레 스타이너(포츠담연구소), 베른트 스퇴버(포츠담연구소)
 ※ 3일간의 회의 후 포츠담, 베를린, 라이프찌히 등지 답사


10. 30 가을 역사기행
       강사: 허영란(국사편찬위원회)
       답사지: 경기도 안성 일대(죽주산성 → 매산리 미륵, 봉업사지 → 칠장사 → 안성읍내(일제시기 안성군청, 안성공원, 구 안성장 지역, 아양동 미륵 → 3·1 운동 기념관(미리내 성지) → 안성맞춤 박물관)

 

11. 24 역사문제연구소 정기심포지엄(장소 : 배재대 학술지원센터) “국민교육헌장 연구”
       1부: 국민교육헌장의 이념과 목적
       국체와 국민의 거리 ― 탈식민시기의 식민주의(윤해동,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 국민교육헌장의 사상적 배경과 참여철학자 들의 역할(김석수, 경북대) / 국민교육헌장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황병주, 국사편찬위원회)
       2부: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보급
       학교교육활동을 통한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보급(김한종, 한국교원대) / 국민교육헌장 교육교재 내용 의 변화(신주백, 서울대)
       3부: 개별토론 및 종합토론
       토론: 김선욱(숭실대), 김원(서강대), 홍석률(성신여대)


12. 2  『역사문제연구』 14호 간행. 특집: 한일관계의 역사와 미래


12. 30 송년회 (40여명 참석)

 


2006

1. 16  창립20주년 기념, 분야별 연구사 정리 1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허수, 고지훈


2. 11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장소: 일본 와세다대학 소메야기념관) “한일 양국의 민중사 연구동향 및 관련 개별 연구”
      참가: 배항섭(연구원) 외 5명


2. 17  회보 제49호(20주년 기념호) 간행


2. 18  창립20주년 기념행사 (장소: 한국일보사 13층 송현회관)


2. 25  정기총회 및 운영위원회 개최.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연구실 인적구성 변경: 연구실장(허수), 토론마당팀장(이신철), 편집팀장(류시현)
      ―사무국장: 이태훈
      ―운영위원 개편: 박호성·송규진·장신·정병욱·이승렬 사임, 허수·이태훈·류시현 위촉


2. 27  창립20주년 기념 좌담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참석: 연구소 운영위원, 신임연구원 및 외부 연구단체 대표 등


3. 25  3월 운영위원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신임연구위원 충원: 한상구, 윤해동, 권내현, 변은진, 김동명, 전상숙
      ―『역사비평』 편집주간: 임대식→김성보


3. 29  창립20주년 기념, 분야별 연구사 정리 2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은정태, 양정필, 문영주, 이신철


4. 22  4월 운영위원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신임연구위원 충원: 김석수, 김태국
      ―연구부소장: 이승렬(5월 1일자로 선임하고, 5월 운영위부터 결합하기로 함)


5. 21  봄 역사기행: “선택된 기억으로서의 강화도”
      강사: 은정태(연구원)
    답사지: 운현궁 출발 → 강화역사관, 갑곶 → 광성보 → 초지진 → 전등사, 사고지, 정족산성 → 강화서문 → 고려궁지, 강화성공회성당, 용흥궁 → 운현궁 도착
    참가 : 15명


6     『역사문제연구』 15호 간행


6. 3   창립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예비발표  1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정병욱, 장신, 이용기


7. 15  창립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예비발표 2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박종린, 이태훈, 류시현


7. 26∼8. 23
      역사문제연구소와 함께 하는 한겨레 현대사특강 2: “남북관계의 역사” (총 5회)
      강사: 서동만(연구위원) / 참여: 50명 


8. 17  저작비평회 개최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김동명 저, 『지배와 저항 그리고 협력』(경인문화사, 2006)”(이태훈, 연세대)

8. 19  ―창립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예비발표 3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빌표: 이기훈, 장용경
      ―연구원 총회: 연구원 충원 문제 논의. 이상록(한양대), 이정은(고려대), 홍정완(연세대), 후지이다케시(성균관대), 황병주(한양대), 한봉석(성균관대) 총 6인 추천

8. 26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장소: 연구소 2층 강당) “한국과 일본의 구관조사사업 및 연구현황 개관” / 일본 측 참가자: 深谷克己 등 10여 명

9. 30  창립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예비발표 4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김종혁, 허영란

10. 20 제31회 토론마당: 한중 역사 갈등의 실체와 한국의 대응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사회: 이신철(연구원) 발표: 김지훈(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 토론: 박장배(한신대학교 학술원), 은정태(연구원)

10     『역사문제연구』 16호 간행

11. 9∼12. 14
       역사문제연구소와 함께 하는 한겨레 현대사특강 3: “삶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총 5회)
       강사: 이신철(연구원) / 참여: 25명 

11. 10∼11
       창립20주년 기념 심포지엄 “식민지 근대를 살다” (장소: 고려대 인촌기념관)
       <10일>
       축사 / 개회사1부 지식과 공간 / 사회: 문영주(성균관대)1. 한말 일제하 한반도에 대한 지리적 재인식: ‘반도’ 논의를 중심으로(류시현, 홍익대) /  토론: 백동현(고려대)2. 경인로(京仁路)의 근대(김종혁, 고려대) / 토론: 전종한(경인교육대)3. 식민지 학교 공간의 형성과 변화 ― 보통학교를 중심으로(이기훈, 서울대) / 토론: 이준식(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2부 사상과 정체성 / 사회: 허수(동덕여대)1.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民衆社(박종린, 경희대) / 토론: 전상숙(연세대)2. 일제하 현상윤의 근대주의와 유교인식(이태훈, 연세대) / 토론: 장규식(중앙대)3. 일제 말기 내선결혼 문제의 위상과 그에 대한 논란(장용경, 국사편찬위원회) / 토론: 류준범(국사편찬위원회)
       <11일>
       3부 생활과 경험 / 사회: 문영주(성균관대)
       1. 시가지의 공간적 변화와 식민지 경험(허영란, 국사편찬위원회) / 토론: 한상구(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2. 조선식산은행원의 식민지 경험과 유산(정병욱, 국사편찬위원회) / 토론: 선재원(평택대)3. 일제하 순사의 근대 체험(장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토론: 김민철(경희대)4부 종합토론 / 사회: 허수(동덕여대)토론: 이승렬(연세대), 조형근(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염복규(국사편찬위원회), 소현숙(한양대)

12. 15 제32회 토론마당: 독도 영유권 문제의 기원과 전망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사회: 이신철(연구원)발표: 허영란(연구원) / 토론: 배성준(동북아역사재단)

12. 23 송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및 현대가든) / 40여 명 참석

 


2007

1. 27  1월 운영위원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연구실장: 허영란(2월 운영위원회부터 합류하기로 함)

2. 3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장소: 일본 와세다대학 소메야기념관) “한국 구관조사사업 등에 관한 개별 연구”
      참가: 이이화 외 10명

2. 22  제33회 토론마당: 근대 지역사회사 연구의 현 단계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사회: 이기훈(연구원)
      발표: 한상구(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토론: 윤해동(성균관대), 김민철(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류준범(국사편찬위원회)

2. 24  정기총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이사장: 김영태 이임, 박병삼 취임
       ―소장: 서중석 이임, 방기중 취임
       회보 제50호 간행

4      『역사문제연구』 등재후보지 등록을 위해 유급 편집간사제를 실시(간사: 홍정완)

4. 10∼5. 8
       역사문제연구소와 함께 하는 한겨레 현대사특강 4: “선거로 본 한국 현대사” (총 5회) 강사: 서중석 / 참여: 30명

4. 27  제34회 토론마당: 『근대를 다시 읽는다』 논평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사회: 이신철(연구원)발표: 오제연, 염복규(이상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토론: 윤해동, 허수, 천정완, 이용기, 윤대석(이상 『근대를 다시 읽는다』 편집자)

6     『역사문제연구』 17호 간행

7. 3∼7  야마구치 역사기행
      경로: 서울 → 부산 → 부관페리 → 시모노세키 → 하기 → 야마구치시 → 호후 → 시모노세키 → 부산 → 서울 / 참여: 17명

7. 13  『역사비평』 창간 20주년 기념 학술회의 “민주화 이후 근현대사 연구 20년: 어떻게 새롭게 할 것인가” (장소: 고려대 인촌기념관)
       제1부 근대성과 식민지성, 민주주의와 경제성장
       1. ‘21세기’의 근대와 식민지(이승렬, 부소장)
       2. 우리시대 이중혁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개발독재, 민주화, 그리고 그 역설적 효과(이병천, 강원대)
      제2부 민족・분단 문제와 세계인식
       3. 현대 한국의 민족문제와 분단문제(홍석률, 성신여대)
       4. 민주화 이후 국제관계와 세계인식―국가전략, 담론・지식, 시민사회의 거대변환(박명림, 연세대)
      제3부 성찰과 대안
       5. 탈중심의 세계사 인식과 한국근현대사 성찰(김성보, 󰡔역사비평󰡕 주간)
       6. ‘지나간 미래’의 성찰과 새로운 대안사회의 모색(장상환, 경상대)
       역비에 바란다―20주년 축하와 제언

8. 11  정기심포지엄 예비발표 및 토론 1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발표: 오제연, 한봉석

8. 15  연구소 체육행사

8. 25∼26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및 답사(장소: 서울 및 안동) “한일 민중사연구자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워크숍”
       발표: 근대의 민중과「미신」(오기노 나츠키) / 민중사와 역사수정주의 비판(배성준) / 炭鑛을 필드로 한 마이너리티 연구의 실천과 가능성에 대하여(사가와 쿄헤이) / 식민지 구관조사의 목적과 실태(허영란)
       참가: 강효숙, 김종혁, 배성준, 배항섭, 이경원, 이용기, 이태훈, 장용경, 한봉석, 허수, 허영란, 홍동현(이상 역문연), 青木然, 伊藤俊介, 伊東久智, 大川啓, 荻野夏木, 佐川享平, 佐々木啓, 佐野智規, 鈴木文, 高江洲昌哉, 中嶋久人, 中西崇, 檜皮瑞樹(이상 아민연) 문숙자(초청 강사)

10    『역사문제연구』 18호 간행

10. 6  학술 심포지엄 “일제시기 경제변화와 식민지근대: 식민지근대화론 비판과 새로운 역사인식 모색” (장소: 연세대 외솔관 110호)
      1. “식민지근대화론”의 사상적 연원과 현재성 / 정태헌(고려대)
      2. 경제 성장론 비판 / 문영주(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3. 인력 개발론 비판 / 정병욱(국사편찬위원회)
      4. 생활수준 향상론 비판 / 허영란(역사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종합토론] 사회: 이승렬(연세대 국학연구원) / 토론: 강진아(경북대), 선재원(평택대), 윤해동(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이태훈(연세대)

10. 19∼20
      국제학술대회 “분단과 전쟁의 결과 ―한국과 독일의 비교” (장소: 연세대 새천년기념관)
      <19일>
      개회사: 방기중(역사문제연구소 소장)
      기조발제:
      1. 분단ㆍ전쟁의 상처 치유와 평화공존·통일의 길 / 이종석(세종연구소)
      2. 동독에서의 ‘이주자’ ― 연구 성과와 남은 과제 / 크리스토퍼 클레스만(포츠담현대사연구소)
      제1부 전쟁과 분단의 결과로서 피난과 추방, 이주
      1. 남한의 월남 개신교인들: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 / 강인철(한신대)
      2. 소련 점령지역 및 구동독(DDR)으로부터 서방점령지역 및 독일연방공화국으로 이주해 온 독일 난민과 이주민들 / 파트리스 G. 푸트루스(포츠담현대사연구소)
      3. 재일조선인의 ‘북송(북조선귀국)’ / 진희관(인제대)
      제2부 냉전 시기의 정치적 망명과 역할
      1. 피추방민들의 연방공화국내 통합–신화로부터 현실로 / 지크리트 모이쉘(라이프치히대학)
      2. 정치적 압력단체로서의 연방공화국내 피추방민 협회 / 베른트 슈퇴버(포츠담현대사연구소)
      3. 북조선체제 형성과정에서 재북이남인의 역할 / 이신철(성균관대)
      <20일>
      제3부 분단현실과 통일의 희망
      1. 서독의 초기 통일정책의 맥락에서 전독일부 1949-1963 / 미카엘 렘케(포츠담현대사연구소)
      2. 한독간 초국가적 문제로서 ‘동백림 사건’ / 이유재(독일 자유베를린대학)
      3. 남북 이산가족의 현실과 통일의 미래 / 김귀옥(한성대)
      종합토론 전쟁과 분단의 결과 ― 트라우마·희망·가능성 / 사회: 김성보(연세대)
      토론: 방기중(연세대), 김동춘(성공회대), 크리스토퍼 클레스만(포츠담현대사연구소), 베른트 슈퇴버 (포츠담현대사연구소)

11. 2  정기심포지엄 예비발표 및 토론 2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발표: 후지이 다케시, 홍정완, 이정은
       임시 연구원총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21시)
       ※ 연구실 분과체제로의 개편 및 활동 방향, 연구위원회 재구성을 결정함.

11. 17 정기심포지엄 “1950년대 ‘대한민국’을 살다” (장소: 고려대 인촌기념관)
       개회사: 방기중(역사문제연구소 소장)
       1. ‘이승만’이라는 표상 ― 이승만 이미지를 통해 본 1950년대 지배 권력의 상징정치 / 후지이 다케시(성균관대)
       2. 전후 재건과 지식인층의 ‘道義’ 담론 / 홍정완(역사문제연구소)
       3. 농민, 그 찰나의 경험―지역사회개발사업 / 한봉석(역사문제연구소)
       4. 남한자본주의 형성기 노동문제 인식과 대응의 동학―노무관리를 중심으로 / 이정은(역사문제연구소)
       5. 1950년대 대학생 집단의 정치적 성장 / 오제연(명지대)
       종합토론 / 사회: 이용기(성균관대)
       토론: 김득중(국사편찬위원회),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김영미(국민대), 정진아(연세대), 허수 (동덕여대)

11. 24 11월 2일의 임시 연구원 총회를 거쳐 11월 운영위원회에서 연구실 및 연구위원회 개편을 확정함. 이로 인해 연구실은 <경제사분과>, <사회사분과>, <근대 정치·사상사분과>, <현대 정치·사상사분과> 등 총 4개의 분과체제로 개편되었으며, <민중사연구반>, <이행기연구반>, <북한연구반>, <50년대 심포준비팀> 등 총 4개의 협동과정의 활동을 확인함.
      또한 연구위원회는 연구부소장, 연구실장, 사무국장, 각 분과장 및 사안별 참석자로 구성하기로 확정함. 

12. 7  제35회 토론마당: 한국 근대와 자본가 ― 『제국과 상인』을 중심으로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사회: 문영주(연구원)발표 및 토론: 오미일(친일반민행위자조사위원회), 조명근(연구원)

12. 22 12월 운영위원회(장소: 연구소 2층 강당)에서 후지이 다케시를 운영위원에 위촉 / 『역사문제연구』 편집위원회 발족
      송년회(장소: 연구소 및 현대가든) / 40여 명 참석

 


2008

1. 26  1월 운영위원회에서 이정은 사무국장 선임 건의 인준됨. 한운석, 한상구, 임대식, 박명림 연구위원을 운영위원으로 새롭게 선임함.

2. 15∼18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장소: 일본 와세다대학) “구관조사사업 등에 관한 연구(이용기) 및 개별 연구(홍동현)”
      참가: 방기중, 배항섭, 허수, 허영란, 이태훈, 이용기, 홍동현, 장용경, 이경원, 이신철, 한봉석(이상 역문연)

2. 23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김백일 출판부소장 사임(당분간 공석에 두기로 함)

3. 5∼11. 22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강좌 “일상으로서의 인문학”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 후원: 한국학술진흥재단 / 주최: 월계가정복지센터, 마포두레생활협동조합, 고양파주두레생활협동조합
      ① 생활변화를 통해서 본 한국근현대사(월계 지역)
      강사: 장신, 3월5일∼5월28일 매주 수요일(총 13회)
      ② 아이들과 함께하는 자연사 박물관 프로젝트(마포 지역)
      강사: 정진아, 4월∼6월 매주 금요일 1회  3시간(총 10회)
      ③ 마포역사나들이(마포 지역)
      강사: 이경란, 4월∼6월 격주 1회 3시간(총6회)
      ④ 서울에서 조선시대 여행하기(마포 지역)
      강사: 이경란, 9월∼10월 격주 1회 3시간씩(총6회)
      ⑤ 20세기 한국사교실
      강사: 문영주, 3월6일∼7월17일 매주 목요일(총 20회)      

3. 7   저작비평회: “앙드레 슈미드,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휴머니스트, 2007)”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발표: 백동현(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3. 22  3월 운영위원회에서 김종익 운영위원 사퇴 건을 인준

5     『역사문제연구』 19호 간행

5.  1  윤진희 총무부장 선임

6.  5  역사교육연대회의 기자회견 및 토론회 “뉴라이트의 ‘위험한 교과서’ 바로 읽기” (장소: 서울 YWCA 4층 강당)
      <학술토론회>
      1부 / 사회: 이승렬(역사문제연구소)
      1. 위험한 『대안 교과서』, 위기의 한국사 교육(주진오, 상명대)
      2. 대안교과서의 조건과 뉴라이트 교과서(김종훈, 전국역사교사모임)
      3. 뉴라이트 교과서에 나타난 친일문제의 인식 비판(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4. 부록이 된 북한 역사:교과서 포럼 『대안교과서』비판(이신철,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2부 종합토론 / 사회: 안병우(아시아역사연대)
      토론: 박환(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오종록(한국역사연구회), 윤종배(전국역사교사모임),  최상훈(한국역사교육학회) 등

7. 12∼13
      여름 수련회
      장소: 강화도(연미정, 선원사 등 답사)
      참석: 김성보, 이승렬, 정태헌, 고순정, 류시현, 허영란, 후지이다케시, 김종혁, 은정태, 박종린, 문영주, 황병주, 류준범, 홍동현, 홍정완, 이정은, 윤진희, 강효숙, 이신일, 신명훈, 김지수(총21명)

9. 26∼27
      대한민국수립 60주년 기념 대토론회 “대한민국의 건국 이념과 국민형” (장소: 고려대 하나스퀘어 대강당)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한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 후원: 한국학술진흥재단
      제1부: 제헌헌법과 대한민국의 이념 / 사회: 정태헌(고려대)
      ① ‘한국 국가건설과 국민형성의 이론적 비교적 고찰’
      발표: 박명림(연세대) / 토론: 이완범(한국학중앙연구원)
      ② ‘제헌헌법의 사회·경제질서 구성 이념’
      발표: 신용옥(고려대) / 토론: 정진아(성균관대)
      ③ ‘제헌헌법의 이념과 역사적 평가’
      발표: 이영록(조선대) / 토론: 이수일(연세대)
      제1부 종합토론 / 사회: 이승렬(연세대)
      제2부: 대한민국의 형성 / 사회: 김영미(국민대)
      ① ‘남북국가 수립기 인민과 국민 개념의 착종과 분화’ 
      발표: 김성보(연세대) / 토론: 한운석(고려대)
      ② ‘정부수립 전후 비상국가 체제의 정치폭력과 국민형성의 동종화’
      발표: 김무용(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 토론: 윤충로(성공회대)
      ③ ‘문화적 프로젝트로서의 ‘국가’ 만들기’
      발표: 임종명(전남대) / 토론: 후지이 다케시(성균관대)
      ④ ‘대한민국 국민 만들기와 역사인식’
      발표: 이신철(성균관대) / 토론: 이용기(서울대)
      제3부 종합토론 / 사회: 정용욱(서울대)

10. 7∼11. 4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주간 행사 “일상으로서의 인문학”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 후원: 한국학술진흥재단
      ① 10월 12일, 북촌을 거닐며 역사를 느끼며: 서울성곽을 중심으로(답사)
      강사: 김종혁, 장소: 서울성곽일대
      ② 11월 1일, 역사대중화의 현안과 전망(토론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③ 10월 7일∼28일(매주 화요일, 총5회), 지역의 숨결과 함께─고양역사체험(강좌, 답사)
      강사: 문영주․은정태, 장소: 화정역 세이브존4층, 임진각 일대 답사
      ④ 10월 6일∼11월 3일(매우 월요일, 총 5회), HERSTORY, 한국의 여성생활사(강좌, 토론)
      강사: 전호태, 홍영의, 이순구, 김영미, 윤택림, 장소: 과천시민회관 제2강좌실
      ⑤ 10월 7일∼11월 4일(매주 수요일, 총 5회), 동네사람들과 함께 하는 한국근현대사(강좌, 토론)
      강사: 정숭교, 한상구, 김민철, 이용기, 황병주, 장소: 과천성당
      ⑥ 10월 8일∼10월 29일(매주 수요일 총4회), 우리 시대, 우리 동네, 우리 아이들(강좌, 토론)
      강사: 박성인, 김준환, 이철호, 권기흥, 주창복, 장소: 과천중앙공원 야외음악당
      ⑦ 10월 8일, 9일, 12일(총3회), 바다와 육지, 토착민과 외지인의 어울림(강좌, 답사)
      강사: 이종서, 양상현, 장소: 울산대, 내용: 울산일대 답사
      ⑧ 10월 17일, 19일(총 2회), 고래포구 장생포의 역사 찾기(강좌, 답사)
      강사: 김장근, 최동익, 허영란, 장소: 울산대, 내용: 장생포항 일대 답사

10. 9  교과서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준비모임 집회 및 기자회견 참여
       안건: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개정압력에 대한 교과부의 정치적 충립성 촉구
       일시: 2008년 10월 9일 
       장소: 교육과학기술부 정문 앞

10. 11 역사문제연구소·경제사학회 공동학술대회 “해방 전후 한국의 기업과 경제변동” (장소: 한국방송통신대) / 진행사회: 문영주(성균관대)
       개회사: 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 / 경제사학회 회장
       1부 한국 기업의 생몰과 기업가
       ① 회사제도와 회사, 1910-1945(김두얼, KDI)
       ② 개성상인 그리고 식민지, 전쟁(양정필, 국사편찬위원회)
       2부 조선식산은행의 인사제도와 은행원
       ③ 조선식산은행의 인사제도, 1918∼54(선재원, 평택대)
       ④ 해방 전후 조선식산은행원의 변화(정병욱, 수원대)
       3부 종합토론 / 사회: 이헌창(고려대)
       토론: 박섭(인제대), 주익종(낙성대경제연구소), 이승렬(연세대), 허영란(울산대)

11     『역사문제연구』 20호 간행

11. 8   방기중 소장 타계

11. 20 역사교과서 토론회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문제의 성격과 해결방안” (장소: 프란치스코 교육관 4층)
       주최: 역사교육연대회의 / 후원: 교과서개악저지공동대책위(준)
       1부 기자회견 / 사회: 이신철(아시아평화연대와역사교육연대)
       2부 토론회
       ① 교과서 수정 논란의 전말─발제: 김한종(한국교원대), 토론: 오종록(성신여대)
       ② 검정교과서 제도와 개선 방향─발제: 양정현(부산대), 토론: 박태균(서울대)
       ③ 교과서문제로 공명하는 한국과 일본─발제: 하종문(한신대), 토론: 이신철
       3부 종합토론 / 사회: 윤종배(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

12. 5  심포지엄 “일제강점기 조선인 유력자 집단의 친일화” (장소: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4층 회의실)
      주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역사문제연구소
      ① 1930년대 일본의 식민지 조선지배정책 전환과 사상통제 강화(전상숙, 연세대)
      ② 일제강점기 조선인 자본가들의 친일화 과정(문영주, 성균관대)
      ③ 전시 체제기(1937∼1945) 지역 유력자의 친일 행위(류준범, 국사편찬위원회)
      ④ 일제강점기 조선교육계의 친일화 과정 연구(정숭교,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 위원회)
      ⑤ 1930년대 지식인층의 친일화와 체제협력론(이태훈, 연세대)
      ⑥ 중일전쟁과 조선인 문인 집단의 ‘친일화’과정 연구(정종현, 동국대)
      종합토론: 김경미(독립기념관), 오미일(부산대),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김명구(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12. 19 정기심포지엄 “‘개조의 시대’와 식민지 조선 지식인의 대응” (장소: 고려대 인촌기념관 제1회의실)
      1부 / 사회: 문영주(연구원)
      ① 최선웅(연구원), 1910-20년대 현상윤의 자본주의 근대문명론 / 토론: 이태훈(연구원)
      ② 류시현(연구원), 안확의 ‘개조론’과 조선학 연구 / 토론: 류준필(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③ 허 수(연구원), 󰡔개벽󰡕주도층의 ‘사회개조론’ 수용: 버트란트 러셀 사상을 중심으로 / 토론: 정용서(친일반민족진상규명위원회)
      ④ 장규식(중앙대), 1920년대 사회개조론의 확산과 기독교사회주의의 수용․정착 / 토론: 정태식(경북대 지역개발연구소)
      ⑤ 박종린(연구원), 1920년대 초 정태신의 맑스주의 수용과 ‘개조’ / 토론: 전상숙(연세대 국학연구원)
      2부 종합토론 / 사회: 한상구(연구원)

12. 20 12월 운영위원회에서 이지원을 신임연구위원으로 위촉

12. 27 故방기중 소장 靈駕 49재 (장소: 봉은사 대웅전)

12. 30 『역사문제연구』 등재후보지 선정

 

2009

1. 17  신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30여 명 참여)

1. 30∼2. 1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1. 30∼31> 답사: “분단의 현장을 가로지르다”
      답사지: 임진각, 도라산역, 3호 땅굴, 백마고지 기념탑, 고석정, 평화전망대, 월정역, 구철원읍소재지(노동당사 등), 동두천 기지촌
      참가: 배항섭, 배성준, 허수, 허영란, 이신철, 김종혁, 이용기, 이나바 마이, 천정환, 장용경, 이경원, 장미현, 이홍석(이상 민중사반), 배경식(답사안내), 후지이 다케시(통역), 김성해(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위원), 정계향·안수연(울산대 대학원생), 배성준, 허수 선생님 아이들 2명, 中嶋久人, 佐々木啓, 佐野智規, 佐川亨平, 伊東久智, 大川啓, 中西崇, 高江洲昌哉, 檜皮瑞樹, 依田直樹, 伊藤俊介(이상 아민연)
      <2.  1> 워크숍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사회: 허영란
      ① 1870년대 유행가를 통해서 본 민중의 문명개화관과 대외관(아오키 젠(靑木然))
      ② 아마미 독립경제를 다시 생각함(다카에스 마사야(高江洲昌哉))
      ③ 1960년대 전반 탄광촌의 현실과 탄광노동자의 대응(이홍석)
      ④ 北朝鮮史에서 民衆史 硏究는 어떻게 가능한가?(이신철)

2. 7   연구원 총회 (장소: 경기도 청평)
       박종린 연구원을 차기 연구실장으로 추천.

2. 21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내규 개정: 운영위원회에 이사가 참석하며, 운영위원 및 소장·부소장·역사비평사 대표·이사장의 임기가 조정됨.
       정태헌 부소장이 소장으로 임명
       연구원 총회에서 추천된 박종린 연구원을 차기 연구실장으로 선출

2. 26  ―3·1운동 9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3·1운동, 기억과 기념” (장소: 서울역사박물관 대강당)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한겨레신문사
      개회사: 한상권(한국역사연구회 회장) / 축사: 김성보(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 김선경(역사학연구소)
      1부 발표 / 사회: 박윤재(연세대)
      1. 기억의 탄생, 민중 시위 문화의 근대적 기원
      발표: 김정인(춘천교대) / 토론: 이병래(역사학연구소)
      2. 민족주의, 민중을 발견하다 
      발표: 류시현(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토론: 허수(동덕여대)     
      3. 좌와 우, 그들이 기념하는 3․1운동
      발표: 최선웅(역사문제연구소) / 토론: 윤효정(고려대)      
      4. 3.1운동의 아이콘, 유관순
      발표: 정상우(서울대) / 토론: 김대호(국사편찬위원회)
      5. 역사교육이 재구성한 기억, 3․1운동
      발표: 최병택(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 이정선(서울대)
      2부 종합 토론 / 사회: 지수걸(공주대)
      토론: 발표자 및 토론자 전원
      ― 진실과 미래, 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발기인 대회 참여 (장소: 종로기독교회관 2층 강당)

3. 28  3월 운영위원회에서 이승렬 연구부소장을 사무부소장으로 임명하고, 새로이 연구부소장이 선출되기 전까지 임시로 연구부소장 직을 수행하기로 함. 『역사문제연구』 편집팀장을 편집위원장으로 개칭

4      『역사문제연구』 21호 간행

4. 25  ‘진실과 미래, 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창립대회 참여 (장소: 명동 향린교회 3층)

6. 22∼8. 28  연구소 지하실 공사

7. 20∼8. 28  서고 모빌렉 설치 및 故방기중 소장 도서 이양

8. 1   해외연구자 초청 워크숍 “‘제국’의 사상”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사회: 박종린(연구소 연구실장)
       1. “정치적인 것의 개념: 전간기 일본에서의 ‘협동체’론의 전개” / 이석원(코넬대 역사학과 박사과정)
       토론: 전상숙(국민대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류시현(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연구소 연구원)
       2. “총력전의 자가당착(Antinomies of Total War)”: 기모토 다케시(코넬대 아시아연구학과 박사과정)
       토론: 임성모(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태훈(연세대학교 강사, 연구소 연구원)
       3. “‘제국’의 사상과 해방 후 남한 우익세력의 국가․국민론” / 홍정완(연세대 강사, 연구소 연구원)
       토론: 김항(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후지이 다케시(연구소 연구원)
       종합토론: 사회자, 발표자, 토론자 전원

9. 22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深谷克己, 安在邦夫 선생 정년 및 고희기념 워크숍)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개회사 및 양 대표 인사
       1. 일본에서의 민중사 연구의 현황: 국민국가론과 신자유주의의 관계 속에서(佐々木啓)2. 1980∼90년대 민중사의 출현, 변형 그리고 소멸(배성준)3. 18∼19세기 일본 민중의 조선관: 淨瑠璃와 歌舞技라는 미디어를 통하여(須田努)

10     『역사문제연구』 22호 간행

10. 14 일본어 초서강좌 개설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강사: 방광석

10. 15/22/30
       2009 과천인문학마당: “과천 사람들, 행복한 도시를 상상하다” (장소: 과천성당)
       1강: 근대 도시 서울의 탄생과 도시계획(염복규, 국사편찬위원회) 
       2강: 소설을 통해 본 한국의 아파트 문화사(박철수,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교수)  
       3강: 수도권 신도시 개발과 과천의 탄생(김수현, 세종대 도시부동산대학원 교수)

10. 24 ―10월 운영위원회에서 박명림 운영위원을 연구부소장에 선임
       ― 방기중 문고 현판기념식 (장소: 연구소 1층) / 30여 명 참여

11. 30 ―경제사분과 워크숍 “1945년 이후 금융시장의 역사”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이종현(현 MBN 국제팀장 겸 해설위원)
      ―‘친일인명사전’ 관련 역사단체 기자회견 (장소: 흥사단) / 참여단체: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12. 5  정기심포지엄 “경계에 선 민중, 새로운 민중사를 향하여” (장소: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6층 첨단강의실)
      1부 방법으로서의 민중사 / 사회: 박종린(연세대)
      1. 1980∼90년대 민중사학의 형성과 소멸: 배성준(동북아역사재단)
      2. 근대이행기의 민중의식―“근대”와 “반근대”의 너머: 배항섭(고려대)
      3. ‘인민’과 소외된 ‘민중’―북한 민중사의 모색: 이신철(성균관대)
      토론: 이영호(인하대), 지수걸(공주대)
      2부 경계에 선 민중: 개념, 인식, 생활 / 사회: 정병욱(국사편찬위원회)
      4. ‘민중’ 개념 속의 식민지 경험: 허수(한림대)
      5. 不倫과 不具 사이에서―식민지기 本夫 살해사건 연구: 장용경(국사편찬위원회)
      6. 민중의 셈법과 ‘자율적 생활세계’―생활문서의 화폐기록을 통하여: 이용기(성균관대)
      토론: 조형근(서울대), 류준필(성균관대)
      3부 종합토론 / 사회: 허영란(울산대)
      발표자 외 홍순권(동아대), 지수걸(공주대), 이동기(인하대), 천정환(성균관대)

12. 21 서고 도서 정리 개시. 라벨링 작업

 


2010

1. 16  신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40여 명 참여

1. 22∼23 연구원 총회
      장소: 강원도 춘천 근교 집다리 자연휴양립
      참여: 박종린, 양정필, 염복규, 오제연, 은정태, 이상록, 이용기, 장신, 장용경, 최선웅, 한봉석, 허수, 홍동현, 홍정완, 황병주, 후지이 다케시 (이상 16명)

2. 6   제36회 토론마당: 변혁주체 민중론, 어떻게 계승·발전시켜야 할 것인가?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사회: 박종린(역사문제연구소 연구실장)
      발표: 지수걸(공주대 교수)
      토론: 김선경(역사학연구소 소장), 이용기(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한상구(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

2. 18∼21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장소: 일본)
      <19일> 답사: 치바현 인근의 에도시기 민중사 관련 답사
      <20일> 워크숍
      1. 中嶋久人「日本近代における公共圏の展開と対抗的公共圏の成立・序説」
      2. 繁田眞爾「1900年前後の国家主義イデオロギーと道徳――井上哲次郎を中心として」
      3. 이용기「‘새로운 민중사’의 방향 모색과 민중사반의 포지션」
      4. 이홍석「1950년대 조봉암의 ‘피해대중론’과 민중」
      참가: 배항섭, 한상구, 이용기, 천정환, 장용경, 소현숙, 이경원, 이경원, 이홍석, 제인킴, 장미현(이상 민중사반 11명), 류준범(연구원), 최병구(성대 국문과), 김명수(연구원, 답사 통역), 홍종욱(동지사대 교수, 워크숍 통역), 박준형, 이정선(이상 동경 유학생)

2. 27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사무국장: 홍정완 연구원 선임

3. 27  ―3월 운영위원회에서 이종현(mbn 해설위원)과 박용대(법무법인 지평지성 변호사)를 신규 후원이사로 위촉
       ―원경 스님 고희연 (장소: 낭만) / 40여 명 참여

4      『역사문제연구』 23호 간행

4. 24  이사회에서 이사장 이취임을 결정: 서중석 이사장 취임

5. 29  역사교육연대회의 성명서 “교과부의 ‘역사’교과서 졸속 재집필 지시 철회 및 역사교육 붕괴 대책 마련 요구” 발표 참여 (장소: 고려대학교 교양관 202호)
        5월 운영위원회에서 김동춘, 반병률, 김연철, 홍석률, 허은을 신임 운영위원으로 위촉. 6월 운영위원회부터 합류하기로 함.

8. 12  강제병합 100년 한일시민대회 공표 기자회견 참여 (장소: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중앙마당)

8. 18∼19
       게이오대학 제국주의 도시사모임과의 국제학술심포지엄 및 답사 “일본제국주의 세력권 도시의 諸문제와 사회변동”
       <18일> 학술심포지엄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개회사: 정태헌(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야나기사와 아소부(柳澤遊, 慶應大學)
       제1부 / 사회: 박종린(이화여대)
       1. 이분법적 식민도시 공간론을 넘어서ㅡ인구자료를 이용한 식민도시 경성 내부 구조의 다양성 분석: 김종근(캠브리지대)
       2. 日帝末期 京仁市街地計劃과 ‘廣域都市圈’ 構想ㅡ京城도시계획의 공간적 확장과 유산: 염복규(국사편찬위원회)
       3. 傳統都市 開城, 殖民都市를 拒否하다: 양정필(국사편찬위원회)
       총평: 이승렬(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
       제2부 / 사회: 김명수(게이오대학)
       1. 戰時下の靑島經濟(1938∼1945年) ― 日本の再占領と物資流通を中心に: 아사다 신지(淺田進史, 首都大學東京)
       2. ”滿州國”下の都市社會問題―石炭供給不全を中心に―: 야마모토 유(山本裕, 香川大學)
       3. 保障占領下北樺太における日本人の活動: 다케노 마나부(竹野學, 札幌醫科大學)
       총평: 하시야 히로시(橋谷弘, 東京經濟大學)
       종합토론 / 사회: 김종혁(연세대)
       <19일> 답사
       장소: 인천 월미도 및 개항장 일대(인천시사편찬연구소 포함)
       안내: 이희환(인하대 HK연구교수), 황은수(인하대 박사과정)
       일정: 인천시립박물관, 송도 → 월미산 전망대 → 한국이민사박물관 → 중식(차이나타운 내 식당 선정) 및 청국 조계지역 → 조계 계단 → 청국 영사관 회의청→ 공화춘 → 공동 조계지역 → 존스턴별장터 → 세창양행숙사터 → 홍예문 → 성공회 내동성당 → 감리서터 → 제물포구락부 → 일본 조계지역 → 일본영사관  → 은행가(개항장 근대건축 전시관, 한국근대 최초사 박물관 등) → 대불호텔터 →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인천 아트 플렛폼)

8. 28  8월 운영위원회에서 “연구소이전추진위원회”가 구성. 추진위원에 서중석(이사장), 원경·장두환(이상 이사), 정태헌(소장), 이승렬(부소장), 안병용(후원이사)이 위촉. 간사에 홍정완 사무국장

10    『역사문제연구』 24호 간행(故 방기중 소장 2주기 기념논문집)

10. 21 역사교육연대회의 주최 학술대회 “역사교육의 위기와 검정 ‘한국사’교과서” 참여 (장소: 흥사단 강당)

10. 23 10월 운영위원회에서 <연구소 이전에 관한 운영위원회 결정안> 통과. 이 결정안에는 연구소 이전과 관련한 부동산의 매각 및 매수의 결정과 책임이 이사회 사항임을 확인하는 내용과 연구소가 매수한 건물의 공간 활용과 관련하여 연구실 의견을 존중, 운영위원회의 합의, 이사회 승인 절차를 확인하는 내용이 있음.

10. 29∼30
       독일 통일 20주년 기념 학술회의 “분단과 통일의 상이한 관점을 넘어서 ― 냉전과 탈냉전 시기 한국과 독일의 이데올로기 논쟁 비교를 중심으로” (장소: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3층 대회의실)
       주최: 역사문제연구소(한독비교사연구회),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
       후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9일>
       등록 및 개회사
       인사말: 정태헌(역사문제연구소 소장) / 크리스토프 폴만(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사무소 소장)
       개회사: 김성보(한독비교사연구회 대표)
       1부: 두 분단국가와 이데올로기 대립: 비교와 연관
       제1회의: 한국/아시아와 독일/유럽의 냉전과 이데올로기 / 사회: 백준기(한신대)
       1. 아시아의 냉전과 유럽 냉전의 비교: 박명림(연세대)
       2. 반공주의 대 내재적 관점? 통일 전 서독의 동독 연구의 시각“: 옌스 휘트만(Jens Hüttmann , 사회주의통일당 과거청산을 위한 연방재단, 베를린)
       토론: 정상돈(국방연구원), 홍석률(성신여대)
       제2회의: 분단 한국/독일의 반공연대와 균열 / 사회: 이신철(성균관대)
       1. “1950년대 반공과 간첩의 사회: 󰡔동아일보』 분석을 중심으로”: 김귀옥(한성대)
       2. “전후 독일에서의 반공주의와 보수주의의 전개”: 이진일(성균관대)
       3. 냉전 시대 박정희의 한국 근대화 정책과 서독의 의미와 역할 1961-1967: 노명환(한국외국어대)
       토론: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최형식(건국대), 이완범(한국학중앙연구원)
       <30일>
       2부: 독일 통일에 대한 독일과 분단 한국의 인식과 대응
       제3회의: 독일 통일의 원인과 경과, 한국에서의 인식 / 사회: 김승렬(경상대)
       1. “독일 통일의 원인과 과정과 결과에 대한 동서독인의 인식“: 야나 뷔스텐하겐(Jana Wüstenhagen, 사회주의통일당 과거청산을 위한 연방재단, 베를린)
       2. “통일독일의 사회‧문화‧경제 통합에 대한 한국에서의 인식 1990-2010” ㅡ 한운석(고려대)
       토론: 송충기(공주대), 김연철(인제대)
       제4회의: 통일 독일에서 통일과 동독사에 대한 인식 / 사회: 김용현(동국대)
       1. “독일 통일에 대한 담론들. 주제와 논쟁의 경계선들“ :얀 뷜고스(Jan Wielgohs, 비아드리나유럽대학, 프랑크푸르트/오더강)
       2. “논쟁사로서의 현대사. 통일 독일에서의 동독사 연구“: 옌스 휘트만(사회주의통일당 과거청산을 위한 연방재단, 베를린)
       토론: 이승협(한국기술교육대), 전진성(부산교대)
       제3부 종합토론

11     『(문답으로 읽는) 20세기 한국경제사』(정태헌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0) 출간

11     『만화로 배우는 한국근현대사』(역사문제연구소 글, 안형모 그림, 이이화 감수) 전3권 중 두 권이 먼저 출간

11. 20 정기심포지엄 “4·19에서 5·16으로, 그 전환의 역사를 재해석한다” (장소: 고려대 인촌기념관 제1회의실) / 후원: 국사편찬위원회
       개회사: 정태헌(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제1부 국가와 민족을 둘러싼 사상의 재구축 / 사회: 정병욱(고려대)
       1. 국가보안법체제에서 반공법체제로─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2. 민족주의의 모색: ‘민족혁명론’과 ‘민족적 민주주의’ 사이에서─오제연(서울대)
       3. 재구성의 거울, ‘제3세계’를 보다─홍정완(연세대)
       토론①: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윤상현(서울대), 권보드래(고려대)
       제2부 4.19와 5.16에 대한 주체의 대응 / 사회: 김영미(국민대)
       1. 4.19 이후의 대자본가 동태: 사회격변에의 대응과 축적방식의 변화추적─이정은(역사문제연구소)
       2. 4월 혁명 전후 농촌이론가들의 농정인식과 굴절─한봉석(강릉대)
       토론②: 배석만(고려대), 이경란(연세대)
       3.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 만들기─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4. 영화, 혁명의 징후, 도시 중간계층의 욕망과 가족주의─노지승(경남대)
       토론③ 김보현(성공회대), 천정환(성균관대)
       제3부 종합토론: 4.19에서 5.16으로의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사회: 이용기(성균관대)
       토론: 정근식(서울대), 박태균(서울대),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김보현(성공회대)

11. 27 11월 운영위원회에서 차기 『역사비평』 주간에 정병욱 연구원을 선출

12    연구소가 기획하여 출간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현대사』(웅진지식하우스, 2004)가 일본어판으로 출간됨(金聖甫, 奇光舒, 李信澈 著, 李泳采 監訳·解説, 韓興鉄 訳, 『写真と絵で見る 北朝鮮現代史』, コモンズ, 2010年 12月)

12. 28 송년회 (장소: 재동순두부) 10여 명 참석

 


2011

1. 15  신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30여 명 참석

1. 22∼23
      연구원 총회 (장소: 남양주군 수동면 애마송 펜션)
      참석: 박종린, 배경식, 오제연, 윤덕영, 은정태, 이상록, 이용기, 이태훈, 장신, 장용경, 최선웅, 한봉석, 홍동현, 홍정완, 황병주, 후지이 다케시
      연구실의 학문적 분위기를 쇄신하고 연구 역량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해 신임연구원을 충원하는 한편, 연구원 중 일부가 사임하기로 결의. 장신 연구원을 차기 연구실장으로, 황병주 연구원을 차기 편집위원장으로 추천 

1. 29∼30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20일> 답사 “쇄국과 개항, 분단의 현장, 강화도를 찾아서” (장소: 강화도 일대)
      일정: 서울 출발 → 초지대교 → 광성보 → 고려궁지, 외규장각 터, 성공회 강화성당 → 강화역사박물관 → 화문석문화관 → 평화전망대 → 서울 도착(18:30)
      <30일> 워크숍 (장소: 연구소 회의실) / 사회: 허영란
      개회사 및 인사말
      1부 발표
      1. ‘한국 병합’ 100년과 일본 사회―2010년의 동향(오오타 료고)
      2. ‘한국 병합’ 100년과 일본 사회―국제심포지엄 「‘한국 병합’ 100년을 묻는다」를 중심으로(다나카 모토아키)
      3. 신자유주의 시대 역사학의 조건과 민중사의 모색(배성준)
      2부 발표
      1. 19세기 將軍 권위의 변질과 민중: 日光社參을 사례로 하여(쓰바키다 유키코)
      2. 식민지시기 지역 주민대회에 대한 검토(한상구)
      3부 총평 및 정리
      참가자: 深谷克己, 須田努, 高江洲昌哉, 檜皮瑞樹, 佐々木啓, 青木然, 太田亮吾, 田中元暁, 金鉉洙, 本庄十喜, 椿田有希子, 小山亮, 大月英雄, 배항섭, 한상구, 배성준, 강효숙, 허수, 허영란, 이신철, 이용기, 조형근, 稻葉眞以, 장용경, 홍동현, 소현숙, 이홍석, 장미현, 배경식, 후지이 다케시, 이이화, 문일웅, 김헌주, 비온티노 유리안, 캬스더이킬러, 양지혜, 백선례, 장소련, 김호연, 정계향, 박윤진, 이삼성, 이승렬, 김성보, 박명림, 김민철 외 다수

2. 14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제1권∼제5권 출간

2. 26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연구실장 장신, 편집위원장 황병주 선출(연구원 총회 추천 사항)
       <연구소 이전 추진에 관한 정기총회 결정안>이 통과됨.

3     3월 운영위원회를 거쳐 지난 1월에 열린 연구원 총회에서 결의한 연구원 사임 건을 확정. 이로 인해 김민철, 김종혁, 류시현, 문영주, 박종린, 배경식, 송규진, 신주백, 안자코 유카, 오유석, 윤덕영, 이강수, 이신철, 이용기, 정병욱, 한긍희, 허수, 허영란 총 18명의 연구원이 물러남.

3. 15  “일본 대지진 재난에 대한 한국 시민단체의 성명” 참여      

4      『역사문제연구』 25호 간행

4. 2   연구원 총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4. 20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창립10주년 후원의 밤 행사에서 연구소가 감사패를 받음.

4. 23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전5권 출간 축하회 (장소: 우리집 게스트하우스)
       ―4월 운영위원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신임연구원 선임: 김아람(연세대 박사과정, 현대사), 양지혜(한양대 박사과정, 근대사), 예대열(고려대 박사과정 수료, 북한사) 이정선(서울대 박사과정 수료, 근대사), 이홍석(연세대 박사과정, 현대사), 장미현(연세대 박사과정, 현대사), 전영욱(서울시립대 박사과정, 근대사) 정무용(서울대 박사과정, 현대사), 정예지(성균관대 박사과정, 근대사), 최우석(성균관대 박사과정, 근대사)
       부소장 이취임: 이승렬 전임 사무부소장 이임, 이신철 연구원 사무부소장 취임, 허영란 연구원 연구부소장 취임
       (가칭)연구소 발전위원회 발족

5      ―5월 운영위원회에서 지난 3월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사임한 18명의 연구원을 연구위원으로 추천함.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정해구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1) 출간

5. 16  ‘한국사’ 교육과정 논란과 역사교육정상화 토론회 공동주최 (장소: 흥사단)
       주최: 고등학교‘한국사’필자협의회, 민족문제연구소,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역사교육연구소, 역사교육연구회, 역사문제연구소, 전국역사교사모임,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역사교육학회, 한국역사연구회

5. 20  “2011년 일본 중학교 교과서 분석 심포지엄 ― 역사, 공민을 중심으로” (장소: 만해NGO교육센터 대교육장)
       주최: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역사문제연구소, 동아시아역사연구소(성균관대), 한국역사교육학회, 전국역사교사모임, 한국역사연구회

6     연구소의 중장기 발전 방향에 관한 구체안을 만든다는 목적으로 “미래특위” 발족

6. 23  제37회 토론마당: 유교적 근대를 통해 본 한국사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미야지마 히로시(성균관대)
       토론: 배항섭(고려대), 조형근(서울대)

7. 16∼17
       연구소 수련회 (장소: 강화도 일대, 숙소: 강화도 시민기자학교)
       참석: 정태헌, 정병욱, 이신철, 허영란, 장신, 은정태, 김종혁, 홍정완, 이상록, 이정은, 오제연, 후지이다케시, 최선웅, 김아람, 이홍석, 이정선, 전영욱, 최우석, 양지혜, 정무용, 윤진희

8. 27  『역사를 쓰다』(이이화 저, 한겨레출판사, 2011) 출간 축하회 (장소: 현대가든)

8. 29  신임연구원 연구발표회 1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최우석: ‘매일신보’가 그린 1919년, 그 해 감옥의 풍경
       2. 정예지 : 재만조선인사회와 운동회

9. 19  제38회 토론마당: 지방사라는 물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이타가키 류타(同志社大)
       토론: 지수걸(공주대), 이용기(한양대)

9. 29∼30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공익법인 실태조사’

9. 30  신임연구원 연구발표회 2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김아람: 1950-60년대 혼혈인과 의무교육
       2. 정무용: 국가재건최고회의 시기 ‘군사정부’의 대민선전체계, 1961∼1963

10    ―『북한의 역사(1): 건국과 인민민주주의의 경험 1945∼1960』(김성보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1) 출간
       ―『북한의 역사(2):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960∼1994』(이종석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1) 출간

10. 7  2011년 역사교육과정 개정 관련 학술토론회 “초중고 역사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장소: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406호)
       주관: 역사교육연구소, 역사교육연구회, 역사문제연구소, 역사와 교육학회, 전국역사교사모임,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10. 21 “역사교육의 위기와 검정 ‘한국사’교과서” 학술대회 (장소: 흥사단)
       주최: 한국역사교육학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사학회,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학연구소, 역사문제연구소, 역사교육연구회,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민족문제연구소

10. 27 신임연구원 연구발표회 3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이정선 : 1920년대 ‘內鮮結婚’의 호적 취급 방식과 당사자의 현실
       2. 전영욱 : 전시체제기 ‘말’의 통제―조선임시보안령과 일본 법률의 관계를 중심으로

11     『역사문제연구』 26호 간행

11. 3  『역사비평』 ‘역사정책기획단’이 1차모임을 가지면서 정식활동 개시(기획단 구성: 김동춘, 이신철, 안병우, 조영삼, 이동기, 정태헌, 정병욱)

11. 29 임시총회 및 11월 운영위원회

11. 30 신임연구원 연구발표회 4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예대열: 뉴라이트와 탈근대론의 모순적 동거의 해체를 위한 제언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반북논리 비판을 중심으로
       2. 이홍석: 1965년 ‘메사돈 사건’을 통해 본 부정의약품 문제

12. 5  제39회 토론마당: 지금 사회주의 운동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임경석(성균관대)
       토론: 김무용(고려대), 윤상원(경원대)

12. 10 정기심포지엄 “근대 지식의 형성과 문화지형” (장소: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첨단강의실) / 사회: 장용경(국사편찬위원회)
       1. 이태훈: 한말 근대정치운동의 확산과 정치연설의 역할
       2. 김성연: 식민지 조선, 아인슈타인을 만나다―1920년대 초기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
       3. 박종린: '조선사'의 서술과 역사대중화―황의돈의 <중등조선역사>를 중심으로
       4. 장신: 일제하 민족주의사학의 생산과 전파-박은식의 저술을 중심으로
       토론: 박진영, 신주백, 정준영

12. 24 송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2012

1      『역사문제연구』 등재지 선정(26호)

1. 14  신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10  신임연구원 연구발표회 5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양지혜: 국민, 민족, 식민자 감각과 기억 사이―미나마타(水俣) 출신 노동자의 식민지 흥남(興南) 체험 회고를 중심으로
       2. 장미현: 1960년대 일본조선연구소의 구성과 현실인식

2. 3∼4
       연구원 총회 (장소: 경기도 수원 일대)
       참석: 장신, 장용경, 오제연, 이상록, 후지이 다케시, 황병주, 한봉석, 김아람, 정무용, 전영욱, 장미현, 염복규, 양정필, 최우석, 양지혜, 정예지, 이홍석, 이정선

2. 25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 사무국장: 한봉석 선출

3      연구소 안팎의 여러 소식들을 원활하게 공유하기 위해 연구소 facebook 계정을 개설(N.f.Kistory)

3. 24  3월 운영위원회
       분과체제를 해제하고 연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함.
       연구원 지위 상실 이후 연구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선임연구원 제도를 시행하기로 함.

4      4월 운영위원회에서 선·후배 연구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선배 연구원의 연구 역량과 활동 역량을 연구소로 포함시키기 위해 상임연구원제를 실시하기로 결정함.
        『역사문제연구』 27호 간행

4. 6   『일제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서영희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2) 출간

4. 13  1회 연구발표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장신: 1931∼33년 조선일본의 경영권 다툼과 방응모 / 토론: 장인모(고려대)

5. 18  제40회 토론마당: 해방 후 파시즘 사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후지이 다케시(성균관대)
       토론: 김용우, 홍정완

6. 1   2회 연구발표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장용경: 임화의 문학사 서술과 아시아적 정체성론 / 토론: 정준영(한림대)

6. 23  6월 운영위원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임시연구원총회(6. 23)의 논의 검토: 분과체제로 운영되던 기존의 연구실 체제를 연구반 체제(민중사연구반, 유신체제연구반, 식민지재정사연구반, 이행기연구반)로 개편. 연구위원회는 당연직(연구부소장, 연구실장, 편집위원장, 사무국장, 토론마당팀장)과 각 연구반 반장, 다른 연구원의 추천을 받은 연구원으로 구성됨. 허영란, 장신, 황병주, 한봉석, 후지이 다케시, 정무용, 장미현, 정예지 연구원이 연구위원회 구성
       ―운영위원 개편:
       1) 이상록, 조명근, 이태훈, 장용경 → 정무용, 장미현, 정예지
       2) 정순구 (신임)역사비평사 사장을 운영위원에 임명(김백일 역사비평사 사장 사임)

8. 22  제41회 토론마당: 전시기 조선 지식인의 전향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홍종욱(同志社大)
       토론: 임성모(연세대), 후지이 다케시(성균관대)

8. 28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한국 학술단체 및 지식인 청원서” 서명 동참 (참여단체: 18개 학회, 207명 개인 참여)

9. 14∼15
       유신40년 역사4단체 연합 학술대회 “역사가, 유신시대를 평하다” (장소: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502, 503호)
       주최: 민족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제1일차: 14일>
       제1부: 유신체제와 식민지 유산(민족문제연구소) / 사회: 이용창(민족문제연구소)
       1. 유신체제와 일제말 파시즘체제 / 박한용(민족문제연구소)
       2. 박정희정권과 친일세력 / 박수현(민족문제연구소)
       3. 어느 농민의 일상생활과 유신체제  / 김영미(국민대)
       4. 박정희정권과 국책으로서의 성의 도구화‑1970년대 기생관광의 식민지적 기원 / 이준식(연세대)
       종합토론 / 사회:‑김민철(민족문제연구소), 이용기(한국교원대), 장신(역사문제연구소)
       제2부: 유신체제기 규율권력과 저항(역사학연구소) / 사회: 양정심(고려대)
       1. 유신체제와 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과 상징체계 / 이창언(연세대)
       2. 유신체제기 규율권력의 메카니즘 / 김보현(동국대)
       3.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 / 박진우(전남대)
       4. 유신체제와 부마항쟁 / 차성환(부산민주주의와사회연구소)
       종합토론 / 사회 : 홍순권(동아대)
       이영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김원(한국학중앙연구원), 이환병(성균관대), 조현연(성공회대)
       제3부 : 개발과 문화를 통해 본 유신정치(역사문제연구소) / 사회: 이용기(교원대)
       1. 유신 전후 외국인 투자 기업의 유치와 노동문제―마산수출자유지역을 중심으로 / 장미현(역사문제연구소)
       2. 1970년대 박정희정권의 강남개발 / 전강수(대구가톨릭대)
       3. 유신체제기 민족문화육성론의 갈등과 변화 / 이하나(연세대)
       4, 1970년대 대학문화와 학생운동 / 오제연(서울대)
       종합토론: 송은영(연세대), 이정은(고려대), 이상록(중앙대), 황병주(역사문제연구소)
       <제2일차: 15일>
       제4부: 유신체제 형성과정의 재조명(한국역사연구회) / 사회: 정병준(이화여대)
       1. 유신체제와 한미관계 / 홍석률(성신여대)
       2. 유신체제기 남북관계의 이상과 실제 / 김지형(서원대)
       3. 유신체제를 위한 경제적 토대의 마련, 8․3조치 / 박태균(서울대)
       토론: 마상윤(가톨릭대), 김진환(건국대) 오유석(성공회대)
       제5부: 유신시대의 역사적 평가와 성찰 / 사회: 정용서(연세대)
       1. 기조강연 / 이만열(숙명여대)
       2. 유신과 정치 / 서중석(성균관대)
       3. 유신과 경제 / 정태헌(고려대)
       4. 유신과 법 / 정태욱(인하대)
       5. 유신과 문화 / 임헌영(중앙대)
       종합토론 / 사회: 안병욱(가톨릭대)
       김동춘(성공회대), 박찬승(한양대)

9. 19  『역사비평』 100호 간행 기념행사 (장소: 연세대 동문회관 2층 중연회장)

10     『역사문제연구』 28호 간행

10. 13 정기심포지엄 “평등과 불평등의 역설, 유신체제를 묻는다” (장소: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첨단강의실) / 사회: 허영란(울산대)
       1. 1970년대 주택정책, 서민의 욕망과 빈민의 좌절
       발표: 김아람(연세대) / 토론: 김원(한국학중앙연구원)
       2. 1970년대 소비억제정책과 ‘구별짓기’의 소비문화
       발표: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 토론: 유선영(성공회대)
       3. 1970년대 중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추이와 그 모순
       발표: 정무용(서울대) / 토론: 이기훈(목포대)
       4. 유신체제기 공간의 위계화와 대중의 감수성
       발표: 송은영(연세대) / 토론: 권보드래(고려대)
       5. 유신체제기 평등‑불평등의 문제설정을 위하여
       발표: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토론: 김보현(동국대)
       종합토론

10. 27 박호성 운영위원 사임

11. 3  제42회 토론마당: 영상자료를 통한 역사재현의 가능성, 영화 <미국의 바람과 불>(2012) 상영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김경만(영화감독)
       토론: 허은(고려대), 배경민(동국대)

11. 24 정기총회(예산) 및 11월 운영위원회

     


2013

1. 19  신년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2.  1∼2
       연구원 총회 (장소: 연세대 원주캠퍼스 세현재)
       참석: 김명수, 김아람, 양지혜, 예대열, 오제연, 은정태, 이상록, 이정은, 이정선, 이태훈, 장미현, 장신, 장용경, 전영욱, 정무용, 정예지, 최우석, 한봉석, 홍정완, 황병주, 후지이 다케시

2. 15  ―정기총회(결산) 및 2월 운영위원회
       연구소 임원 개편: 김동춘(소장), 배경식(사무부소장), 이기훈(연구부소장), 후지이 다케시(연구실장), 이상록(편집위원장), 정예지(사무국장)
       ―회보 56호 간행

2. 22∼24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장소: 울산대)
       1부: 한일 양국의 민중사 연구시각과 연구동향 비교 
       1. 배항섭(성균관대): 1980년대 이후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사―근대지향을 넘어서
       2. 스다 쓰토무(須田努, 메이지대): 1980년대 이후 민중사 연구 동향과 방향전환―인민투쟁사와 민중사상사를 넘어서
       2부: 마이너리티와 민중사
       1. 히와 미즈키(檜皮瑞樹, 와세다대): 민중사 연구에서 마이너리티의 문제―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2. 장용경(국사편찬위원회): 1925년 형평사 예천 사건과 형평사 해소 논쟁
       3부: 민중의 다중적 경험의 재현 방법
       1. 아오키 젠(青木然, 교세이): 1890년대 神戶의 항만 노동자와 청국 노동자의 상호 관계와 인식
       2. 사사키 케이(佐々木啓, 와세다대): 총력전과 노동자의 신체 -‘불량’ 공원의 세계
       3. 소현숙(한양대): 식민지기 이혼소송에서 나타난 여성의 행위성과 식민지 젠더정치
       4. 허영란(울산대): 울산국민보도연맹사건의 기억과 역사화-국가사와 지역사

3. 23  이기훈 연구부소장 연구원 사임 / 이인호 자문위원 해촉
       출판팀(팀장: 홍정완)과 역사기행팀(팀장: 양지혜) 신설

3. 29  역사정책기획단이 『역사를 바꾸는 역사정책』을 출간

4. 2   라운드테이블 “민주주의라는 물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발제: 쑨거(孫歌, 중국사회과학원)

4. 20  “정전60주년특별기획 추진위원회” 발족(정예지, 후지이 다케시, 이정은, 예대열, 전영욱)

4. 22  특별초청강연회 “풀뿌리 과거사청산의 실천”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발표: 이치노헤 쇼코(一戶彰晃, 일본 아오모리현 운쇼지 주지)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5      『역사문제연구』 29호 간행

6      연구소 블로그 운영 개시

6. 8   조지 카치아피카스 강연회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6. 28∼7. 20
        정전 60주년 특별기획 “역사, 평화를 이야기하다”
        <6월 28일∼7월 1일>
        “정전60주년맞이 평화기행”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인권재단 사람, 참여연대, ASCK(The Alliance of Scholars about Korea), 518기념재단
        1일째: 남산 안기부터→ DMZ → 강화도 / 국제세미나 1. 분단과 생명평화
        2일째: 강화도 → 평택 대추리 → 충북 노근리 / 국제세미나 2. 미군과 한반도 평화
        3일째: 노근리 → 거창 민간인 학살지 → 광주 망월동 / 국제세미나 3. 전쟁과 학살
        4일째: 제주도
        평화선언문 작성, 강정마을 방문, 한반도 평화선언 발표 기자회견
        <7월 6일>
        “학술토론회: 끝나지 않은 전쟁 60년, 평화의 길을 묻다”
        1. 정전협정 무엇이 문제인가? ― 정전협정의 쟁점과 그 유산(김보영)
        2. 정전체제와 한미동맹, 그리고 한반도 핵위기(서재정)
        3. 한반도 평화체제 구상(김연철)
        <7월 10일>
        “대담: 총을 들지 않는 평화―한 병역거부자의 이야기”
        발언: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용석 & 병역거부자 길수
        <7월 13일>
        “강연: 전쟁기억의 기원-한국전쟁의 이미지 만들기”
        1. 강성현: 한국전쟁의 ‘시각’과 ‘사각’―미육군통신대 사진부대의 사진을 중심으로
        2. 김한상: 한국전쟁과 전후복구시기 USIS 영화의 응시메커니즘
        <7월 17일>
        “강연: 핵과 평화”
        한홍구: 핵발전과 핵폭탄, 그리고 민주주의
        <7월 19일>
        “기행: 평화의 길을 찾아서”
        일정: 도라산전망대, 개성출입사무소, 도라산역 → 정범진 선생(남북경협활성화추진위원회 사무국장) → 고양 금정굴 →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7월 20일>
        “닫는 공연: 평화를 노래하다”
        진행: 정재환 / 공연: 사이, 드문, 꽃피는학교

7       연구소 브로슈어 제작

7. 10∼12
       국제회의 “냉전의 원인과 역사와 결과” (장소: 독일 튀빙엔시 튀빙엔성 후작의 방)
       주최: 튀빙엔대학교 철학부 아시아-오리엔트연구소 및 중국·한국학과 
       협력: 포츠담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문제연구소, 서울대학교 평화통일연구원
       지원: 독일연방 사통당 과거청산재단(베를린)
       <10일>
       1. 냉전 이데올로기로서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
       1) 김태우(서울대): 냉전과 북한의 반미주의
       2) 슈테판 크로이쯔베르거: ‘정신적 위험’에 맞서. 본공화국의 정치문화에서의 반공주의(Wider die "geistige Gefahr". Antikommunismus in der politischen Kultur der Bonner Republik)
       3) 이진일(성균관대): 독일 아데나워 정권과 한국 이승만 정권 시기 반공주의의 비교
       4) 요하네스 그로스만: 긴 1960년대에서 반공주의의 지구화(Die Globalisierung des Antikommunismus in den 1960er Jahren)
       2. 포디움 토론
       기조연설: 한국 통일에 대한 새로운 시각: 연성복합통일론(박명규, 서울대)
       토론: 알프 뤼트케, 크리스토프 클레스만, 안나 카민스키, 얀 뷜고스, 한운석
       <11일>
       3. 열전과 긴장완화 사이의 냉전
       1) 베른트 슈퇴버: 중심과 주변: 유럽과 동아시아 냉전의 비교(Zentrum und Peripherie: Vergleich des Kalten Krieges in Europa und Ostasien)
       2) 베른트 그라이너: 서울과 사이공에서의 ‘베를린 방어’: 아시아에서 미국의 전쟁들과 독일에서의 반응(Die 'Verteidigung Berlins' in Seoul und Saigon: Deutsche Reaktionen auf Amerikas Kriege in Asien)
       3) 김성보(연세대): 냉전기(1960년대) 한반도에서 두 분단정부의 국민/인민 개조 경쟁
       4) 박명림(연세대): 독일문제와 한국문제의 지역적 역사적 이론적 비교: 분단문제, 통일모델 및 지역질서를 중심으로
       4. 냉전 속의 이주
       1) 자넷 판 라크: ‘양지 쪽에’―구동독 시민들의 서독에서의 이주민 생활 경험("Auf der Sonnenseite": Übersiedlungserfahrungen ehemaliger DDR-Bürger in der Bundesrepublik)
       2) 베티나 에프너: 탈주 목표 서베를린. 동독 탈출자들의 통합에 관한 관찰(Fluchtziel West-Berlin. Bepbachtungen zur Integration von DDR-Zuwanderern)
       3) 한도현(한중연): 남한 사회에서의 탈북동포 통합의 문제
       4) 김귀옥(한성대): 냉전과 탈냉전 속 이산과 공존―교토 재일코리안의 구술을 중심으로
       <12일>
       5. 냉전 속의 문화와 사회
       1) 정병욱(고려대): 한국과 일본에서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냉전과 기억
       2) 백원담(성공회대): 냉전의 아시아 지역화와 문화화 문제
       3) 게오르크 쉴트: KAL기 폭파사건이 1983년 미소관계에서 의미하는 것(Was der Abschuss der KAL 007 über den Stand der amerikanisch-sowjetischen Beziehungen im Herbst 1983 verrät)
       4) 박유희(고려대): 냉전시기 남한 영화에 나타난 ‘열강들’의 표상
       5) 옌스 휘트만: 이데올로기적 무기로서의 역사학과 사회과학(Geschichts- und Sozialwissenschaft als ideologische Waffe)

8. 9   저작비평회 “권명아, 『음란과 혁명: 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 (장소: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경영대학교 B106호)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동아대 석당학술원 문화콘텐츠연구소
       토론: 권명아(『음란과 혁명』 저자, 동아대), 장신(성균관대), 천정환(성균관대),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8. 23∼24
       연구소 하계워크숍 (장소: 수원 화성 사랑채)

9. 4   교학사교과서 비판 성명 발표

9. 10  교학사교과서 검토설명회 및 분석자료 공개 (장소: 대우재단빌딩 7층 제1세미나실)
       ※ 한국역사연구회,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 공동 발표)

9. 12  교육부의 ‘뉴라이트 교과서’ 비호에 대한 역사단체의 입장발표

9. 25  유영익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내정 관련 성명서 발표

10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저, 역사비평사, 2013) 출간
       『역사문제연구』 30호 간행

10. 10∼11. 14
       심상정 마을학교 강좌 기획 “새 사회에 대한 꿈, 또는 굴절의 역사”
       1강: 1894년, 농민들이 꿈꾼 유토피아' (홍동현) 10월 10일
       2강: 조선일보의 화장을 지운다(장신) 10월 17일 
       3강: 아내로부터의 탈출(소현숙) 10월 24일 
       4강: 대한민국의 건국이념(후지이 다케시) 10월 31일
       5강: 4·19의 꿈과 5·16(홍정완) 11월 7일
       6강: 사랑의 로맨스 또는 정조의 역사(한봉석) 11월 14일

10. 21  꽃피는 학교와 함께 가는 평화기행
       장소: 오두산 전망대, 북중군묘(적군묘), 고양 금정굴
       참석: 꽃피는 학교 학생 및 교사 + 연구소 실무팀

10. 24∼11. 28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제1강: 지금 왜 민주주의인가(김동춘) 10월 24일
       제2강: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한상구) 10월 31일
       제3강: 생활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이주영) 11월 7일
       제4강: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노경덕) 11월 15일
       제5강: 변혁운동 속의 민주주의(김원) 11월 21일
       제6강: 새로운 민주주의의 모색(이승원) 11월 28일

11. 8  동학농민혁명 119주년 기념학술대회 1890년대 초반 조선사회와 민중 동향 (장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역사관 2층 회의실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고창군

11. 16 정기심포지엄 “反식민 역사학의 주체와 방법: 1930년대∼1970년대” (장소: 이화여대 삼성교육문화관)
       1. 장용경(국사편찬위원회): ‘필연’과 ‘불행’―反植民 역사학에서의 脫植民 주체의 행방
       2. 김종준(청주교육대): 한국사학계 반식민 역사학 정립 과정에서 실증사학의 위상 변화
       3. 홍종욱(同志社大): 反식민 역사학에서 反역사학으로―동아시아의 ‘戰後 역사학’과 북한의 역사 서술
       논평: 김성보(연세대), 박찬승(한양대)
       토론: 장신(성균관대), 차승기(성공회대), 이용기(한국교원대)

11. 30 민중사반 워크샵 “한국 근대 지역사회의 기원”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1. 한상구(역사문제연구소): 일제시기, ‘식민지성’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공성론’의 성립을 위한 제언
       2. 조형근(한림대): 일제시기 ‘사회’의 등장과 식민권력
       3. 허영란(울산대): 일제시기 지역공동체의 재편과 주도세력의 변화
       토론: 윤해동(한양대),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2014

1. 11  새해맞이 힐링 콘서트 (장소: Cafe 싸롱 마고)
      대담: 김종익, 장진수, 한성훈

2     회보 57호 간행

2. 14  저작비평회 개최 “정병욱, 『식민지 불온열전』(2013, 역사비평사)”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사회: 장신(역사문제연구소)
      토론: 정병욱(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저자), 이혜령(성균관대), 조형근(한림대), 이기훈(목포대)

2. 15  정기총회(결산) 및 2월 운영위원회
      연구소 임원 변동: 김성보(소장), 전영욱(사무국장)

2. 23∼26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장소: 동경 八王子 세미나하우스
      <23일>
      1. 高江洲昌哉, 奄美諸島における「周邊」型國民文化の成立と展開 ― その手掛かりとして
      2. 한봉석, 1950년대의 “정조” 담론의 변화 ― 1953년의 신형법 제정을 중심으로
      <24일>
      1. 中嶋久人, 足尾鑛毒反對運動指導者田中正造における宗敎的契機 ― 晩年の思想を中心に
      2. 伊藤俊介, 甲午改革における警察制度改革と民衆の警察認識
      3. 홍동현, 1894년 동학농민군의 봉기의식에 관한 연구 ― 경상도 예천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4. 이경원, 동학 포교와 동학교도의 활동에 나타난 유교적 윤리
      5. 장미현, 1960년대의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시행과 산재노동자

3     ―『역사비평』 제106호 간행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정재정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4) 출간

3. 25  관건부정선거와 증거조작 특검 촉구와 부정선거 감시 호소 시국선언 참여

4     『역사문제연구』 31호 간행

4. 25  저작비평회 개최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사를 다시 읽는다』(2013, 역사비평사)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사회: 장용경(국사편찬위원회)
      논평: 정병욱(고려대),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김헌주(고려대)

4. 29  임시이사회에서 연구소 이전(移轉)에 대한 건이 논의됨.

5      『한국독립운동사』(박찬승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4) 출간

5. 7   임시총회를 소집하여 연구소의 이전(移轉)을 결정함.

5. 19  연구소 건물 매각(기본재산처분)에 대해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승인

5. 27  연구실 월례발표회 (1)
       발표: 이정선, 「전시체제기 일제의 총동원정책과 ‘內鮮混血’ 문제」(『역사문제연구』 29호, 2013)
       토론: 정준영(서울대), 김아람(역사문제연구소)

6      『역사비평』 제107호 간행

6. 20  저작비평회 개최 “김현주, 『사회의 발견』(2013, 소명출판)” (장소: 연구소 2층 강당) / 사회: 송은영(연세대)
       토론: 이태훈(연세대), 권보드래(고려대), 차태근(인하대)

6. 28  6월 운영위원회 이후 移轉할 연구소 공간활용을 논의하기 위해 “공간구성위원회” 설치

7     『일제강점기 사회와 문화』(이준식 저,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역사비평사, 2014) 출간

7. 3   연구실 월례발표회 (2)
      발표: 최우석, 「재일유학생의 국내 3‧1운동 참여 ― 「양주흡 일기」를 중심으로」(『역사문제연구』 31호, 2014)
      토론: 이기훈(목포대),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7. 22  『20세기 한국사 시리즈』 완간(전10권) 출판기념회 (장소: 세종문화회관 예인홀)

8. 9  고별음악회 “정든 계동을 떠나며“ (장소: 연구소 앞마당 및 2층)

8. 18∼19
      연구소 제기동 이사(주소: 동대문구 왕산로19라길 13 MS빌딩 7층)

9      『역사비평』 108호 간행

9. 20∼27
      베트남 파병 50주년 행사 “베트남 전쟁, 다양한 경계 넘기”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전쟁없는세상, 서울아트시네마
      <20일>
      “영화와 포럼: 탈영과 ‘국경’을 둘러싼 역사의 현현” (장소: 서울아트시네마)
      영화: 돌아온 술주정뱅이(오시마 나기사 감독, 1968)
      포럼: 권혁태(성공회대), 이영재(영화평론가),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25일>
      “강연: 전쟁 거부를 가능케 한 사람들” (장소: 연구소 4층 강당)
      발언: 세키야 시게루(關谷滋, 전 JATEC 활동가)
      <27일>
      “학술회의: 베트남전과 아시아의 상상력” (장소: 연구소 4층 강당)
       1. 김예림(연세대): 냉전기 아시아 상상의 정치학과 베트남전
       2. 정영신(제주대): 베트남전 반전운동과 오키나와 반기지 운동의 관련성
       3. 백승욱(중앙대): 리영희의 국제주의적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베트남전쟁

10     『역사문제연구』 32호 간행. 출판사가 역사비평사에서 소명출판으로 변경

10. 25 정기심포지엄 “‘정상성’에의 강박 ― 한국 근현대 가족의 역사 ―” (장소: 세종문화회관 예인홀)
       제1부: 식민지기 가족 형성의 사상, 제도, 현실
       1. 장용경(국사편찬위원회): 식민지기 콜론타이즘 수용의 (무)의식과 가족의 합리화
       2. 이정선(역사문제연구소): 식민지 조선의 내선결혼 가정―‘내선융화’의 선전과 현실
       제2부: 해방 후 가족 형성과 사회의 ‘정상화’
       3. 김아람(역사문제연구소): 1950∼60년대 합동결혼과 자활의 모범
       4. 소현숙(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1950∼60년대 ‘가정의 재건’과 가정법률상담소의 활동
       5. 권희정(제주여성가족연구원): 입양실천에 나타나는 정상가족 담론과 미혼모 자녀의 '고아'만들기
       제3부 종합토론

10. 31 10월 운영위원회
       ―2015년도 연구소 기획사업 추진을 위한 “연속기획 ‘해방’ 기획위원회”가 구성(이기훈, 배경식, 후지이 다케시, 전영욱, 정예지)
       ―조직개편: 상근부소장제도 실시(배경식 사무부소장을 상근부소장으로 선출)

11. 7∼28
      중랑 민중의 집 <사람과 공감> 강좌 기획 “한국 보수주의의 역사와 논리”
      1강: 민족주의, 우파의 양날의 칼(후지이 다케시, 11월 7일)
      2강: 한국 성장주의의 기원과 전개(이정은, 11월 14일)
      3강: 한국 기독교 보수성의 역사(장숙경, 11월 21일)
      4강: 정치공동체 구성원 형성과 국가폭력(한성훈, 11월 28일)

11. 7  동학농민전쟁 120주년 기념 학술대회 “동학농민전쟁의 경험과 의미” (장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역사관 2층 세미나실)
      주최: 역사학연구소, 역사문제연구소
      1부: 경험1―농민전쟁기까지 / 진행토론: 박맹수(원광대)
      1. 홍동현(역사문제연구소): 19세기 亂民의식의 형성과 동학
      2. 이경원(카톨릭대):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공동체적 질서와 농민군의 활동 양상
      3. 신진희(안동대): 상주幼學 金奭中의 농민군 진압과 관직 진출
      2부: 경험2 ―농민전쟁 직후 당사자들 / 진행토론: 이영호(인하대)
      1. 윤대원(서울대): 농민전쟁 이후 농민군의 동향―西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2. 김태웅(서울대): 농민전쟁 후 軍功者의 정치적 向方과 運命
      3부: 경험3―농민전쟁에 대한 인식 / 진행토론: 배항섭(성균관대)
      1. 문일웅(국사편찬위원회): 중국의 의화단운동을 바라보는 대한제국 언론의 시선―농민전쟁과 연관성을 중심으로
      2. 오제연(서울대): 1960∼70년대 박정희 정권과 학생·지식인의 ‘농민전쟁’ 인식
      3. 최선웅(순천대): 일제시기 사회주의자의 농민전쟁 인식
      4부: 기조발제 및 종합토론
      1. 백승종(한국기술교육대):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성격―농민의 관점에서

12     『역사비평』 제109호 간행

12. 19 답사팀 및 소모임 신설(소모임은 이후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를 주관)
       제기동 집들이 “시민의 역사를 생각하다” (장소: 연구소 4층 강당)

 


2015

1. 31∼2. 1
      연구원 총회 (장소: 인천 을왕리 금빛바다예쁜펜션) / 신임연구원 충원 논의

2     회보 58호 간행

2. 14  정기총회 및 2월 운영위원회
      운영위원 개편: 허수, 이용기, 이태훈(이상 상임연구위원), 조한경(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 전원배(중랑 민중의 집), 조진석(나와우리 사무국장), 임흥순(ASCK), 한성훈, 이진일(이상 인접학문 연구자)
      신임연구원 충원: 권혁은(서울대 국사학과 박사수료, 현대사(경제사), 여성) / 김도민(서울대 국사학과 박사수료, 현대사(정치사/한미관계사), 남성) / 김수향(서울대 국사학과 박사수료, 현대사(경제사), 여성) / 이봉규(연세대 사학과 박사과정, 현대사(사상사/사회경제사), 남성) / 이혜린(성균관대 사학과 박수과정, 근대사(운동사), 여성) / 이혜인(성균관대 사학과 박사과정, 근대사(경제사), 여성) / 임광순(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현대사(노동사/사회사), 남성) / 임이랑(이화여대 사학과 박사수료, 근대사(교육사), 여성) / 장원아(서울대 국사학과 박사수료, 근대사(사상사/사회사), 여성) 

2. 7∼9
      아시아민중사연구회와의 공동워크숍
      <7일> 회의
      2016년 이후 한일 워크숍 진행에 대한 논의
      <8일> 발표
      1. 식민지기 소수자 연구의 동향과 민중사 / 소현숙
      2. 정신․문화․혈연적 차이, 포섭과 배제의 논리-전시체제기 일본에서의 內鮮結婚混血 문제를 중심으로 / 이정선
      3. 「뱌쿠렌 사건(白蓮事件)의 신문 보도에서 보는 1920년대 일본의 '자유'관」 /   아메미야 후미키
      4. 戦時期 일본의 지식인론과 그 애로 / 오타 료고
      <9일> 답사
      안산 단원고 및 416 기억저장소

2. 14  정기총회(결산)에서 기본재산을 처분, 1층과 5층을 각각 사무국 및 서재 그리고 강당으로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함.

2. 24  저작비평회 (1)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돌베개, 2014)” (장소: 연구소 4층 강당)
      저자: 이기훈(목포대)
      사회: 장  신(역사문제연구소)
      토론: 박찬승(한양대), 허병식(동국대), 오제연(역사문제연구소)

3     『역사비평』 110호 간행

3. 28  운영위원 개편: 김백일, 김연철, 김재용, 염인호, 임대식 사임

4       해방70주년 연속기획 “해방”이 세미나 <‘해전사’ 다시 읽기> 1회 모임을 계기로 9월 27일까지 진행.
       『역사문제연구』 33호 간행

4. 3   연속기획: 해방_세미나 ‘해전사’ 다시 읽기 1회 모임
       내용: ‘해방전후사’란 무엇인가? / 송건호 외,『해방전후사의 인식』(한길사, 1979) 읽기

4. 25  연속기획: 해방_세미나 ‘해전사’ 다시 읽기 2회 모임
       내용: “해전사”에 이르는 길
  3일 <연속기획: 해방> 세미나 변혁운동 속의 ‘해전사’

 

4. 2   제1회 월례발표회 “우가키 총독 재임기 초등교육보급정책의 전개와 특징: 야마나시 시기와의 연속성문제를 중심으로” (장소: 연구소 7층)
      발표: 임이랑(연구원) / 토론: 장  신(상임연구위원)

4. 4   역사기행 첫 번째 “진혼鎭魂하는 역사 ― 416의 기억을 찾아서”
      일정: 연구소 → 416기억저장소 → 안산 단원고등학교 → 416기억저장소 4호관 → 안산 합동분향소

5. 6   제2회 월례발표회 “일제시기 행정구역의 변동이력DB 구축과 역사지도의 편찬”  (장소: 연구소 관지헌)
      발표: 김종혁(성신여대) / 토론: 정요근(덕성여대), 염복규(서울시립대)

5. 8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1차모임
      주제: 성소수자 이야기 듣기 내용: 동성애자인권연대, 『후천성 인권결핍사회를 아웃팅하다』 읽기

5. 27∼6. 24
      기획강좌 “『1970년 박정희 모더니즘』 저자 초청 강연회” (장소: 연구소 관지헌, 매주 수요일)
      5월 27일 1강: 아파트와 중산층 그리고 여성들의 욕망(권보드래, 고려대)
      6월 3일 2강: 선데이서울과 1970년대 문화(김성환, 부산대)
      6월 10일 3강: 한국적인 것의 발명과 스크린 이야기(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6월 17일 4강: 유신의 모더니즘과 대중(천정환, 성균관대)
      6월 24일 5강: 2015년에서 바라본 1970년대의 정치 경제(황병주, 연구소 상임연구위원)

     『역사비평』 111호 간행

6. 4   제3회 월례발표회 (장소: 연구소 7층)
      1. 권혁은(연구원): “1950년대 ‘금융민주화’와 은행 귀속주 불하의 전개 과정” / 토론: 이정은(연구원)
      2. 임광순(연구원), “1970년대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 하 노동통제전략의 전개와 붕괴” / 토론: 정무용(연구원)

6. 12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2차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주제: “1970년대 미국 인권운동가의 삶”
      내용: 영화 「밀크」 감상

6. 13  관지헌(觀志軒) 현판식

6. 27  6월 운영위원회에서 박태균 『역사비평』 주간을 부소장으로 임명

7     관지헌(觀志軒) 대관 개시

7. 2   제4회 월례발표회 (장소: 연구소 벽사당)
      1. 이혜린(연구원), “1920년대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불신임운동의 주체와 성격” / 토론: 배경식(부소장)
      2. 장원아(연구원), “인간과 믿음: 1920년대 보천교를 둘러싼 ‘믿음’의 교차” / 토론: 장용경(연구원)

7. 4   연속기획: 해방_답사 “해방의 마을로”
      주관: 이혜린, 장원아, 최우석(이상 연구원)
      일정: 충무로역 4번 출구 → 통감관저 터 → 조선총독부 터 → 노기신사 터 → 조선신궁 터 → 해방촌 일대
      참석: 39명

7. 10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3차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주제: 1970년대 유럽 성해방운동의 배경
      내용: 기오껭겜, 『동성애 욕망』 읽기

7. 13  연속기획: 해방_강좌 “주변에서 바라 본 해방(오키나와 편)”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제: “오키나와 전후 70년: 사람들이 만드는 민주주의의 발자취”
       강연: 모리 요시오(성토마스대)

7. 18  연속기획: 해방_영화와 포럼 “해방과 제국의 잔영(한국 편)”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제: ‘사랑과 맹서’에서 ‘자유만세’로
       강연: 정병욱(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7. 23  역사교육연대회의 공개토론회  “2015 역사과 교육과정(시안), 무엇이 문제인가?”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최: 역사교육연대회의(민족문제연구소,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전국역사교사모임, 한국역사교육학회, 한국역사연구회)
       1부 주제발표 / 사회: 배경식(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
       인사말: 정용욱(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주제1: 2015역사과교육과정(시안): 교육철학의 부재, 교육과정·교과서에 대한 몰이해 (양정현 | 부산대 역사교육과)
       주제2: 한국사 교육과정: 정치사의 반복이 ‘한국사 교육 강화’인가? (방지원 | 신라대 역사교육과)
       주제3: 세계사·동아시아사 교육과정: ‘학습 부담 경감’으로 포장된 역사교육의 퇴행 (윤세병 | 유성생명과학고)
       2부 종합토론 / 사회: 김한종(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토론: 김육훈(역사교육연구소장) / 도면회(대전대 역사문화학과) | 안병우(한신대 한국사학과) / 이준식(민족문제연구소) / 유용태(서울대 역사교육과)

7. 31  『민중만들기』 비평회 “역사로서의 민중운동” (장소: 연구소 관지헌) /  사회: 허수(서울대)
       주관: 역사문제연구소, 후마니타스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후원: 나와우리+책방이음
       발표: 이남희(『민중만들기』저자, UCLA 교수)
       비평: 한상구(역사문제연구소), 김아람(연세대학교)

8. 6   연속기획: 해방_세미나 “‘해전사’ 다시 읽기” 5차모임

8. 7   연속기획: 해방_강좌 “주변에서 바라 본 해방(화교 편)”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제: 해방 70년, 한국화교에 대한 이해―의미 있는 사건과 ‘진정한 해방’을 위한 과제
       강사: 왕언메이(王恩美, 대만국립사범대학 동아시아학과)

8. 8∼11
      <해방70주년 연속기획> “해방”―해방분단70년 평화기행
      주관: 참여연대, 인권재단 사람, 역사문제연구소, ASCK
      <8일> 학술행사 “해방·분단 70년, 한반도의 현재와 미래”
      인사 및 소개 / 사회: 홍승혜(연세대), 이태호(참여연대 사무처장)
      환영사: 김성보(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오웬 밀러(런던대)
      세션 1 동아시아 전후 질서와 한반도 분단체제, 그리고 역사전쟁 / 사회 : 양미강(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발제 1: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한반도 / 이삼성(검토 중)
      발제 2: 역사교과서 논쟁과 뉴라이트의 역사인식 / 김정인(춘천교대)
      발제3: 북조선의 분단체제와 조선(한국)전쟁 / 수지킴(럿거즈대)
      세션 2 해방·분단 70년, 한반도의 현재와 미래 / 사회 : 홍승혜(연세대)
      발제 1: 미국의 대아시아 전략 변화와 동아시아 군사갈등 / 서재정
      발제 2: 한국 정치의 우경화와 대중적 극우단체의 등장 / 김동춘(성공회대)
      발제 3: 남한의 평화운동과 통일운동 / 박정은(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세션 3 분단 그리고 전쟁을 거부하는 이들 / 사회 : 이태호(참여연대 사무처장)
      초대: 제인진카이젠(JaneJinKaisen, 영화감독), 임재성(병역거부자), 리정애(조선적 재일교포)
   환영의 밤(참여연대 인근 식당)
      <9일> 서울, 안산 기행
      일정: 참여연대 앞 출발 → 안산 단원고등학교 → 416기억저장소 → 세월호유가족 간담회 → 의릉 전중앙정보부 강당 및 회의실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경복궁역 도착
      <10일> 화천, 철원, 동두천 기행 1일차
      참여연대 앞 출발 → 베트남참전용사 만남의 장(화천군 간동면 오음리) → 꺼먹다리(화천군 화천읍 대이리) → 3사단 멸공 OP(철원군 백골부대) → 금강산전기철도교량(철원군 갈말읍 정연리) → 유곡리 통일촌(민통선마을)(철원군 근북면 유곡리) → 지뢰피해자 간담회(철원 대마리두루미평화관) → 숙박(철원 두루미평화관 및 학마루펜션)
      <11일> 화천, 철원, 동두천 기행 2일차
      조식(철원 대마리두루미평화관) → 철원 노동당사(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 동두천 기지촌여성낙검자수용소(두레방 활동가 간담회) → 윤금이씨 피살사건 현장(동두천시 보산동) → 상패동 기지촌여성 공동묘지(동두천시 상패동) → 미선·효순 참사현장(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 참여연대 앞 도착 및 해단식

8. 13  해방 70주년 역사3단체 학술회의 “역사학과 민주주의, 그리고 해방” (장소: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1. 기조발제: 역사학과 민주주의, 그리고 해방∥정용욱(서울대)
      세션1 민주주의의 역사화
      제1주제: 역사를 통해서 본 한국의 민주주의∥박찬승(한양대)
      제2주제: 해방 이전 시민사회 형성과 민주주의 인식∥한상구(역사문제연구소)
      제3주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민주주의∥김동춘(성공회대)
      제4주제: 종전/해방 직후 남한, 민주주의의 전위(轉位)와 그 동학(動學)∥임종명(전남대)
      세션2 역사학의 민주화
      제1주제: 과거사 정리와 한국 역사학계의 과제∥전명혁(동국대)
      제2주제: 역사교육 ‘안팎’의 민주주의∥김정인(춘천교대)
      제3주제: 민주화와 역사 글쓰기∥최규진(성균관대)
      종합토론 / 사회: 김성보_연세대
      토론: 박구병(아주대), 박명림(연세대), 오제연(서울대),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임경석(성균관대)

8. 14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4차 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내용: 이종걸(친구사이 사무국장) 강연

8. 18  저작비평회 두 번째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군위안소 제도(이학사, 2015)” (장소: 연구소 벽사당)
      저자: 윤명숙(충남대)
      사회: 장신(역사문제연구소)
      토론: 한혜인(성균관대), 조시현(건국대), 김헌주(고려대)

8. 24∼8. 25
      한독비교사연구모임 학술대회 “동아시아 속의 분단 한국, 유럽 속의 분단 독일”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604호)
      주최: 역사문제연구소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주관: 한독비교사연구모임
      후원: 성균관대학교
      <24일>
      개회식
      제1부 한국 문제와 독일 문제 / 사회: 오제연(서울대)
      1. 독일문제(Deutsche Frage)의 기원과 전개 / 정용숙(대구대)
      2. 한국문제(Korean Problem)의 기원과 전개 / 박명림(연세대)
      제2부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 사회: 김귀옥(한성대)
      1. 남북 역사인식 통합의 기준과 실제 / 이신철(성균관대)
      2. 통일 후 분단독일의 역사 새로쓰기 / 이진일(성균관대)
      3. 인민: ‘냉전’의 사유와 분단 정체성, 그 너머 / 한성훈(연세대)
      4.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분단극복정책 비교: '성리학적 구성주의'와 기호학 이론의 적용과 함께 / 노명환(한국외대)
      토론: 김성보(연세대), 이혜령(성균관대)
      <25일>
      제3부 분단과 통일, 교육 / 사회: 김성보(연세대)
      1. 탈냉전시대 통일교육 속 반공·반북과 통일의 딜레마와 극복과제 / 김귀옥(한성대)
      2. 탈냉전기 통일 독일 반공교육의 변화와 쟁점 / 유진영(한국외대)
      토론: 박찬석(공주사대), 한운석(튜빙겐대)
      제4부 냉전의 문화 / 사회: 이진일(성균관대)
      1. 1960년대 한국 대학축제의 정치풍자와 반식민주의 / 오제연(서울대)
      2. 냉전과 종교: 한국전쟁 이후 기독교와 반공주의 / 윤정란(서강대)
      3. 신좌파에서 뉴라이트로: 독일 68세대의 기억과 이념의 변화 / 윤용선(한성대)
      토론: 조형근(한림대),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제5부 트랜스내셔널 역사적 시각과 전망 / 사회: 박후건(경남대)
      1. 냉전 속의 한독 에큐메니칼 협력: 1970년대와 80년대를 중심으로 / 한운석(튜빙겐대)
      2. 독일 통일이후 동독지역 고용체제 전환의 사회적 과정: 북한에의 함의 모색 / 박명준(한국노동연구원)
      3. 동아시아와 유럽의 역사 대화 / 신주백(연세대)
      토론: 김연철(인제대), 신종훈(경상대)

8. 24  저작비평회 세 번째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봄날의박씨, 2015) (장소: 연구소 관지헌)
       저자: 유경순(노동자교육센터)
       사회: 이상록(국사편찬위원회)
       토론: 김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미현(역사문제연구소), 황병주(국사편찬위원회)

8. 29  연속기획: 해방_영화와포럼 “해방과 제국의 잔영(대만 편)”
       주제: 해방이 가져온 실어증 / 영화 多桑 시청
       발언: 백지운(서울대)

9. 4   ―연속기획: 해방_세미나 “‘해전사’ 다시 읽기” 모임
       ―창립 30주년 기획위원회 설치(허수, 배경식, 전영욱, 이상록, 김정인, 정순구, 이정선)

9     『역사비평』 112호 간행

9.  7  초등5-2 사회(역사)교과서 분석결과 중간발표 (장소: 흥사단)
      주관: 역사교육연대회의 (민족문제연구소|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역사문제연구소|역사학연구소|전국역사교사모임|한국역사교육학회|한국역사연구회)
      발표: 하일식(연세대 사학과), 이준식(민족문제연구소), 이익주(서울시립대 국사학과) 배경식(역사문제연구소), 방지원(신라대 역사교육과), 조한경(전국역사교사모임)

9.  9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역사·연구교육 연구자 선언 “박근혜 정부는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기자회견 (장소: 흥사단)
      ―제5회 월례발표회 (장소: 연구소 벽사당)
      1. 이혜인(연구원): 1930년대 전반 조선미곡창고주식회사와 식민자본∥토론: 양지혜(연구원)
      2. 김수향(연구원): (한국군 구술을 통해 본) 한국기업의 베트남 진출과 활동∥토론: 이정은(연구원)

9. 11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5차 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내용: 애너메리야고스 저, 『퀴어이론 입문』 읽기

9. 14  ―연속기획: 해방_강좌 “주변에서 바라 본 해방(재일조선인 편)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제: “재일조선인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는가?”
      강연: 이성(한신대)
      ―역사문제연구소 페이스북 페이지 개설

9. 18  강연회 “3,578km, 추모와 기념 사이 ― 베트남의 전쟁 기억과 한국의 전쟁 기념” (장소: 연구소 관지헌)
      연사: 구수정

9. 20  연속기획: 해방_영화와포럼 “해방과 제국의 잔영(일본 편)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제: “또 하나의 전후 일본사를 위해” / 영화 돼지와 군함(이마무라 쇼헤이, 1961) 시정
      강연: 히라사와 고(영화평론가)

10    『역사문제연구』 34호 간행. 표지에 “謹弔 역사교육”을 표시

10. 6  긴급토론회 “역사 교과서 편찬의 국제적 기준과 한국의 현실 ― UN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위원회 특별보고서와의 비교 ―”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최: 역사교육연대회의 / 사회: 조한경(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 
      1. UN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위원회 특별보고서가 제시한 역사교과서 편찬의 국제적 기준 / 정용욱(서울대 국사학과,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2. UN 보고서에 나타난 역사교과서 편찬 원리와 한국의 편찬 제도와의 비교 / 김한종(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전 한국역사교육학회 회장)
      3. 국가 권력을 통한 역사 교과서 개입과 문제점 - 일본 역사 교과서를 사례로 /  이신철(성균관대 동아시아 역사연구소)
      토론: 안병우(한신대, 국사학과,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공동대표), 정연태(카톨릭대, 인문학부, 전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문병효(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10. 7  제6회 월례발표회 (장소: 연구소 벽사당)
      1. 김도민(연구원): 한국군 장성들의 국민학교 시절 식민지 조선과 해방의 기억: 서울대 규장각 현대한국구술사팀 구술자료를 중심으로∥토론: 홍정완(연구원)
      2. 이봉규(연구원), 1950년대 중후반 행정분야 기술원조와 관리행정론∥토론: 후지이 다케시(연구원)

10. 9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6차 모임 (장소: 조계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공연장)
      내용: 공연 관람(게이코러스 G_Voice 정기공연 '도도한 가')

10. 16∼11. 11
      심상정마을학교·역사문제연구소 공동주최 기획강좌 “경계 밖에서 본 한국 근현대사”
      10월 16일 1강 신여성, 금기를 거부하다 (임이랑)
      10월 23일 2강 식민지 도시개발과 빈민의 삶 (전영욱)
      10월 30일 3강 민족주의 역사서사의 안과 밖 (후지이 다케시)
      11월 06일 4강 한국전쟁 이후 혼혈아와 부랑아 다루기 (김아람)
      11월 11일 5강 남산 지역 답사: 경계로부터의 해방 (최우석)

10. 24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역사교수, 연구자, 교사, 대학생 및 대학원생 거리 행진 (장소: 서대문독립공원)
       일정: 서대문독립공원→ 경찰청, 서대문역, 시청 → 청계광장 2차 범국민촛불대회장

10. 31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역사인’들의 거리행동 “만 가지 색으로 저항하라!! 만인만색萬人萬色: 전국역사인대회” (장소: 서울역사박물관 앞 광장)
       일정: 서울역사박물관 앞 광장 → 경희궁 앞 인도 → 경향신문사 앞 → 정동로 → 덕수궁로 → 시청 → (구)인권위원회 → 모전교 → 청계광장

11. 13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7차 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내용: 게일 루빈, 『일탈(게일루빈 선집)』 읽기

11. 14 10·11월 합동운영위원회에서 지금까지 연구원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고 있

던 416기억저장소의 구술증언사업에 연구소의 공식 참여를 승인

12     『역사비평』 113호 간행

12. 3  “동국대 구성원들의 외침에 전국의 연구자·대학원생이 답합니다” 연구소 연명

12. 11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8차 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내용: 주디스 핼버스탬, 『여성의 남성성』 읽기

 


2016

1. 8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9차 모임 (장소: 연구소 벽사당) 
       강연: 레즈비언 운동과 페미니즘(나영정,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법정책연구회)

1. 16∼17
       연구원 총회 (장소: 양평 보보스펜션)
       주요논의: 토론마당 재개(정무영(팀장), 김수향, 이혜인) / 포럼개최

1. 23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거리역사 강좌 9강 주관 (장소: 서울NPO지원센터)
       강사: 이이화
       주제: 왕조시대 역사교육은 어땠을까?

1. 27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제10회 콜로키움 공동주최 “위서(僞書)의 사회사” (장소: 연구소 관지헌)
       사회: 전영욱(역사문제연구소 사무국장)
       기획논단: 강진원(서울대), 동북아역사지도 사업의 추이와 현황
       제1발표: 박지현(서울대), 위서(僞書)를 말하다
       제2발표: 장신(역사문제연구소), 정말 일제는 한국 고사서를 불태웠나?
       자유토론

2. 12  기획모임: 차별과 폭력의 역사를 넘어서 10차 모임 (장소: 연구소 관지헌)
       주제: 『바비를 위한 기도』(2009) 시청

2. 15  정기총회(결산) (장소: 연구소 벽사당)
       조직개편과 관련하여 ①(가칭)사업위원회를 운영위원회 산하 소위원회 형태로 1년간 시범운영한 후 정식기구 발족 여부를 이후 총회에서 논의하기로 함. ②(가칭)인권위원회를 1년간 운영한 후 이후 총회에서 정식기구로의 발족을 보장하기로 결정함.

2. 18  저작비평회 첫 번째 “전진성,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천년의 상상, 2015)” (장소: 연구소 관지헌)
       사회: 송은영(연세대) / 발제: 전진성(저자, 부산교대) / 비평: 이연경(연세대), 임동근(서울대), 박준형(인하대)

2. 29  ―회보 59호 간행(30주년 기념호)
       ―창립30주년 기념행사 “역사문제연구소, 30년을 생각하다” (장소: 플레이스 사이)